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영혼의 샘터

옹달샘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얼음을 녹이는 것은

한희철 한희철............... 조회 수 38 추천 수 0 2024.02.07 21:38:07
.........

3b2db892deb215454cf3aeee5fbd953f.jpg [한희철 목사] 얼음을 녹이는 것은

 

태어나서 자란 고향 부곡은 정말 많은 것들이 달라졌습니다. 무엇보다도 같은 모양의 집들이 나란히 서 있던 예전의 동네 모습이 완전히 사라졌습니다. 철도청에 근무하는 이들을 위한 관사가 100호나 세워져 있었는데, 당시로서는 매우 드문 구조였습니다. 목욕탕도 있고 지하실도 있는 일본식 구조였는데, 그런 집들이 나란히 줄을 맞춰 서 있었던 것이지요. 

 

지금은 관사가 대부분 헐리고 그 자리에는 아파트와 연립주택이 들어서 있습니다. 눈을 감고도 집을 찾아갈 수 있을 것 같은 어릴 적 기억을 두고, 지금은 도대체 어디가 어디인지 구분을 할 수가 없을 정도입니다. 

 

그래도 여전히 변하지 않은 것이 있습니다. 동네 서쪽 편에 있던 저수지가 지금도 남아 있습니다. 월암리와 입북리와 초평리에 걸쳐 펼쳐진 큰 저수지였습니다. 동네에 다른 저수지가 더 있는 것이 아니어서 어릴 적 우리는 그냥 저수지라 불렀는데, 지금은 왕송호수로 불리더군요. 호수 주변으로는 바이크 시설이 설치되어 외지에서도 찾아오고 있고요.

 

어릴 적 저수지는 큰 운동장과도 같았습니다. 여름에는 수영을 하고, 조개와 우렁이를 잡고, 긴 줄기를 따라 물속에서 자라는 마름을 캤습니다. 겨울에는 겨울대로 동네 운동장이었습니다. 얼음이 꽝꽝 얼면 나무를 깎아 팽이를 돌리고, 외발 썰매와 스케이트를 타기도 했습니다. 제 몸이 어는 것에 대한 통증인지 저수지 얼음장이 쩡쩡 우는 소리를 경외감으로 듣기도 했습니다.

 

겨울철 얼음을 생각하면 떠오르는 일이 한 가지 더 있습니다. 썰매를 타다가 심심하면 조개를 잡기도 했습니다. 저수지가 얼 정도이니 저수지 곁에 있는 논은 당연히 얼음이 얼었는데, 우리는 조개가 어디에 있는지를 알고 있었습니다. 얼음 밑 흙 속에 있어 보이지도 않는 조개를 어찌 잡을까 싶겠지만, 방법이 있었지요.

 

조개가 있는 곳 바로 위에는 조개가 숨을 쉰 자국이 남아 있었습니다. 가만히 얼음 위를 살펴보면 마치 나무의 나이테처럼 생긴 무늬가 새겨져 있었습니다. 무늬 주변으로 손이 들어갈 만큼 얼음을 깨고 손을 넣으면 조개가 잡혔습니다. 자연 속에서 자라는 아이들만이 알 수 있는 일로, 얼음장 아래에 있던 조개로서는 기가 막힌 일이었겠다 싶습니다.

 

어느덧 시간이 흘러 ‘입춘’의 시간을 맞습니다. 느낌이 그런 것인지 실제로 그런 것인지, 어디선가 봄기운이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햇살도 조금 더 밝고 따뜻해진 듯싶고, 바람도 한결 순해진 듯싶습니다.  

 

어릴 적 조개를 잡던 기억을 떠올리다 보니 문득 드는 생각이 있습니다. 그곳이 어디이든 얼음장을 녹이는 것은 따뜻해지는 햇살이나 순해지는 바람만이 아니겠구나 싶습니다. 더 이상은 참지 못하고 막 벙글기 시작할 꽃봉오리의 금 가는 소리일 수도 있고, 노루 꼬리만큼씩 길어지는 밝음의 기운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얼음장을 녹이는 것 중 한 가지 빠뜨릴 수 없는 것이 있습니다. 얼음장 밑에서 숨을 쉬는 누군가의 호흡, 그것이 물고기든 조개든 그 무엇인가가 숨을 쉬는 작은 온기 또한 얼음장을 녹이겠지요. 이 시대의 얼음장을 녹이는 것 역시 누군가의 따뜻한 마음 한 줌일지도 모르겠습니다.  

