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영혼의 샘터

옹달샘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1792. 햇살놀이방

한희철 한희철............... 조회 수 2537 추천 수 0 2002.01.17 11:14:24
.........

1792  햇살놀이방

햇살 놀이방이 졸업식을 했다. 마지막 졸업식이다. 언제 어떻게 될 지 모르기에 졸업식을 할 때마다 몇 회 졸업이라 부르지 않았다. 뻔한 끝을 향해 카운트다운을 하는 것같은 허전함을 그렇게라도 비켜서고 싶었던 것이다.
재영이, 보미, 효준이가 졸업을 하면 유빈이와 가은이 둘이 남게 된다. 한 생명을 온 천하보다 귀하게 여긴다면 그래도 이어가야 할 일이지만, 우리는 그렇지 못했다. 일년에 천만원 가량의 예산과 그만큼의 정성이 들어가야 하는 일, 그 일을 감당하기가 늘 만만치 않았다.
벅찼고......, 지친 것인지도 몰랐다.
그만두는 마음이 무거운 짐을 벗는 시원함 보다는 아쉽고 허전하고 송구함이 더 큰 것을 어찌할 수가 없다.
'어쩔 수 없이 시작'한 일이었다.
마을에 몇 있지도 않은 아이들이 부모들 일 나가면 제각각 방치되는데 그런 모습을 보면서는 어쩔 수가 없었다. 그냥 있을 수가 없었던 것이었다. 예배당 옆에 조립식 건물을 지었고, 아침마다 아이들이 모였다. 일나가는 엄마 아빠 따라 놀이방으로 온 아이들은 한동안 전쟁을 치러야 했다.
엄마 아빠 떨어지지 않으려는 아이들이 결사적으로 울어댔고, 결국은 집으로 내빼는 아이들도 있었다. 매일 아침 방앗간 옆 놀이방은 참새들 소리보다도 아이들 우는 소리가 더 요란했다. 함께 어울려 본 경험이 없는 아이들이 한데 모여 하루를 보내는 일은 쉽지 않았다. 아직 대소변도 못가리는 아이들도 있었고, 간식과 점심도 차려야 했고, 뒤죽박죽 하루가 어떻게 가는지 모를 정도였다.
그 모든일은 떠맡았던 아내의 잠과 꿈은 매일밤 어수선하고 어지러웠을 것이다. '눕기보단 쓰러지는 법'을 배워야 했으리라. 결코 쉽지 않았던 일을 감내해준 아내에게 쉽게 고맙다 하기엔 미안함이 크다.
'새 본 공과 애 본 공은 없다'며 한걸음 물러섰던 교우들, 열악한 환경, 그래도 그 일을 포기할 수 없었던 것은 그 일이 포기할 수 없는 일이었기 때문이다. 소리 때부터 시작한 일이 이번에 소리가 중학교 들어가도록 이어온 셈이니 어림잡아 7년쯤 된 것 같다.
소리, 규성, 규민, 학래, 선아, 선영, 재성, 화랑, 원석이, 보혜, 보영, 종래, 아름, 영현, 주현, 규영이와 이번에 졸업한 재영, 효준, 보미, 지금 단강초등학교를 다니는 아이들 대부분 놀이방을 거쳐간 셈이다.
아내의 뒤를 이어 조민선 선생, 이미선 선생, 김경림 선생까지 선생님들도 몇 명 바뀌었다. 단강에서 태어나 자란 김경림 선생이 (우리가 처음 단강에 왔을 때 그는 초등학교 5학년이었다.) 유아교육학과를 나와 2년간 놀이방 교사로 수고한 일도 소중하게 여겨진다. 고향을 사랑하는 마음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을 것이다.
기도와 물품과 물질로 후원한 손길이 없었다면 우리들의 일은 '역시 무모한 일'이 되고 말았을 것이다. 때를 밀어 모은 '때돈'부터 멀리 외국에 있는 얼굴도 모르는 이들까지, 남모르는 정성과 정성이 모여 슬프도록 작지만 눈물겹도록 소중한 일을 지금까지 이루어왔다.
마지막 졸업식을 할 때 마음속에 누워 있던 지나간 일들이 하나 둘 떠올랐고, 쉽지 않았던 일인만큼 참 소중하고 고맙게 여겨졌다. 겨울 아침 마른가지를 수놓은 눈부신 서리처럼 빛나는 시간으로 다가왔다.
