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영혼의 샘터

옹달샘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편지를 쓰면 어떨까요?

한희철 한희철............... 조회 수 15 추천 수 0 2022.12.14 21:30:53
.........

편지를 쓰면 어떨까요?

 

한 번 생각해 보시겠어요? 손으로 편지를 쓴 적이 언제였는지요? 조심스레 연필을 깎고 연필심을 갈아서, 혹은 만년필에 잉크를 채워서 누군가를 수시로 떠올리며 하얀 종이 위에 한 자 한 자 마음을 적어간 적이 언제였는지요? 혹은 그렇게 쓴 편지를 받은 적이 언제였는지요?

카톡이나 문자나 메일처럼 자판을 두드려 쓴 소식 말고, 누군가가 그의 손으로 쓴 편지 말입니다. 글씨체만 보아도 그 사람의 마음이 물씬 묻어나는, 편지를 쓴 사람의 마음이 밀려드는 편지를 마지막으로 받은 적이 언제였을까 모르겠습니다.

편지를 통해 마음을 나눈 소중한 편지를 모아놓은 책이 있습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퇴계와 고봉 편지를 쓰다>입니다.

지금의 국립대 총장 격인 성균관 대사성이었던 대학자 퇴계 이황과, 이제 막 과거에 급제한 청년 고봉 기대승 사이에 오간 편지를 묶은 책입니다. 나이나 직위로 보자면 감히 이루어지기 힘든 일이었지만, 두 사람 사이의 편지는 퇴계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13년 동안 변함없이 이어집니다.

두 사람이 얼마나 지극한 마음으로 편지를 주고받는지를 느낄 수 있는 대목이 있습니다. 퇴계가 둘째 아들의 죽음과 시대를 향한 괴로운 심경을 밝히던 날, 몸소 뵙고 여쭙지 못하는 것을 한스럽게 여기며 고봉은 편지를 부치는데, 편지 말미에 '삼가 백 번 절하고 올립니다'라고 쓰고 있습니다. 백 번을 절하고 전하는 편지가 어찌 자판을 통해 오가는 소식과 같을 수가 있을까 싶습니다.

<영혼의 편지>도 빠뜨릴 수 없지 싶습니다. 화가 고흐는 동생에게 마음을 쏟아놓듯 모두 668통의 편지를 써서 보냅니다. 물감을 아껴 써야 할 만큼 고흐가 얼마나 지독하게 가난했는지, 자신의 그림을 알아주는 이 없는 삶을 이어가기가 얼마나 고독했는지, 그러면서도 예술혼을 꺼뜨리지 않기 위해 얼마나 분투했는지를 고스란히 느낄 수가 있습니다.

그러고 보면 테오는 고흐의 동생이면서도 생의 유일한 말벗이었던 것 같습니다. 테오 또한 형이 죽은 지 6개월 만에 갑자기 건강이 악화되어 33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 형의 무덤 옆에 눕게 되었으니, 형제간의 우애가 참으로 깊다 싶습니다.

최근에 읽은 <헨쇼 선생님께>는 참으로 마음이 따뜻해지는 책입니다. 아동문학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뉴베리상’을 받은 책입니다.

주인공인 소년 리 보츠는 불행한 환경에서 살아갑니다. 엄마와 아빠가 이혼을 하여 낯선 동네로 이사를 온 리 보츠는 엄마와 둘이서 작은 집에서 삽니다. 엄마는 고장 난 TV를 고쳐주지 않는데, 리 보츠는 누구와도 가까워지지 못합니다. 트럭 운전을 하는 아빠와 아빠가 데리고 간 애견 ‘산적’을 늘 그리워하지만 아빠는 연락조차 자주 하지를 않습니다.

비록 학교 숙제로 시작한 일이었지만 자신이 재미있게 읽은 책의 저자인 헨쇼 선생님께 편지를 쓰기 시작하면서 리 보츠는 달라지기 시작합니다.

편지를 쓰며 자신이 이해할 수 없었던 것들을 이해하며, 좋아하는 선생님이 보내주신 편지를 읽으며 마음의 상처를 치유하며 위로와 용기를 얻게 됩니다.

