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영혼의 샘터

옹달샘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2188. 한숨도 버릇된다

한희철 한희철............... 조회 수 1508 추천 수 0 2005.11.28 10:35:56
.........
한숨과 버릇, 어려울 것 없는 우리말입니다. 따로 설명이 필요 없을 만큼 잘 알고 있는 말이지만 우리의 속담 하나를 새롭게 새기기 위해 사전을 찾아서 새삼 그 의미를 확인해 봅니다.
'버릇'이란 여러 번 거듭하는 사이에 몸에 배어 굳어 버린 성질이나 행동을 말합니다. 자신도 모르게 몸에 배는 습관이어서 습벽(習癖)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사람들은 저마다 고유한 버릇을 가지고 있습니다. 손버릇, 말버릇, 입버릇 등 익숙한 버릇에서부터 눈버릇, 코버릇 등 조금은 낯설게 여겨지는 버릇에 이르기까지 버릇에는 종류도 많습니다. 좋은 버릇도 있고, 좋지 않은 버릇도 있습니다.
한 번 배게 되면 여간해서는 버리기가 힘든 것이 버릇입니다. '버릇 굳히기는 쉬워도 버릇 떼기는 어렵다'는 속담이나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은 괜히 나온 말이 아닐 것입니다. 세 살 때 배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고 굳이 구체적인 나이를 대고 있지만, 자기 자신도 기억하지 못할 만큼 아주 어릴 적 몸에 밴 버릇도 한 번 몸에 배기만 하면 그것이 평생을 가는 법이라는 의미로 다가옵니다.
버릇과 관련하여 '제 버릇 개 못 준다'는 말이 있는 것을 보면, 나쁜 버릇일수록 버리기가 어렵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그래서 생긴 말이겠지요, '좋은 버릇은 들기 어렵고, 나쁜 버릇은 버리기 어렵다'는 속담도 눈에 띕니다. 나쁜 버릇일수록 버리기가 어려운 법이라면 아예 처음부터 잘못된 버릇이 몸에 배지 않도록 자신을 경계하고 삼가는 것이 최선일 듯 싶습니다.
'한숨'이란 잠깐 동안의 휴식이나 잠을 이르는 말이기도 하지만, 근심이나 설움이 있을 때 길게 몰아서 내쉬는 숨을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아무리 몰아서 내쉰다 하여도 숨에 무슨 무게가 있을까 싶지만 한숨은 때로 대단한 무게로 느껴지기도 하는데, '젊은 과부의 한숨은 땅도 꺼진다'는 속담이 있을 정도입니다.  
한숨은 큰 근심이 있거나 안 좋은 소식을 들었을 때, 깊이 탄식할 일이 있을 때 자신도 모르게 나오게 됩니다. 버릇이 자기도 모르게 몸에 배듯이 한숨 또한 자신도 모르게 터져 나오곤 합니다. 그런 면에서 한숨을 특별한 일을 만났을 때에만 일어나는 신체반응이라 생각할지 몰라도 우리 옛 어른들은 '한숨도 버릇이 된다'고 가르치고 있습니다. 어처구니없는 일을 만났을 때 자기도 모르게 터져 나오는 것이 아니라, 한 번 한숨을 짓기 시작하면 그것이 몸과 마음에 쌓여 마침내 버릴 수 없는 버릇이 되고 만다는 것이지요. 그러고 보니 한숨을 버릇처럼 내쉬는 사람이 주변에 아주 없지만은 않은 것 같습니다.  
만약 한숨도 버릇되는 것이라면 웃음도 버릇되는 것이 아닐까요? 한 번 두 번 웃기 시작하면 그것이 어느새 몸에 배어 늘 웃는 삶을 살게 되겠지요. 만약 웃음이 버릇된다면 희망도 사랑도 버릇이 될 수 있겠다 싶습니다. 내가 나도 모르게 내 안에 채워가고 있는 버릇은 부정적인 버릇인지 긍정적인 버릇인지, 한숨도 버릇된다는 속담을 통해 한번쯤 돌아보았으면 좋겠습니다.2005.4.6 ⓒ한희철(독일 프랑크푸르트감리교회 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20 한희철 2226. 우리 손에 들린 돌멩이 한희철 2005-12-17 1617
4219 한희철 2225. 나부터 시작하자 한희철 2005-12-17 1573
4218 한희철 2224. 깨진 컵 한희철 2005-12-17 1865
4217 한희철 2223. 마지노 요새를 다녀와서 한희철 2005-12-17 2381
4216 한희철 2222. 교사불여졸성(巧詐不如拙誠) 한희철 2005-12-17 2254
4215 한희철 2221. 독일 할머니와 무 한희철 2005-12-17 1722
4214 한희철 2220. 큰 숙제 한희철 2005-12-17 1539
4213 한희철 2219. 가장 행복한 상 한희철 2005-12-17 1573
4212 한희철 2218. 쌀 두 말로 쌀 한 말을 한희철 2005-12-17 1743
4211 한희철 2217. 별이 되는 이름 한희철 2005-12-17 1543
4210 한희철 2216. 말 한 마디 한희철 2005-12-16 1515
4209 한희철 2215. 향기로운 마음의 선물 한희철 2005-12-16 1637
4208 한희철 2214. 한사람의 박수 한희철 2005-12-16 1537
4207 한희철 2213. 아버지 한희철 2005-12-16 1588
4206 한희철 2212. 아버지의 초상화 한희철 2005-12-16 1605
4205 한희철 2211. 홀가분한 마음 한희철 2005-12-15 1534
4204 한희철 2210. 지금 치료하지 않으면 한희철 2005-12-15 1527
4203 한희철 2209. 착하게 살자고요? 한희철 2005-12-15 1565
4202 한희철 2208. 박쥐의 헌혈 한희철 2005-12-15 1565
4201 한희철 2207. 독수리와 딱정벌레 한희철 2005-12-15 1604
4200 한희철 2206 두 팔로 안을 수 있는 한희철 2005-12-11 1446
4199 한희철 2205. 아, 봉숭아물! 한희철 2005-12-11 1624
4198 한희철 2204.‘신상구’ 한희철 2005-12-11 1694
4197 한희철 2203. 양파 파는 노인 한희철 2005-12-11 1477
4196 한희철 2202.‘향수’를 눈물로 듣는 까닭 한희철 2005-12-11 1616
4195 한희철 2201. 잘익은 사람 하나 한희철 2005-12-10 1576
4194 한희철 2200.툭 내뱉는 말 한희철 2005-12-10 1564
4193 한희철 2199. 사람이 왜 아름다운 것인지 한희철 2005-12-10 1545
4192 한희철 2198. 사람을 믿는다는 것 한희철 2005-12-10 1612
4191 한희철 2197. 세상이 알아주건 말건 한희철 2005-12-10 1423
4190 김남준 버려야 할 마음-강퍅한 마음 김남준 2005-12-08 3239
4189 김남준 부드러운 마음과 완고한 마음 김남준 2005-12-08 3206
4188 김남준 하나님의 말씀에 예민한 마음 김남준 2005-12-08 3027
4187 김남준 율법에 대한 설교 김남준 2005-12-08 2570
4186 한희철 2196.끌개 한희철 2005-12-02 1724

 

 

 

저자 프로필 ㅣ 이현주한희철이해인김남준임의진홍승표ㅣ 사막교부ㅣ ㅣ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