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영혼의 샘터

옹달샘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2227. 복비(伏雨)는 복비(福雨)다

한희철 한희철............... 조회 수 1683 추천 수 0 2005.12.21 16:55:48
.........
2227. 복비(伏雨)는 복비(福雨)다

농촌에 살며 몇 년간 벼농사를 지어본 적이 있습니다. 서너 마지기의 논에 경험 삼아 했던 흉내내기 농사였지만, 그래도 제게는 소중한 경험으로 남아 있습니다. 벼농사를 지어보니 농사가 하늘 눈치를 살피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중 어려운 것이 물이었습니다. 모자라도 안 됐고, 넘쳐도 안 됐습니다. 논에 물이 어느 때 얼마나 있어야 하는지를 감 잡을 수가 없었습니다. 하루는 같은 마을에 사는 젊은 농사꾼에게 논물에 대해 물었더니 그의 대답이 분명하고 시원했습니다. "농사꾼은 꿈속에서도 논에 물이 마르면 안 된다"는 것이었습니다. 꿈속에서도 물이 마르면 안 되는 삶, 그게 농사꾼의 삶이었습니다.
오랜 기간동안 농사문화권 안에 있었던 우리나라로선 물이 그만큼 중요한 것이어서 비에 대한 생각도 남달랐던 것 같습니다. 계절마다 비에 대한 느낌도 달라, '봄비는 일비고, 여름비는 잠비고, 가을비는 떡비고, 겨울비는 술비다'라는 속담이 있는데, 계절마다 비를 대하는 마음이 잘 담겨있지 싶습니다.
봄에 오는 비는 일하라고 오는 비였습니다. 비가와야 할 수 있는 일들이 봄엔 거반 다였을 테니까요. 특별히 봄철엔 비가 넉넉히 와야 그 해 벼농사가 풍년이 들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그래서 '봄비는 거름이다' 혹은 '봄비는 벼농사 밑천이다'라는 말도 생겨났고, 봄에 내리는 비가 풍년을 약속하다 보니 '봄비가 잦으면 동네 지어미 손이 커진다', '봄비가 잦으면 시어머니 손이 커진다' 는 말도 생겨났지 싶습니다.
봄에 비해 여름은 비교적 농한기여서 비가 오면 낮잠을 자게 됩니다. 목침을 베고 빗소리를 들으며 낮잠에 빠져드는 모습이 눈에 선합니다. 잠이 얼마나 달았을까요. 가을에 비가 오면 햅쌀로 떡을 해먹으며 쉬고, 겨울에 비가 오면 날도 궂은데 술 생각이 나고, 그러면 친구나 이웃들과 함께 모여 술을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가졌겠지요.

비와 관련, '백중날 비가 오면 백 가지에 해롭고, 처서날 비가 오면 천 가지에 해롭다'는 말도 있습니다. '백중'과 '백 가지'가, '처서'와 '천 가지'가 어울리는 그럴 듯한 운율 안에서 특정한 때에 비가 갖는 의미를 정리한 것이 절묘합니다. 처서 때가 되면 벼이삭에 한창 꽃이 필 때인지라, 그 무렵 비가 오면 벼이삭을 쭉정이로 만들기가 십상이었습니다. '백중' 대신 '백로에 비가 오면 십 리에 백 석을 감한다'는 말도 있는데, '백로' 때는 재래종 벼에 벼꽃이 필 때여서 같은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복날 비가 오면 비에 약한 대추가 다 떨어져 대추의 고장인 충청도 청산, 보은 처녀가 부엌문 붙잡고 운다는 말이 있지만, 옛 어른들은 복비(伏雨)는 복비(福雨)라 했습니다. 한창 더울 때 비가 오면 시원하기도 하지만, 벼가 잘 자라 풍년을 기대하게 했을 테니까요.
시도 때도 없이 비가 내리는 삼복의 이 계절, 이 때 내리는 비를 복비(福雨)로 여겼던 옛 어른들의 마음을 헤아리며 비의 의미를 마음에 새겨보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2005.7.17 ⓒ한희철(독일 프랑크푸르트감리교회 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55 한희철 2234 진짜는 항상 아름답다 한희철 2005-12-30 1707
4254 한희철 2233. 비꽃과 비설거지 한희철 2005-12-30 1844
4253 한희철 2232. 틈과 여유 한희철 2005-12-30 1513
4252 한희철 2231. 내가 밥상을 받지 않으면 한희철 2005-12-30 2698
4251 한희철 2230. 마음의 그레발 한희철 2005-12-30 1470
4250 이현주 예, 아니 이현주 2005-12-30 2927
4249 이현주 가난하다는 것은 이현주 2005-12-30 2852
4248 이현주 성자가 되고 싶었습니다 이현주 2005-12-30 2832
4247 이현주 그러므로 저는 당신입니다. [1] 이현주 2005-12-27 3020
4246 이현주 왜 비싼 돈 쓰면서 이현주 2005-12-27 2887
4245 이현주 우러러 보이는 성직자 이현주 2005-12-27 2925
4244 이현주 신앙인(믿는 사람)의 삶은 이현주 2005-12-27 2873
4243 이현주 성경을 잘 읽는 법 이현주 2005-12-27 3189
4242 이현주 너도 할 수 있다 이현주 2005-12-27 3168
4241 이현주 엄청난 욕심 이현주 2005-12-27 2813
4240 이현주 문제를 해결하지 말아라 이현주 2005-12-27 2879
4239 이현주 영성과 밥상 2 이현주 2005-12-22 3038
4238 이현주 영성과 밥상 1 이현주 2005-12-22 2686
4237 이현주 사망은 과연 원수인가? 이현주 2005-12-22 2723
4236 이현주 수행에 대하여 이현주 2005-12-22 2695
4235 이현주 신학에 대하여 이현주 2005-12-22 2730
4234 이현주 오직 믿음으로 이현주 2005-12-22 3073
4233 이현주 믿음이란 이현주 2005-12-22 2910
4232 이현주 나의 글에 이현주 2005-12-22 2859
4231 이현주 내 한 몸이 바뀌면 이현주 2005-12-22 2787
4230 이현주 길게 말할 것 없다 이현주 2005-12-22 2836
4229 이현주 화가 나기 시작할 때 이현주 2005-12-22 2340
4228 이현주 화가 날 때는 이현주 2005-12-22 2691
4227 이현주 시비를 따지는 일 이현주 2005-12-22 2781
4226 이현주 지치지 않게 사는 법 이현주 2005-12-22 2690
4225 이현주 몸을 떠나서는 아무것도 못한다 이현주 2005-12-22 2749
4224 이현주 아, 이게 무엇일까요? 이현주 2005-12-22 2715
4223 한희철 2229. 우린 얼마나 같은지 한희철 2005-12-21 1636
4222 한희철 2228 원수는 원수를 부를 뿐이다 한희철 2005-12-21 1589
» 한희철 2227. 복비(伏雨)는 복비(福雨)다 한희철 2005-12-21 1683

 

 

 

저자 프로필 ㅣ 이현주한희철이해인김남준임의진홍승표ㅣ 사막교부ㅣ ㅣ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