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림/최용우
오늘은 소한(小寒)입니다
소한은 해가 양력으로 바뀌고 처음 나타나는 절기입니다. 일년 중 가장 추운 절기입니다. '대한이 소한집에 가서 얼어 죽었다.'든가 '소한 얼음 대한에 녹는다.'고 할 정도로 '정초 한파'가 몰려오는 시기입니다.
농가에서는 소한부터 날이 풀리는 입춘 전까지 약 한 달 간 혹한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를 합니다. 특히 소에게는 볏짚으로 마름이라는 옷을 해 입히는데 요즘에는 소 옷도 판매하더라고요. 정말 자본주의 세상에서는 돈 되는 것이라면 뭐든 만들어내는 것 같습니다.
소한 타이틀 그림으로 눈밭에 뚝뚝뚝 떨어진 동백꽃 세송이를 그려봤습니다. 강진 다산초당 갔다가 연못가 눈밭에 핏빛으로 떨어져 있던 동백꽃에 대한 기억이 선명해서 한번 그려봤습니다. ⓒ최용우 2013.1.5
엄규호의 절기이야기
엄동설한(嚴冬雪寒), 정초한파(正初寒波)소한(小寒)
말 만 들어도 오싹해 진다. 소한은 일년 중 가장 추운 절기로, ‘소한추위는 빌려서도 한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비켜갈 수 없는 시련의 시기이다.
그러나 어릴적 추억을 떠올려 보면, 손발이 얼면서도 썰매를 타고, 팽이를 치기를 하며 날이 저무는 줄도 모르게 놀다가 땅거미가 내려앉으면 비로소 집으로 돌아가던 기억이 있다. 가장 추운 계절에 하필이면 실내가 아니라 얼음판을 놀이터로 삼아야 하는 겨울철 놀이를 즐겼을까? 아마도 자연의 시련이든, 삶의 시련이든 최악의 상황에서 시련을 극복하는 지혜를 스스로 깨우치도록 함일 것이다. 그 방편이 바로 놀이였을 것이다. 이는 놀이가 노는 방법과 놀이도구, 놀이 법칙 등 놀이구조가 바로 삶이 영위되는 사회질서를 익히는 사회화의 과정이기 때문이다. 소한은 양력으로 새해에 들어 처음으로 드는 절기지만 24절기중 23번째 해당되며, 동지(冬至)와 대한 사이에 든다. 대체로 음력으로는 12월 초순, 양력으로는 1월 5일 무렵으로, 이 때 태양의 황경은 285도의 위치에 있을 때이다. 옛날 사람들은 소한을 5일씩 삼후(三後)로 나누어 계절의 변화를 읽었는데, 초후(初候)에는 기러기가 북으로 날아가고 중후(中候)에는 까치가 집을 짓기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꿩이 운다고 하였다.
이러한 소한은 일년 중 가장 추운 절기이기 때문에 ‘엄동설한’, ‘정초한파’라고도 하였다. 그러나 다가오는 마지막 절기인 대한(大寒)이 의미로 보아 더 추울 것으로 보이지만, ‘대한이 소한의 집에 가서 얼어 죽는다.”라는 속담과, ‘소한의 추위는 꾸어다가도 한다.’라는 속담이 있듯이 한국에서는 소한 무렵이 가장 추위가 매섭게 기승을 부릴 때이다. 이는 24절기가 중국을 중심으로 구분된 것이기 때문이다. 대한은 음력 섣달로 일년을 매듭짓는 마지막 절후로, 원래 겨울철 추위는 입동에서 시작하여 소한으로 갈수록 추워지며 대한에 이르러서 최고에 이른다고 하지만, 중국의 경험에 입각한 것이고 우리나라에서는 일년중 가장 추운 시기가 1월 5일에서 15일까지 이므로 다소 사정이 다르다. 그래서 이러한 속담이 생겨난 것이다. 한편 이 속담은 단순한 절기상의 의미를 뛰어넘어, 곧 봄이 올 것이 분명한데도 대한이라고 아무 일도 하지 않고 추위 핑계만 대는 사람에게 절기의 특징을 인용하여 일깨우고 경계하는 경우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비슷한 상황에서 쓰이는 속담으로는 ‘대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없어도 소한에 얼어 죽은 사람은 있다.’, ‘소한 얼음 대한에 녹는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소한이 대한의 집에 몸 녹이러 간다.’ 등이 전해지고 있다.
여하튼 소한은 해가 양력으로 바뀌고 처음 맞는 절기로 정초한파(正初寒波)라 불리는 강추위가 몰려오는 시기로, 농가에서는 날이 풀리는 입춘 전까지 엄동설한(嚴冬雪寒)에 대비해 땔감과 먹을거리를 집안에 충분히 비치해 두어야 하는 시기이다. 한편 이맘때 겨울철 민속놀이를 가장 많이 즐기는 시기로, 아이들은 썰매타기와 팽이치기, 연날리기 등 겨울철 놀이를 즐기며 한파를 극복하는 때이기도 하다.
추위 때문에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농한기이긴 하지만 이때부터 보리밟기를 시작한다. 보리밟기는 보통 음력 12월부터 정월까지 이루어지는데, 이는 추운 겨울 날씨 때문에 보리밭이 얼어서 부풀어 오르거나 너무 따뜻하여 보리가 웃자라는 것을 막아 보리의 성장을 돕기 위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겨울철 대표적인 레저놀이로 스키나 눈썰매 등이 각광을 받고 있지만 전통촌락사회에서는 얼음썰매타기와 팽이치기를 즐겼다. 가장 추운 계절에 가장 추운 설원이나 얼음판을 놀이판으로 삼는 것은 일맥상통하는 의미가 있다. 썰매는 지역에 따라 서르매, 산서르매, 설매라고도 부르는데, 한자표기에서 볼 수 있듯이 설마(雪馬), 설응(雪鷹) 등 눈 위를 말이나 매처럼 빠르게 달린다는 뜻에서 유래된 말이다. 이러한 썰매는 짐을 실어 나르는 썰매, 발에 신는 썰매, 아이들이 타고 노는 썰매 등이 있다.
삼복더위에 더운 음식을 먹으며 더위를 식혔듯이 한 겨울의 중심에 있는 소한에는 차갑게 해서 먹으면 더욱 깊은 맛이 나는 찬 음식을 먹으며 추위를 날렸다. 이 무렵 시절식으로는 식혜를 비롯하여, 메밀묵, 동치미 등을 시절식으로 즐겨 먹었다.
오늘날 다양한 난방문화의 발달과 지구온난화로 인하여 소한추위의 진면목은 느낄 수 없다. 또한 다양한 실내 놀이공간의 확산은 우리 아이들의 계절놀이를 잊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혹한의 추위를 가장 추운 곳에서 놀이를 통하여 즐기며 극복하던 겨울철 민속놀이는 일생을 살아가면서 자연의 시련이든, 사회의 시련이든, 극복할 수 있는 지혜와 슬기를 체득하는 삶의 한 방편이다. 올 겨울방학에는 찜질방과 PC방을 벗어나 추운 겨울을 즐길 수 있는 놀이의 장으로 우리의 아이들과 함께 떠나 보자!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