인숙이와 용우가 사는 집 마당에 있는 장독대의 모습을 매월 1일에 찍습니다^^"

숨165-장마철입니다.

예배모임 들꽃교회............... 조회 수 18 추천 수 0 2023.07.15 21:34:44
.........

165-0.jpg

165-1.jpg
165-2.jpg

165-3.jpg
165-4.jpg

165-5.jpg

165-6.jpg

165-7.jpg
165-8.jpg

1.가정에서 예배를 드리지만 제 자신이 게을러지지 않기 위해서 매주 주보를 만듭니다.

2.한 주일동안 해 온 사역을 기록으로 남기고 후원해 주시는 분들께 보고하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3.꼭 필요한 최소한의 부수만 만들어서 매주일 100%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4.우리는 전 세계가 공동으로 드리는 <예전예배>의 전통을 따라서 예배를 드립니다.

5.성서일과(lectionary)는 반더빌트대학교, 전체 예배 구성은 정용섭 목사의 안을 따릅니다.

 

1.바울은 예수 안에 있는 자는 결코 정죄함이 없다고 선언한다.(롬8:1) 

2.‘예수생명성령법’이 ‘죄사망법’에서 우리를 해방했다고 한다.(롬8:2)

3.하나님은 아들을 ‘죄사망법’에 내줌으로 우리 죄를 멸하셨다.(3) 

4.성령을 따라 사는 우리 안에서 율법이 이루어지게 되었다.(4절)

5.육신을 따르는 자는 육신의 일을 생각하며 그것은 사망이다.(5절)

6.영을 따르는 자는 영의 일을 생각하며 그것은 생명과 평안이다.(6절)

 

1.정죄함이 없다

바울은 유대인들과 로마인들에게 정죄당하던 그리스도인들에게 ‘예수 안에 있는 자는 결코 <정죄함>이 없다’고 선언합니다.(롬8:1) 이 말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사람, 예수 그리스도와 결합한 사람은 종교와 정치와 세상의 그 어떤 세력도 정죄, 단죄, 심판, 비난(condemnation)무시를 할 수 없다는 역설적인 표현입니다. 

 

2.죄사망법

바리새인들은 율법을 지킴으로 하나님께 인정받는다고 생각했고, 로마인들은 로마의 지성과 예술과 문명을 통해서 자기들의 삶이 완성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고상하기는 하지만, 그건 착각입니다. 율법과 실정법, 윤리 도덕 사회 규범 등, 모든 법은 인간을 위한 장치이고 제도이기에 ‘육신(σ?ρξ)’에 관한 것이며 결국 ‘죄사망법’입니다.

 

3.예수생명성령법

율법이나 제도를 통해서 자기를 완성하려는 열정이 바로 율법의 작동 원리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율법과 세상 법이 고상한 척 해도 그 법이 ‘죄와 죽음’의 영적인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합니다. 바울은 ‘예수생명성령법’이 ‘죄사망법’에서 우리를 해방시켰다고 합니다.(롬8:2) 이것을 ‘복음’이라고 합니다. 바울이 그것을 발견한 것입니다.

 

4.구속사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아들을 죄 많은 인간의 모습으로 보내어 그 육체를 죽이심으로써 이 세상의 죄를 없이 하셨습니다.”(공동번역로마서8:3) 율법에 충실했던 유대 고위층과 로마법에 충실했던 로마 총독은 하나님의 아들인 예수를 제거했습니다. 하나님은 아들 예수를 ‘죄사망법’에 내줌으로 우리의 죄 문제를 단번에 해결해 버리셨습니다. 

 

5.율법의 완성

성령을 따라 사는 우리 안에서 율법의 요구가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롬8:4절)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은 율법 조문에 묶이지 않는 방식으로 율법의 요구를, 즉 율법의 본질을 드러내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예수님도 ‘내가 율법을 폐하러 온 게 아니라 완성하러 왔다.’라고 하십니다. 이제 우리가 율법과 상관없는 사람들이 된 것입니다.

