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영혼의 샘터

옹달샘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2306. 흔한 들꽃 하나에도

한희철 한희철............... 조회 수 2559 추천 수 0 2006.12.30 12:15:42
.........
2306. 흔한 들꽃 하나에도        
                                                            
우리나라 꽃들에겐 설운 이름이 너무 많다고 노래한 시인이 있었습니다. 그가 설운 이름으로 댔던 꽃들은 코딱지꽃, 앉은뱅이, 좁쌀밥꽃 등이지만 찾아보면 설운 이름을 가진 꽃들은 그 외에도 많이 있습니다. 며느리밑씻개, 며느리밥풀, 며느리배꼽, 애기똥풀, 노루오줌, 잔털제비꽃, 바보여뀌, 벼룩나물, 골무꽃, 큰도둑놈의갈고리, 개불알꽃, 꿩의밥, 송장풀, 달뿌리풀, 괭이밥, 광대나물, 쇠별꽃.... 살림살이가 힘들 때 붙여진 이름이어서 그렇겠지요, 서러운 이름들이 적지 않습니다. 서러운 이름 속에는 서러운 사연도 많아 어느 것 하나 그냥 피는 꽃이 없지 싶습니다.
가을철에 흔하게 보는 쑥부쟁이만 해도 그렇습니다. 슬픈 이야기가 담겨 있는 꽃입니다. 옛날 아주 가난한 대장장이가 살고 있었는데 그에게는 11남매나 되는 자녀들이 있었답니다. 대장장이의 큰딸은 동생들을 위해 산이나 들로 나가 쑥나물을 열심히 캐왔답니다. 동내 사람들은 그녀를 '쑥을 캐러 다니는 불쟁이네 딸'이라는 뜻으로 ‘쑥부쟁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어느 날 쑥부쟁이는 산에 올라갔다가 몸에 상처를 입고 쫓기던 노루 한 마리를 살려주었는데, 노루는 꼭 은혜를 갚겠다는 말을 남기고 산속으로 사라졌습니다. 그날 쑥부쟁이는 함정에 빠진 한 사냥꾼도 구해주게 되는데, 사냥꾼은 자신이 서울 박재상의 아들이라고 말한 뒤 가을에 꼭 다시 찾아오겠다고 약속을 하고 떠났습니다. 쑥부쟁이는 그를 다시 만날 수 있다는 생각에 가슴이 부풀었습니다.  
드디어 가을이 왔고 쑥부쟁이는 사냥꾼과 만났던 산을 하루도 거르지 않고 매일 올라갔지만 사냥꾼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쑥부쟁이의 그리움은 갈수록 더해만 갔습니다. 그러는 사이 몇 해가 흘러갔습니다.
어느 날 쑥부쟁이는 몸을 곱게 단장하고 산으로 올라갔습니다. 그리고는 깨끗한 물 한 그릇을 떠놓고 정성스레 기도를 드렸습니다. 그 때 전에 목숨을 구해준 노루가 나타나 쑥부쟁이에게 노란 구슬 세 개를 건네주며 구슬을 입에 물고 소원을 말하면 이루어질 것이라고 했습니다.
쑥부쟁이는 우선 구슬 한 개를 입에 물고 병든 어머니가 낫게 해 달라고 소원을 빌었습니다. 그러자 어머니의 병이 그 순간에 완쾌 되었습니다. 기다려도 오지 않는 사냥꾼을 위해 두 번째 구슬을 꺼내 물고 소원을 빌었습니다. 그러자 바로 사냥꾼이 나타났습니다. 그러나 사냥꾼은 이미 결혼을 하여 자식을 둘이나 둔 처지였습니다. 사냥꾼은 자신의 잘못을 빌며 쑥부쟁이에게 같이 살자고 했습니다. 그러나 쑥부쟁이는 마지막 하나 남은 구슬을 입에 물고 아내와 자식이 있는 그를 집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가슴 아픈 소원을 말하였습니다.
