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숙이와 용우가 사는 집 마당에 있는 장독대의 모습을 매월 1일에 찍습니다^^"

[주일예배] 살 궁리

예배모임 최용우............... 조회 수 2033 추천 수 0 2013.05.05 12:05:58
.........

2013.5.5 주일예배
장소 도토리교회
설교 김대철 목사
성경 눅16:1-8
제목 살 궁리

 

 사람은 누구나 살다보면 어려움을 만난다. 즉 위기를 겪게 된다. 그러나 위기에 처한 사람들의 태도는 다양하다.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살고자 하는 사람과 살고자 하는 꿈을 버린 사람으로 나누어진다. 

 살고자 하는 사람은 위기를 기회로 바꾼다. 아무리 어려운 상황이라도 살 궁리를 한다. 그러나 어떤 사람들은 우기의 상황을 견디지 못한다. 직면하기 싫어한다. 그 문제를 회피하고 자꾸 도망을 간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감당할 만한 시험을 주신다. 감당하면 화가 변하여 복이 된다. 위기를 극복하면 마음도 넓어지고 더 큰 인격을 소유하게 된다. 본문에 등장하는 청지기도 인생 최대의 위기를 당한다. 이 위기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이 불의한 청지기는 살 궁리를 한다.

 

1. 시대적 배경

 

예수님 당시 팔레스틴에는 부재지주가 많았다. 로마의 시민권자나 외국에 살고 있는 부유한 유대인들이 팔레스틴 여러 지역에 포도원과 같은 경작지를 많이 소유하고 있었다. 그들은 직접 경작지를 관리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자기 땅을 여러 사람들에게 소작을 주고 그 소작농들을 관리해줄 한명의 청지기를 세운다. 

 그런데 소작농들이 몇 년이 지나도 얼굴 한번 보이지 않는 주인에게 제때에 소작료를 내지 않아 주인에게 많은 빚을 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청지기는 이 소작농들을 관리해야 하는 책임이 있기 때문에 주인의 재산을 중간에서 착복하고 도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 처럼 불성실한 청지기는 땅 주인이 찾아왔을 때 엄히 문책을 당하고 쫓겨나는 것이 당연하다.

 이 비유는 예수님의 비유 중 가장 난해하고 어려운 비유중 하나이다. 정직하지 못한 청지기가 칭찬을 받는 것이다. 유대인이 유대인에게 돈을 빌려주면 이자를 받아서는 안 된다(출 22:25, 레25:36, 신23:19). 그러나 그 당시 대부하는 자들은 이 법을 교묘한 방법으로 빠져나간다. 당시 사람들은 기름과 밀을 화폐 대용으로 사용하였다. 그래서 가난한 사람들은 무엇을 빌렸든지 기름과 밀로 반환하였다.

 청지기가 할인해준 것은 이자였다. 이자는 주인 몰래 청지기가 챙기는 몫이다. 청지기는 실직이라는 위기에서 여러 채무자들에게 은혜를 베풀고 있다. 이것은 자신의 미래를 준비하는 것이다. 덕분에 빚진 사람들은 원금만 지불하면 된다.

 돈을 더 만들기 위해서 고리대금을 하여 많은 이자를 받고, 그 중에 일부를 또 착복하여 개인적 용도에 썼을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그러한 고리대금 때문에 사람들이 주인을 욕하기 시작했고, 그 소식이 돌다돌다 결국 주인의 귀에 들어갔을 것이다. 청지기는 위기에 처하자 자기 계략에 말려서 높은 이자를 물고 돈을 빌려 썼던 채무자들을 불러서 그들이 전에 쓴 빚 문서를 정상적으로 수정해 주고, 불리하게 부과했던 높은 이자를 과감하게 탕감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2. 현실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불의한 청지기

 

 마태복음 21장 33절 이하에 보면 포도원 농부 비유가 나온다. 주인이 포도원을 만들고 타국에 가면서 농부들에게 포도원을 세로 준다. 그리고 소출이 있을 때 종들을 보내지만 농부들이 그 종들을 죽이고 돌로 친다. 그래서 더 많은 종들을 보내지만 농부들은 종들을 죽인다. 이번에는 주인이 아들을 보냈지만 농부들은 상속자인 아들을 죽이고 그의 유산을 차지하고자 하는 음모를 꾸민다.

 누가복음에 나오는 청지기는 주인이 자신을 불의하다고 여기고 청지기 직무를 빼앗고자 할 때, 그 주인의 계획을 그대로 받아들인다. 주인을 배반을 계획을 세우거나, 주인을 죽일 계획을 세우지 않는다. 즉 자신의 과거를 그대로 인정하고 살 궁리를 한다. 청지기 직분을 빼앗긴 후에 땅을 파자니 힘이 없고 빌어먹자니 부끄럽다는 사실을 인정한다. 그런 자리로 전락한 자신을 인정한다.