 

6.육신의 일

육신을 따르는 자는 육신의 일을 생각하며 육신의 일은 사망입니다.(롬8:5) 현대인들의 사고방식은 자연과학의 인과율에 고착해 있어서, 원인과 결과가 딱 들어맞아야만 확실하고 옳다고 여깁니다. 인공지능 시대가 된 이후로 더욱 세상 모든 현상은 인과율의 범주 안으로 들어가는 것 같습니다. 점점 더 영을 가깝게 느끼지 못합니다.

 

7.영의 일

영을 따르는 자는 영의 일을 생각하며 그것은 생명과 평안입니다.(롬8:6) 생명의 영은 하나님의 영이고 그리스도의 영입니다. 하나님의 영은 창조의 영이고, 그리스도의 영은 부활의 영입니다. 창조의 깊이로 들어간 만큼, 그리고 부활의 깊이로 들어간 만큼 우리는 생명의 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진짜 참 복음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09 예배모임 숨177-한로입니다 file 들곷교회 2023-10-07 31
1608 예배모임 숨176-황금빛으로 물들어가는 들판 file 최용우 2023-09-30 35
1607 예배모임 숨175-두둥실 추석 한가위 file 들꽃교회 2023-09-23 47
1606 예배모임 숨174-계절은 이제 가을입니다 file 최용우 2023-09-16 43
1605 예배모임 숨173-풀벌레 소리 file 들꽃교회 2023-09-09 13
1604 예배모임 숨172-어정쩡 백로입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9-02 5
1603 예배모임 숨171-완연한 가을입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8-26 13
1602 예배모임 숨170-처서입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8-19 6
1601 예배모임 숨169-기온이 뚝! file 들꽃교회 2023-08-12 14
1600 예배모임 숨168-푹푹 잘도 찝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8-05 9
1599 예배모임 숨167-여름휴가 file 들꽃교회 2023-08-01 12
1598 예배모임 숨166-비가 다시 내립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7-22 26
» 예배모임 숨165-장마철입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7-15 18
1596 예배모임 숨164-소서(小暑)는 ‘작은 더위’입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7-08 19
1595 예배모임 숨163-푸른 벼가 바람에 고개를 숙입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7-01 10
1594 예배모임 숨162-올해의 반이 지나갑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6-24 17
1593 예배모임 숨161 -채송화꽃이 피었습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6-17 30
1592 예배모임 숨160- 동네 누나같은 메꽃이 방긋 file 들꽃교회 2023-06-10 23
1591 예배모임 숨159-밤꽃향기 가득합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6-03 28
1590 돌쇠용우 [네줄일기] 2023년 6월 일기 최용우 2023-06-01 7
1589 예배모임 숨158-우편함에 새는 누가 배달했을까? file 최용우 2023-05-27 21
1588 돌쇠용우 [네줄일기] 2023.5월 -다시 시작하는 것이 능력이다 최용우 2023-05-23 15
1587 예배모임 숨157-개구리의 통성기도 file 들꽃교회 2023-05-20 33
1586 예배모임 숨156-연초록 세상 file 들꽃교회 2023-05-13 37
1585 예배모임 숨155-여름의 시작 입하입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5-06 40
1584 예배모임 숨154-철쭉꽃이 화려합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4-29 44
1583 예배모임 숨153-꽃가루가 가득한 세상! file 들꽃교회 2023-04-22 28
1582 예배모임 숨152-불행한 일이 더이상 일어나지 않았으면 file 들꽃교회 2023-04-15 38
1581 예배모임 숨151-예수부활 할렐루야 file 들꽃교회 2023-04-08 35
1580 예배모임 숨150-종려주일이며 고난주간의 시작입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4-01 36
1579 예배모임 숨149-벚꽃이 팝콘처럼 터지기 직전입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3-25 36
1578 예배모임 숨148-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춘분입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3-18 28
1577 예배모임 숨147-산수유꽃이 팝콘처럼 터집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3-11 14
1576 예배모임 숨146-개구리 소리 요란합니다 file 들꽃교회 2023-03-04 22
1575 예배모임 숨145-사순절 시작입니다. file 최용우 2023-02-25 14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