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영혼의 샘터

옹달샘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2300 밤송이를 헤치는 꿈

한희철 한희철............... 조회 수 2913 추천 수 0 2006.12.30 11:32:30
.........
2300 밤송이를 헤치는 꿈
                      
엉뚱한 질문에 기발한 답을 찾아내는 수수께끼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습니다. 따끔이 속에 빤질이, 빤질이 속에 털털이, 털털이 속에 얌얌이가 있는 것이 무엇이겠는가 하는 것입니다. 따끔이, 빤질이, 털털이, 얌얌이 등의 말이 흔하게 쓰는 말이 아니어서 쉽게 짐작하기가 어렵지만 그래도 가만 하나하나의 뜻을 짚어보면 생각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가을철 열리는 열매 중 하나인 밤을 두고 한 말입니다. 밤은 따끔따끔한 가시와 두껍고 빤들빤들한 겉껍질과 떫은 속껍질을 벗겨내야 비로소 고소하고 오들오들한 맛을 볼 수가 있습니다. 따끔이, 빤질이, 털털이, 얌얌이는 모두 밤을 벗겨내며 만나게 되는 밤알의 특성을 재미있게 표현한 말들이었던 것입니다.
소설가 박완서 씨는 동화집 <달걀은 달걀로 갚으렴>을 펴내며 머리말 삼아 쓴 글에서 무엇이 사람으로 하여금 몇 겹의 난관을 뚫고 제일 처음으로 밤알의 맛을 보게 하였을까 하는 것을 묻고 있습니다.
우리야 밤을 어떻게 먹어야 하는지를 잘 알고 있어 가을이 되면 밤을 따서 밤송이의 가시 속을 막대기로 벌리고 헤쳐 밤알을 꺼낼 줄 압니다. 하지만 처음으로 밤을 본 옛 사람은 온통 가시로 둘러싸인 밤송이 속에 고소한 밤알이 들어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을까요? 이야기를 듣고 보니 궁금해집니다. 제일 처음으로 밤알의 맛을 보게 된 것에 대해서 박완서 씨는 이렇게 말하고 있었습니다.
“몽둥이와 돌멩이였을 거라구요? 꼬챙이였을 거라구요? 아니, 원시인의 억센 이빨이었을 거라구요? 아니 아니 그 일은 원시인의 뾰족한 손톱과 발톱 아니면 안 되었을 거라구요? 다 옳은 소리입니다. 그러나 몽둥이나 돌멩이, 이빨이나 손톱이 제일 처음의 것은 아닙니다.”  
물론 밤알 속에 무엇이 들었는지를 알기 위해선 몽둥이나 돌멩이와 같은 도구를 썼을지도 모릅니다. 원시인의 억센 이빨이나 강한 손톱이 사용되었을지도 모를 일이지요. 그러나 박완서 씨는 밤알의 맛을 제일 처음으로 맛보게 한 것은 사람들의 꿈이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제일 처음의 것은 사람들의 꿈이었다고, 저 험악하게 생긴 것 속에 어쩌면 가장 맛좋은 것이 숨어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 사람들의 꿈이었다는 것입니다.  
비록 가시투성이지만 그 속에 무엇이 들어있을까 궁금해 했던, 껍질 하나를 벗겨내면 떫은맛을 내는 얇은 막이 나오지만, 그래도 그 속에 어쩌면 가장 맛있는 것이 들어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던 꿈이 처음으로 밤의 맛을 보게 했을 것이라는 말에 공감을 하게 됩니다.
꿈은 그렇게 갖는 것인지도 모릅니다. 가시투성이 속에 가장 맛있는 것이 들어있을 수 있다는 생각에서 꿈은 시작되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런 꿈이 밤의 맛을 처음으로 보게 하는 것이고요. 꿈은 밤송이의 가시를 헤치게 하고, 떫은맛을 견뎌 마침내 밤의 단맛을 보게 하는 힘이 있습니다. 가시투성이와 같은 삶속에서도 꿈을 간직해야 할 이유는 충분히 있는 것입니다. 2006.9.4 ⓒ한희철(독일 프랑크푸르트감리교회 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0 이해인 겨울 산길에서 이해인 2007-01-13 3979
4839 이해인 눈 내리는 날 이해인 2007-01-13 3771
4838 이해인 겨울 나무 이해인 2007-01-13 3905
4837 이해인 침묵 -애 많이 안 쓰고도 이해인 2007-01-13 3925
4836 이해인 새해 첫날의 엽서 이해인 2007-01-03 2632
4835 이해인 다시 시작하는 기쁨으로 [1] 이해인 2007-01-03 4061
4834 김남준 그리스도인의 정체 [1] 김남준 2007-01-03 4137
4833 김남준 하나님과 동행하는 사람은 [1] 김남준 2007-01-03 3996
4832 김남준 쓸모 없는 사람 김남준 2007-01-03 4010
4831 김남준 나그네와 같은 인생 길 김남준 2007-01-03 3921
4830 김남준 하나님과 동행함 김남준 2007-01-03 4037
4829 한희철 2308. 그냥..... 한희철 2006-12-30 2451
4828 한희철 2307.한 주전자의 물이 전부입니다 한희철 2006-12-30 2496
4827 한희철 2306. 흔한 들꽃 하나에도 한희철 2006-12-30 2559
4826 한희철 2305.우리의 삶이 소중한 이유 한희철 2006-12-30 2519
4825 한희철 2304 그냥 안아 드릴게요 한희철 2006-12-30 2410
4824 한희철 2303 공부해서 남 주자 한희철 2006-12-30 2467
4823 한희철 2302 충분히 헤아리지 못하면 한희철 2006-12-30 2199
4822 한희철 2301.전어 굽는 냄새가 그립다 한희철 2006-12-30 2256
» 한희철 2300 밤송이를 헤치는 꿈 한희철 2006-12-30 2913
4820 한희철 2299 그랭이질이 아쉽다 한희철 2006-12-30 2696
4819 한희철 2298 사과 하나가 일으킨 불화 한희철 2006-12-30 2232
4818 한희철 2297 작은 이익에 눈이 멀어 한희철 2006-12-30 2299
4817 한희철 2296 어감의 차이 한희철 2006-12-30 2163
4816 한희철 2295 촛불 하나의 온기 한희철 2006-12-30 2251
4815 이현주 그런 사람 이현주 2006-12-30 4216
4814 이현주 군자의 길 이현주 2006-12-30 4090
4813 이현주 변화(變化) 이현주 2006-12-30 1635
4812 이현주 하늘의 명을 지켜 이현주 2006-12-30 4011
4811 이현주 쉬지않고 이현주 2006-12-30 3945
4810 이현주 9경(經)-그밖애 이현주 2006-12-23 3885
4809 이현주 존현 다음은 친친親親이다. 이현주 2006-12-23 4120
4808 이현주 9경(經)-존현(尊賢) 이현주 2006-12-23 4119
4807 이현주 9경(經)-수신(修身) 이현주 2006-12-23 3780
4806 이현주 사람은 경험을 통해 배운다 이현주 2006-12-23 4152

 

 

 

저자 프로필 ㅣ 이현주한희철이해인김남준임의진홍승표ㅣ 사막교부ㅣ ㅣ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