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영혼의 샘터

옹달샘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2162. 아름다운 자작

한희철 한희철............... 조회 수 1319 추천 수 0 2005.09.28 13:30:09
.........
이런 것이 다 나이를 먹는 증거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요즘 들어 나무가 아름답게 보입니다. 나무는 혼자 서 있어도 외롭지 않고, 서넛이 어울려 서면 아름답고, 여럿이 모이면 든든합니다. 혼자 있든 같이 있든, 비가 오든 눈이 오든 바람이 불든, 마당에 있든 언덕에 있든 벼랑에 있든 어색함이 없습니다. 곧게 자란 것은 곧게 자란 것대로 굽은 것은 굽은 것대로, 자연스러움의 극치는 나무가 아닐까 싶습니다.
나무 중에서도 새삼 아름답게 여겨지는 것이 자작나무입니다. 눈처럼 하얀 껍질이 벗어지면서 시원스럽게 키가 뻗어 서양에서는 '숲속의 여왕'으로 대접을 받는 나무이지요. 대개는 깊은 산 양지쪽에서 자라지만 나무껍질이 아름다워 정원수나 가로수 혹은 조림수로도 심습니다. 목재는 가구를 만드는 데 쓰며,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백화피(白樺皮)라 하여 이뇨·진통·해열에 쓴다고 하니 이래저래 미덕을 많이 가진 나무입니다.
자작나무 껍질은 종이처럼 얇게 벗겨지는데, 불에 잘 타면서도 습기에 강하며 천 년이 지나도 썩지를 않기 때문에 쓸모가 많습니다. 열 장에서 열두 장 정도의 얇은 껍질은 한 장씩 벗겨내어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데도 썼다고 합니다. 껍질에는 부패를 막는 성분이 들어 있어서 좀도 슬지 않고 곰팡이도 피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랬겠지요, 천마총에서 출토된 그림의 재료가 자작나무껍질이며, 팔만대장경도 이 나무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자작나무 껍질은 물에 젖어도 불이 잘 붙으므로 불쏘시개로 중요하게 쓰입니다. 물에 흠뻑 젖은 것도 성냥불을 갖다 대면 즉시 불이 붙어 산 속에서 야영을 하는 사람들이 알아두면 좋을 아주 유용한 상식이라 합니다.
자작나무가 새삼 아름답게 여겨지는 것은 겨울 초입에 보게 되는 그 잎새 때문입니다. 물론 이파리들이 함성을 지르듯 돋아나는 봄철 때도 그랬습니다. 앞뒷산 하많은 나무들이 다투듯 잎을 낼 때 자작나무는 슬며시 자잘한 잎새 수줍게 낼뿐이었습니다. 그러면서 긴 긴 여름 괜한 아픔처럼 허물을 벗으며 보내지요.
가을이 되면 나무마다 뽐내듯 진한 단풍이 들고, 그러다가 찬바람이 불기 시작하면 우수수 잎새들이 떨어져 내립니다. 잎이 필 때 그러했듯 지는 것도 한순간입니다. 그렇게 무성한 잎새들 무심히 지고 나무마다 허전한 빈가지로 하늘이 휑할 때, 다 그럴 순 없다는 듯 끝까지 잎새를 지키고 선 것이 자작입니다. 덩달아 떠나고 싶지는 않다는 듯, 허락한 시간 끝까지 지키고 싶다는 듯 끝까지 남은 잎새들이 찬바람을 견딥니다. 그러다가 흰눈이라도 내릴 즈음 지워지듯 슬며시 자취를 감추게 되지요.
그 작고 안쓰러운 모습에 눈길이 갑니다. 끝까지 남는 작은 잎새들은 꽃만큼 아름다운데, 내가 보잘 것 없다는 걸 내가 잘 안다는 듯 자작은 여전히 작은 몸짓으로 흔들릴 뿐입니다. 요란한 것 모두 떠난 자리에 작은 몸짓으로 남아 끝내 아름다움 지키는 것 드문 세상이기에. 2004.12.6 ⓒ한희철(독일 프랑크푸르트감리교회 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66 한희철 1366. 놀이방 졸업식 한희철 2002-01-02 4390
1365 한희철 1365. 지난 겨울에 한희철 2002-01-02 4352
1364 한희철 1364. 이한주 할아버지네 한희철 2002-01-02 4350
1363 한희철 1363. 정월 대보름 풍습 한희철 2002-01-02 4349
1362 한희철 1362. 주안에 있는 나에게 한희철 2002-01-02 4383
1361 한희철 1361. 선아 할머니 한희철 2002-01-02 4393
1360 한희철 1360. 어느날 한희철 2002-01-02 4386
1359 한희철 1359. 박종훈씨 한희철 2002-01-02 4370
1358 한희철 1358. 천형(天形)처럼 한희철 2002-01-02 4345
1357 한희철 1357. 정월 초하루날 한희철 2002-01-02 4377
1356 한희철 1356. 한식을 주시는 한희철 2002-01-02 4397
1355 한희철 1355. 편지 두 통 한희철 2002-01-02 4341
1354 한희철 1354. 두 선생님과의 만남 한희철 2002-01-02 4344
1353 한희철 1353. 기차는 기찻길로 다니고 한희철 2002-01-02 4380
1352 한희철 1352. 은주 어머니 한희철 2002-01-02 4352
1351 한희철 1351. 어른 한희철 2002-01-02 4337
1350 한희철 1350. 올핸 뭘심나? 한희철 2002-01-02 4377
1349 한희철 1349. 어떤 생일 축하 한희철 2002-01-02 4376
1348 한희철 1348. 한돌이 한희철 2002-01-02 4408
1347 한희철 1347. 아욱죽과 개똥벌레 한희철 2002-01-02 4427
1346 한희철 1346. 토끼몰이 한희철 2002-01-02 4382
1345 한희철 1345. 사진관이 없다 한희철 2002-01-02 4360
1344 한희철 1344. 장기를 파는 무서운 세상 한희철 2002-01-02 4370
1343 한희철 1343. 함께 이루어가는 하나님 나라 한희철 2002-01-02 4384
1342 한희철 1342. 옮겨간 곳집 한희철 2002-01-02 4430
1341 한희철 1341. 작은 도움 한희철 2002-01-02 4348
1340 한희철 1340. 어느날의 기도 한희철 2002-01-02 4367
1339 한희철 1339. 가을 낙엽송 한희철 2002-01-02 4333
1338 한희철 1338. 지는 잎새를 보며 한희철 2002-01-02 4349
1337 한희철 1337. 어느날의 기도 한희철 2002-01-02 4396
1336 한희철 1336. 어느날의 기도 한희철 2002-01-02 4395
1335 한희철 1335. 내 이 땅을 사랑한다 함은 한희철 2002-01-02 4400
1334 한희철 1334. 어느날의 기도 한희철 2002-01-02 4473
1333 한희철 1333. 어느날의 기도 한희철 2002-01-02 4414
1332 한희철 1332. 어느날의 기도 한희철 2002-01-02 4376

 

 

 

저자 프로필 ㅣ 이현주한희철이해인김남준임의진홍승표ㅣ 사막교부ㅣ ㅣ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