 이 비유의 청자는 제자들이지만 예수님은 바리새인들의 삶의 형태를 비판하고 있다. 바리새인들은 자신들이 규칙을 세우고 그 규칙을 준수하려고 노력한다. 그들은 형식(규칙)만을 중시하여 본질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헬라문화의 공세 속에서 민족 정체성과 신앙을 지키려 했던 그들은 자기 의를 내세우는 방향으로 변질되었다. 그들은 경건의 전문가가 되었고, 해박한 성경 지식으로 사람들을 억눌렀다. 성경보다 정통을 앞세우고, 세상과 구병을 외치다가 세상과 분리되어 버렸다. 바리새인들은 예수께서 안식일 병자를 고치는것을 비난했고 제자들이 안식일에 밀 이삭을 잘라먹은 것을 비난했다.

 그들은  박하와 운향과 모든 채소의 십일조는 드리되 공의와 하나님께 대한 사랑은 버리는 도다 (눅11:42).  너희가 회당의 높은 자리와 시장에서 문안 받는 것은 기뻐하는 도다 (눅(11:43).  너희 바리새인은 지금 잔과 대접의 겉은 깨끗하나 너희 속에는 탐욕과 악독이 가득하도다 (눅11:39)라고 예수님께 지적받았다. 예수님은 바리새인의 누룩 곧 외식을 주의하라고 제자들에게 당부한다(눅12:1).

 

 3. 나가는 말 

 

 이 비유의 배경에는 잘못을 지적받았는데도 고치려하지 않고 오히려 그 잘못을 말한 사람을 없애려고 하는 바리새인들이 있다. 바리새인들은 그 당시 신앙인이고 존경받는 사람들이지만 오히려 불의한 일을 저질은 청지기의 미래를 대비한 대책마련에도 미치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오히려 누가 비난을 하면 그 비난을 하는 사람을 죽여서 그들의 잘못된 행위를 정당화하려고 했다. 바리새인들은 자신들의 위선을 지적한 예수님을 죽일 궁리를 항상 했었다. 누구든지 과거에는 잘못이 있다 그러나 그것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하다. /김대철 목사


댓글 '2'

좋은

2013.05.06 04:23:30

잘못을 받아들이고 회복하려는 불의한 청지기가 지혜롭다. 2013.5.5 어린이날

2013.05.06 04:24:39

잘못을 인정하고, 위기를 극복하려 노력하면 기회가 주어진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55 돌쇠용우 갑하산 최용우 2013-05-08 765
» 예배모임 [주일예배] 살 궁리 [2] 최용우 2013-05-05 2033
1153 돌쇠용우 [네줄일기] 2013.5월 일기 최용우 2013-05-02 1695
1152 예배모임 [주일예배] 적은 무리 [3] 최용우 2013-04-28 1786
1151 예배모임 [금요모임] 3차원의 기도 최용우 2013-04-22 1913
1150 예배모임 [주일예배] 새 계명 [2] 최용우 2013-04-21 1813
1149 예배모임 [금요] 하나님의 형상 최용우 2013-04-19 4551
1148 돌쇠용우 신선봉 최용우 2013-04-15 1181
1147 예배모임 [주일예배] 시험을 참는자 [2] 최용우 2013-04-14 2070
1146 돌쇠용우 복두산, 노고봉 최용우 2013-04-11 1084
1145 예배모임 [주일예배] 성장 [2] 최용우 2013-04-07 1979
1144 돌쇠용우 [네줄일기] 2013.4월 일기 최용우 2013-04-02 1679
1143 돌쇠용우 [네줄일기] 2013.3월 일기 최용우 2013-03-31 1275
1142 돌쇠용우 속리산 3봉5대 최용우 2013-03-30 969
1141 돌쇠용우 속리산 천왕봉 최용우 2013-03-30 1402
1140 돌쇠용우 얼마만에 서울에 올라온 것이냐.... 최용우 2013-03-21 1724
1139 돌쇠용우 구룡산(대청호) 최용우 2013-03-16 1288
1138 1 일풍경 이재익 목사님께 보낸 책 최용우 2013-02-28 1295
1137 돌쇠용우 흔적골산 최용우 2013-02-21 1228
1136 사진모음 함백산 등산 사진 파노라마 최용우 2013-02-19 2278
1135 돌쇠용우 함백산 최용우 2013-02-16 1925
1134 해바라기 어릴때는 보물처럼 여겼던 것들 해바라기 2013-02-14 2059
1133 돌쇠용우 운주산 최용우 2013-02-14 1315
1132 오신손님 반갑습니다. [1] 김만숙 2013-02-03 2052
1131 돌쇠용우 매봉산 최용우 2013-02-02 1110
1130 돌쇠용우 적오산 최용우 2013-01-26 1299
1129 돌쇠용우 대둔산 최용우 2013-01-25 1067
1128 사진모음 오봉산 등산 2012.1.19 [1] 최용우 2013-01-22 2096
1127 샬롬샬롬 네팔에서 새해인사올립니다. 이요한 2013-01-21 2314
1126 해바라기 물고기 두마리 해바라기 2013-01-16 2144
1125 사진모음 2013 신년산행 삼도봉 사진 [4] 최용우 2013-01-02 2440
1124 돌쇠용우 오봉산 최용우 2013-01-01 2058
1123 돌쇠용우 삼도봉 최용우 2013-01-01 1212
1122 사진모음 김대철 목사님과 함게 뛴 대전마라톤 [1] 최용우 2012-12-17 2372
1121 돌쇠용우 대전마라톤 최용우 2012-12-16 1210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