그 날 이후 쑥부쟁이는 끝내 결혼을 하지 않은 채 동생들을 보살피며 사냥꾼을 생각하며 나물을 캤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쑥부쟁이는 발을 헛디뎌 그만 절벽 아래로 떨어져 죽게 되는데 바로 그 자리에서 연한 보라빛의 꽃이 피어났고 사람들은 그 꽃을 쑥부쟁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우리가 흔하게 만나게 되는 들꽃 하나에도 남모를 사연들이 담겨 있는 것, 꽃 이름과 이름 속에 담긴 사연들을 알게 된다면 우리가 바라보는 가을은 더욱 더 아름답지 않을까요? 2006.10.29 ⓒ한희철(독일 프랑크푸르트감리교회 목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0 이해인 겨울 산길에서 이해인 2007-01-13 3979
4839 이해인 눈 내리는 날 이해인 2007-01-13 3771
4838 이해인 겨울 나무 이해인 2007-01-13 3905
4837 이해인 침묵 -애 많이 안 쓰고도 이해인 2007-01-13 3925
4836 이해인 새해 첫날의 엽서 이해인 2007-01-03 2632
4835 이해인 다시 시작하는 기쁨으로 [1] 이해인 2007-01-03 4061
4834 김남준 그리스도인의 정체 [1] 김남준 2007-01-03 4137
4833 김남준 하나님과 동행하는 사람은 [1] 김남준 2007-01-03 3996
4832 김남준 쓸모 없는 사람 김남준 2007-01-03 4010
4831 김남준 나그네와 같은 인생 길 김남준 2007-01-03 3921
4830 김남준 하나님과 동행함 김남준 2007-01-03 4037
4829 한희철 2308. 그냥..... 한희철 2006-12-30 2451
4828 한희철 2307.한 주전자의 물이 전부입니다 한희철 2006-12-30 2496
» 한희철 2306. 흔한 들꽃 하나에도 한희철 2006-12-30 2559
4826 한희철 2305.우리의 삶이 소중한 이유 한희철 2006-12-30 2519
4825 한희철 2304 그냥 안아 드릴게요 한희철 2006-12-30 2410
4824 한희철 2303 공부해서 남 주자 한희철 2006-12-30 2467
4823 한희철 2302 충분히 헤아리지 못하면 한희철 2006-12-30 2199
4822 한희철 2301.전어 굽는 냄새가 그립다 한희철 2006-12-30 2256
4821 한희철 2300 밤송이를 헤치는 꿈 한희철 2006-12-30 2913
4820 한희철 2299 그랭이질이 아쉽다 한희철 2006-12-30 2696
4819 한희철 2298 사과 하나가 일으킨 불화 한희철 2006-12-30 2232
4818 한희철 2297 작은 이익에 눈이 멀어 한희철 2006-12-30 2299
4817 한희철 2296 어감의 차이 한희철 2006-12-30 2163
4816 한희철 2295 촛불 하나의 온기 한희철 2006-12-30 2251
4815 이현주 그런 사람 이현주 2006-12-30 4216
4814 이현주 군자의 길 이현주 2006-12-30 4090
4813 이현주 변화(變化) 이현주 2006-12-30 1635
4812 이현주 하늘의 명을 지켜 이현주 2006-12-30 4011
4811 이현주 쉬지않고 이현주 2006-12-30 3945
4810 이현주 9경(經)-그밖애 이현주 2006-12-23 3885
4809 이현주 존현 다음은 친친親親이다. 이현주 2006-12-23 4120
4808 이현주 9경(經)-존현(尊賢) 이현주 2006-12-23 4119
4807 이현주 9경(經)-수신(修身) 이현주 2006-12-23 3780
4806 이현주 사람은 경험을 통해 배운다 이현주 2006-12-23 4152

 

 

 

저자 프로필 ㅣ 이현주한희철이해인김남준임의진홍승표ㅣ 사막교부ㅣ ㅣ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