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영혼의 샘터

옹달샘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다음은 한글이다

한희철 한희철............... 조회 수 42 추천 수 0 2023.10.12 22:34:14
.........

3b2db892deb215454cf3aeee5fbd953f.jpg[한희철 목사] 다음은 한글이다

 

지난 한 달간, 미국을 다녀왔습니다. 시카고, 그린빌, 탬파, 로스앤젤레스 등 네 개 주 네 교회에서 말씀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비행기를 모두 일곱 번 타는 빡빡한 일정이었지만, 충분히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오랫동안 만나지 못했던 반가운 사람들을 만나고, 곳곳에 자리 잡은 아름다운 자연을 둘러본 것은 덤처럼 누린 은총이었습니다.

한 달의 시간을 보내며 그중 많이 듣게 된 이야기가 있습니다. 우연히 듣고는 설마 싶었는데, 몇 번 더 같은 이야기를 듣다 보니 오히려 신기하게 여겨졌습니다. 냉동 김밥 이야기였습니다. 미국 내에서 냉동 김밥 인기가 상당하다는 것이었습니다. 처음 그 이야기를 꺼낸 제부는 자기도 이야기를 듣고는 마트에 갈 때마다 김밥을 찾았지만, 세 번을 모두 실패했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의외로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이야기를 들으면서도 쉽게 공감이 되질 않았습니다. 아니 김밥을 얼린다고, 얼린 김밥을 어떻게 먹지, 아무리 녹여 먹는다고 해도 평소에 먹던 김밥과는 다를 것 아닌가, 김밥에 익숙한 사람으로서는 이런저런 조심스러운 생각이 이어졌습니다.

그러면서도 뿌듯한 마음이 들었던 것은 그런 현상이 한국 문화 열풍과 무관하지 않겠다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문득 독일에 처음 갔을 때가 생각났습니다. 아이들이 가지고 간 도시락에 김이 있는 것을 보고는 독일 친구들이 ‘까만 종이’라 불렀다는 것이었습니다. 멸치 반찬을 보고는 “그렇게 작은 생선까지 먹느냐?”고 묻기까지 했다고 했습니다. 

그런 표현들은 다른 문화에 대한 호기심일 수도 있지만, 어쩌면 무시하거나 경시하는 정서가 담긴 것 아닌가 싶어 불편한 마음이 있었는데, 이제는 김밥이 외국인들에게 큰 관심과 인기를 끌고 있으니 시대가 이렇게 달라졌구나 싶었던 것입니다.

마침 우리가 찾은 마트에도 김밥을 파는 곳이 있어 일부러 찾아가 보았습니다. 전해 들은 이야기를 직접 확인해 보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역시나 마찬가지였습니다. 김밥 진열대는 텅 비어 있었고, 다음과 같은 안내문이 붙어 있었습니다. 

‘our Kimbap will be out of stock until October. we are sorry for the inconvenience!’ 

(저희 김밥은 10월까지 품절될 예정입니다. 불편을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안내문을 보며 또 한 번 반가웠던 것은 김밥을 ‘Kimbap’이라 표기를 했기 때문입니다. 그것이 당연하지 않다 싶었던 것은, 우리 고유의 문화와 전통을 중국이나 일본의 것으로 오해하는 외국인들이 많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괜히 마음이 설레며 나도 모르게 찾아든 생각이 있었습니다. ‘다음은 한글이다’라는 생각이었습니다. 음악과 음식 등 한국의 문화가 세계 속으로 퍼져간다면 마침내 세계인들은 한글을 주목하지 않을까, 정말로 귀한 보물은 긴 수고 끝에 발견하는 것처럼 한글이 인류에게 전해진 값진 유산이라는 것을 알게 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이런 뿌듯함이 성급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내 확인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마음은 이미 성급했답니다.  

<교차로>2013.10.1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41 한희철 다리 하나 한희철 2017-04-09 49
140 한희철 사닥다리 한희철 2017-01-09 49
139 한희철 한희철 2017-02-14 49
138 한희철 아름다운 순간 한희철 2022-12-13 49
137 한희철 당신 한희철 2017-02-07 49
136 한희철 따뜻하고 당당하렴 한희철 2022-09-15 49
135 한희철 바보 바보들 한희철 2017-03-02 48
134 한희철 한 고집, 한 우물 파기 file 한희철 2022-10-10 48
133 한희철 고드름 한희철 2017-01-09 48
132 한희철 나비를 잡는 아이처럼 한희철 2022-09-16 47
131 한희철 사람을 살리는 사람들 한희철 2022-09-04 47
130 한희철 줬으면 그만이지 한희철 2024-01-18 47
129 한희철 옥합 한희철 2017-01-22 47
128 한희철 가지 말아야 할 집 한희철 2023-08-09 47
127 한희철 성경이 아니라 생활에 밑줄을 한희철 2024-01-15 46
126 한희철 누구나 괴물이 될 수 있다 한희철 2022-07-20 46
125 한희철 봄 -조용한 한희철 2017-03-23 46
124 한희철 몸도 마음도 가볍기를 한희철 2022-10-12 46
123 한희철 아무도 무릎을 꿇는 자가 없었다 한희철 2022-11-09 46
122 한희철 봄꽃 -당연하게 한희철 2017-03-02 45
121 한희철 사랑만이 약입니다 한희철 2022-10-11 45
120 한희철 한희철 2017-03-16 45
119 한희철 어떤 출판기념회 한희철 2022-10-21 44
118 한희철 한희철 2017-01-22 44
117 한희철 꽃으로만 한희철 2017-03-02 43
116 한희철 봄 - 거칠수록 한희철 2017-03-23 43
115 한희철 물에 빠진 오리 알 힌희철 2023-05-05 43
114 한희철 사랑의 시인 한희철 2023-10-26 43
113 한희철 한희철 2017-05-04 42
» 한희철 다음은 한글이다 한희철 2023-10-12 42
111 한희철 봄13 한희철 2017-04-16 42
110 한희철 이슬비 내리던 자리 한희철 2017-05-04 41
109 한희철 정(情) 한희철 2023-11-02 41
108 한희철 윗논에 물이 있으면 아랫논도 물 걱정 않는다 한희철 2022-11-02 41
107 한희철 바보처럼 주님을 섬기다 간 사람 한희철 2022-09-02 41

 

 

 

저자 프로필 ㅣ 이현주한희철이해인김남준임의진홍승표ㅣ 사막교부ㅣ ㅣ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