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영혼의 샘터

옹달샘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2300 밤송이를 헤치는 꿈

한희철 한희철............... 조회 수 2913 추천 수 0 2006.12.30 11:32:30
.........
2300 밤송이를 헤치는 꿈
                      
엉뚱한 질문에 기발한 답을 찾아내는 수수께끼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따끔이 속에 빤질이, 빤질이 속에 털털이, 털털이 속에 얌얌이가 있는 것이 무엇이겠는가 하는 것입니다. 따끔이, 빤질이, 털털이, 얌얌이 등의 말이 흔하게 쓰는 말이 아니어서 쉽게 짐작하기가 어렵지만 그래도 가만 하나하나의 뜻을 짚어보면 생각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가을철 열리는 열매 중 하나인 밤을 두고 한 말입니다. 밤은 따끔따끔한 가시와 두껍고 빤들빤들한 겉껍질과 떫은 속껍질을 벗겨내야 비로소 고소하고 오들오들한 맛을 볼 수가 있습니다. 따끔이, 빤질이, 털털이, 얌얌이는 모두 밤을 벗겨내며 만나게 되는 밤알의 특성을 재미있게 표현한 말들이었던 것입니다.
소설가 박완서 씨는 동화집 <달걀은 달걀로 갚으렴>을 펴내며 머리말 삼아 쓴 글에서 무엇이 사람으로 하여금 몇 겹의 난관을 뚫고 제일 처음으로 밤알의 맛을 보게 하였을까 하는 것을 묻고 있습니다.
우리야 밤을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어 가을이 되면 밤을 따서 밤송이의 가시 속을 막대기로 벌리고 헤쳐 밤알을 꺼낼 줄 압니다. 하지만 처음으로 밤을 본 옛 사람은 온통 가시로 둘러싸인 밤송이 속에 고소한 밤알이 들어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을까요? 이야기를 듣고 보니 궁금해집니다. 제일 처음으로 밤알의 맛을 보게 된 것에 대해서 박완서 씨는 이렇게 말하고 있었습니다.
“몽둥이와 돌멩이였을 거라구요? 꼬챙이였을 거라구요? 아니, 원시인의 억센 이빨이었을 거라구요? 아니 아니 그 일은 원시인의 뾰족한 손톱과 발톱 아니면 안 되었을 거라구요? 다 옳은 소리입니다. 그러나 몽둥이나 돌멩이, 이빨이나 손톱이 제일 처음의 것은 아닙니다.”  
물론 밤알 속에 무엇이 들었는지를 알기 위해선 몽둥이나 돌멩이와 같은 도구를 썼을지도 모릅니다. 원시인의 억센 이빨이나 강한 손톱이 사용되었을지도 모를 일이지요. 그러나 박완서 씨는 밤알의 맛을 제일 처음으로 맛보게 한 것은 사람들의 꿈이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제일 처음의 것은 사람들의 꿈이었다고, 저 험악하게 생긴 것 속에 어쩌면 가장 맛좋은 것이 숨어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 사람들의 꿈이었다는 것입니다.  
비록 가시투성이지만 그 속에 무엇이 들어있을까 궁금해 했던, 껍질 하나를 벗겨내면 떫은맛을 내는 얇은 막이 나오지만, 그래도 그 속에 어쩌면 가장 맛있는 것이 들어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꿈이 처음으로 밤의 맛을 보게 했을 것이라는 말에 공감을 하게 됩니다.
꿈은 그렇게 갖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가시투성이 속에 가장 맛있는 것이 들어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꿈은 시작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런 꿈이 밤의 맛을 처음으로 보게 하는 것이고요. 꿈은 밤송이의 가시를 헤치게 하고, 떫은맛을 견뎌 마침내 밤의 단맛을 보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 가시투성이와 같은 삶속에서도 꿈을 간직해야 할 이유는 충분히 있는 것입니다. 2006.9.4 ⓒ한희철(독일 프랑크푸르트감리교회 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280 김남준 십자가 없는 사랑 김남준 2012-02-24 2948
8279 김남준 헌신하는이의 자세 김남준 2011-12-17 2948
8278 이해인 이해인 수녀님 2001년 9월 소식 이해인 2001-12-29 2947
8277 김남준 모든 것을 믿으며 사랑하는 사람 김남준 2012-02-23 2946
8276 김남준 대치할 수 없는 사랑의 말 김남준 2011-11-29 2942
8275 김남준 거룩한 집착 김남준 2012-02-05 2940
8274 필로칼리아 책망 최용우 2011-11-22 2940
8273 김남준 용서로 맺어지는 돈독한 결합 김남준 2011-10-21 2940
8272 김남준 관계를 개선하는 방법 김남준 2011-09-20 2938
8271 홍승표 [이철수] 가을꽃 홍승표 2002-01-26 2937
8270 임의진 [시골편지] 징글징글 징글벨 file 임의진 2011-03-16 2936
8269 한희철 당연하게 맞이하는 하루가 한희철 2012-01-18 2933
8268 이현주 막을 수 없다 이현주 2006-01-10 2933
8267 김남준 우리는 왜 이렇게 살아갈까요? [1] 김남준 2005-10-05 2933
8266 김남준 우리는 절망할 수 없습니다 김남준 2012-02-23 2932
8265 김남준 역린과 순린 김남준 2011-10-10 2932
8264 임의진 [시골편지] 땔감 구하기 전쟁 file 임의진 2011-03-16 2931
8263 이현주 새소리 이현주 2006-01-30 2931
8262 홍승표 [황지우] 거룩한 식사 홍승표 2005-01-14 2931
8261 김남준 기쁨으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는 사랑 김남준 2012-02-25 2929
8260 이현주 충분히 맛보아라 이현주 2006-01-19 2928
8259 이현주 예, 아니 이현주 2005-12-30 2927
8258 김남준 모든 것을 바라는 사랑 김남준 2012-02-23 2925
8257 이현주 우러러 보이는 성직자 이현주 2005-12-27 2925
8256 필로칼리아 설득과 감동 최용우 2011-11-22 2924
8255 임의진 [시골편지]영국 시골마을 file 임의진 2011-06-06 2923
8254 김남준 본성적인 분노를 잠재울 만한 사랑 김남준 2012-02-02 2921
8253 이현주 고기 낚는 어부와 사람 낚는 어부 [1] 이현주 2005-03-13 2920
8252 한희철 1806. 콩 고르기 한희철 2002-01-31 2920
8251 이현주 두루말이 휴지 이현주 2001-12-29 2919
8250 홍승표 [최종진] 누에 홍승표 2006-02-27 2917
8249 김남준 인간은 발전 가능한 존재 김남준 2011-11-15 2916
» 한희철 2300 밤송이를 헤치는 꿈 한희철 2006-12-30 2913
8247 김남준 성내지 마십시오 김남준 2012-02-02 2911
8246 필로칼리아 일확천금 최용우 2011-12-04 2910

 

 

 

저자 프로필 ㅣ 이현주한희철이해인김남준임의진홍승표ㅣ 사막교부ㅣ ㅣ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