아이들이 줄어 놀이방 문을 닫아야 한다는 것은 이땅의 스러짐. 그걸 몸으로 확인하는 일, 마음 쓰라린 일이지만 그런 만큼 환한 웃음으로 아이들의 졸업을 축하하고 싶었다.
'햇살'이라고 이름을 지었던 것은 어둡고 눅눅한 기운을 떨치고 싶었기 때문. 어둠속으로 희망의 빛이 퍼지기를 바랐기때문, 그러나 결국은 짐작했던대로 문을 닫게 되었다.
후레쉬가 없이 찍어서 그랬을까. 졸업 기념으로 찍은 사진들이 알아보기가 힘들 정도로 모두 시커멓게 나왔다.
'햇살'로 시작하여 '시커먼 사진'으로 끝난 놀이방.
하늘에 기호하나 그렇게 새겼을 뿐.
그래도 햇살 놀이방을 다녀간 아이들 마음속에 '햇살'의 정신이 늘 살아있기를 비는 마음이 무리가 아니기를. (얘기마을200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191 한희철 산과 강 한희철 2012-02-06 2630
1190 한희철 착한 숲 한희철 2012-04-14 2630
1189 한희철 모두 고마운 세상 한희철 2012-02-19 2623
1188 한희철 한희철 2012-01-18 2620
1187 한희철 1812. 사랑만이 할 수 있는일 한희철 2002-02-25 2619
1186 한희철 2310. 살아갈 이유 한희철 2007-10-08 2617
1185 한희철 2266. 비겁한 용기 한희철 2006-11-19 2616
1184 한희철 아프니 맑구나 한희철 2012-01-18 2613
1183 한희철 2345.지금은 매를 맞아야 할 때 한희철 2007-11-17 2612
1182 한희철 나무 한희철 2012-02-27 2606
1181 한희철 저만치 슬며시 한희철 2012-01-18 2605
1180 한희철 명아주 지팡이 한희철 2002-04-18 2604
1179 한희철 중요한 일일수록 한희철 2012-05-13 2593
1178 한희철 나를 울리는 것 한희철 2012-01-18 2590
1177 한희철 2354.물 한 바가지와 모래 한 알 한희철 2007-11-26 2589
1176 한희철 제야에 한희철 2012-02-06 2586
1175 한희철 2335 비밀 한 가지 한희철 2007-11-08 2584
1174 한희철 2592. 나처럼 사는 건 한희철 2012-02-12 2581
1173 한희철 사랑 한희철 2012-01-18 2579
1172 한희철 이제쯤엔 [1] 한희철 2012-02-12 2573
1171 한희철 칠칠하다 한희철 2010-01-10 2565
1170 한희철 당신마저 한희철 2012-02-12 2562
1169 한희철 2306. 흔한 들꽃 하나에도 한희철 2006-12-30 2559
1168 한희철 지금 나는 한희철 2012-01-26 2556
1167 한희철 1796. 아프게 살아가는 사람들 한희철 2002-01-23 2549
1166 한희철 바람 한희철 2012-01-26 2546
1165 한희철 누룩 한희철 2012-01-27 2545
1164 한희철 징검다리 한희철 2012-01-27 2544
1163 한희철 잔치 한희철 2012-03-18 2543
1162 한희철 1805. 편지 한희철 2002-01-31 2542
» 한희철 1792. 햇살놀이방 한희철 2002-01-17 2537
1160 한희철 참새에게 한희철 2012-06-17 2532
1159 한희철 태연 한희철 2012-01-26 2531
1158 한희철 2350. 가장 큰 사랑 한희철 2007-11-26 2526
1157 한희철 2357.모진 놈을 피하기보다는 한희철 2007-12-09 2526

 

 

 

저자 프로필 ㅣ 이현주한희철이해인김남준임의진홍승표ㅣ 사막교부ㅣ ㅣ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