<교차로>2024.2.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2515 이현주 랑에 뿌리를 내리고 사랑에 터를 잡아(엡3:14-21) 이현주 2024-02-12 13
12514 이현주 그리스도로 실현되는 하나님의 비밀계획(엡3:1-13) 이현주 2024-02-12 14
12513 이현주 화해의 제물이 되신 그리스도(엡2:11-22) 이현주 2024-02-12 12
12512 임의진 [시골편지] 이러기야 file 임의진 2024-02-10 38
12511 임의진 [시골편지] 우웨이 file 임의진 2024-02-09 31
12510 임의진 [시골편지] 까치발 아이 file 임의진 2024-02-08 27
» 한희철 얼음을 녹이는 것은 한희철 2024-02-07 38
12508 임의진 [시골편지] 프린스와 오토바이 file 임의진 2024-02-06 29
12507 임의진 [시골편지] 발음과 바름 file 임의진 2024-02-05 25
12506 임의진 [시골편지] 노루와 도루 file 임의진 2024-02-04 25
12505 임의진 [시골편지] 바람 냄새 file 임의진 2024-02-03 38
12504 임의진 [시골편지] 징글벨 타령 file 임의진 2024-02-02 22
12503 임의진 [시골편지] 버섯 수프 file 임의진 2024-02-01 28
12502 한희철 같이 간다는 것은 한희철 2024-01-31 35
12501 임의진 [시골편지] 연하장 file 임의진 2024-01-31 20
12500 임의진 [시골편지] 멋쟁이 겨울 신사 file 임의진 2024-01-30 13
12499 이현주 우리는 하나님의 작품(엡2:1-10) 이현주 2024-01-29 32
12498 이현주 교회의 머리이신 그리스도(엡1:15-23) 이현주 2024-01-29 25
12497 이현주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시는 하나님의 일(엡1:3-14) 이현주 2024-01-29 21
12496 이현주 에베소 첫인사(엡1:1-2) 이현주 2024-01-29 24
12495 이현주 마지막 권면과 끝인사(갈6:11-18) 이현주 2024-01-29 24
12494 이현주 육신에 심은 사람과 성령에 심는 사람(갈6:1-10) 이현주 2024-01-29 26
12493 이현주 육의 열매들과 성령의 열매들(갈4:16-26) 이현주 2024-01-29 22
12492 이현주 자유를 위하여 부르심을 받은 사람들(갈5:1-15) 이현주 2024-01-29 21
12491 이현주 종의 자녀들과 자유인의 자녀들(갈4:21-31) 이현주 2024-01-29 20
12490 이현주 천박한 초등학문으로 돌아가려는 자들에게(갈4:8-20) 이현주 2024-01-29 22
12489 임의진 [시골편지] 물소유와 돌킹이 file 임의진 2024-01-27 24
12488 임의진 [시골편지] 샹송의 계절 file 임의진 2024-01-26 30
12487 임의진 [시골편지] 순딩이 순두부 file [1] 임의진 2024-01-25 37
12486 한희철 또 하나의 대장별 한희철 2024-01-24 18
12485 임의진 [시골편지] 쟁반달 file 임의진 2024-01-23 22
12484 임의진 [시골편지] 구찌뽕 file 임의진 2024-01-22 30
12483 임의진 [시골편지] 탕수육 file 임의진 2024-01-21 30
12482 임의진 [시골편지] 은행나무 사랑 file 임의진 2024-01-20 35
12481 임의진 [시골편지] 사왓디 file 임의진 2024-01-19 47

 

 

 

저자 프로필 ㅣ 이현주한희철이해인김남준임의진홍승표ㅣ 사막교부ㅣ ㅣ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