굳이 공개할 것도 아니고 책으로 묶을 것도 아니지만, 누군가에게 마음이 담긴 편지를 쓰면 어떨지요? 어쩌면 그 편지가 벗어나기 힘들었던 웅덩이에서 나를 꺼내줄지도 모를 테니까요. 

 

한희철 목사 <교차로> 2022.12.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050 이현주 키 작은 사람 삭개오 (눅19:1-10) 이현주 2023-01-01 34
12049 한희철 태어나서 쓴 가장 큰 돈 한희철 2022-12-28 79
12048 임의진 [시골편지] 깻잎 동포 file 임의진 2022-12-27 42
12047 임의진 [시골편지] 업두꺼비 file 임의진 2022-12-26 26
12046 임의진 [시골편지] 인생과 몀생 file 임의진 2022-12-24 43
12045 임의진 [시골편지] 풀냄새 킁킁 file 임의진 2022-12-23 43
12044 임의진 [시골편지] 제자리 마음공부 file 임의진 2022-12-22 33
12043 한희철 욕개미창과 막현호미 한희철 2022-12-21 33
12042 임의진 [시골편지] 사막학교 file 임의진 2022-12-18 16
12041 한희철 소중한, 그러나 너무도 아픈 선물 한희철 2022-12-17 38
12040 이현주 여리고의 맹인을 고쳐주심 (눅18:36-43) 이현주 2022-12-16 25
12039 이현주 당신의 죽음을 예고하심 (눅18:18:31-34) 이현주 2022-12-16 26
12038 이현주 하나님 나라를 위하여 집을 버린 사람들(눅18:18-30) 이현주 2022-12-16 32
12037 이현주 낙타와 바늘귀 (눅18:18-27) 이현주 2022-12-16 33
12036 이현주 안수받으러 온 아이들 (눅18:15-17) 이현주 2022-12-16 30
12035 이현주 성전에서 기도하는 두 사람 (눅18:9-14) 이현주 2022-12-16 32
12034 이현주 불의한 재판장 (눅18:1-8) 이현주 2022-12-16 26
12033 이현주 사람 아들의 날 (눅17:22-37) 이현주 2022-12-16 17
12032 이현주 하나님 나라는 언제 어디에? (눅17:20-21) 이현주 2022-12-16 28
12031 이현주 나병 환자 열 사람 (눅17:11-19) 이현주 2022-12-16 17
» 한희철 편지를 쓰면 어떨까요? 한희철 2022-12-14 15
12029 한희철 아름다운 순간 한희철 2022-12-13 49
12028 한희철 기록한다는 것의 의미 한희철 2022-12-07 31
12027 이현주 종의 임무 수행(눅17:7-10) 이현주 2022-12-07 22
12026 이현주 겨자씨 한 알(눅17:7-10) 이현주 2022-12-07 37
12025 이현주 불행한 사람 (눅17:1-4) 이현주 2022-12-07 17
12024 이현주 부자와 거지 (눅16:19-31) 이현주 2022-12-07 21
12023 이현주 하늘과 땅은 사라져도 (눅16:17) 이현주 2022-12-07 14
12022 이현주 들어가려고 애쓰는 나라 (눅16:16) 이현주 2022-12-07 12
12021 이현주 돈 좋아하는 바리새인들 (눅16:14-15) 이현주 2022-12-07 12
12020 이현주 영리한 청지기(눅16:1-13) 이현주 2022-12-07 18
12019 이현주 잃었던 아들(눅15:11-32) 이현주 2022-12-07 15
12018 이현주 잃은 은전 (눅15:8-10) 이현주 2022-12-06 8
12017 이현주 잃은 양 (눅15:1-7) 이현주 2022-12-06 11
12016 한희철 오래 가는 것에 대한 그리움 한희철 2022-11-30 23

 

 

 

저자 프로필 ㅣ 이현주한희철이해인김남준임의진홍승표ㅣ 사막교부ㅣ ㅣ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