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꽃씨와 도둑>은 최용우 개인 책방의 이름입니다. 이곳은 최용우가 읽은 책의 기록을 남기는 공간입니다. 최용우 책방 구경하기 클릭! |
목차
1부
물잠자리 떠난 교회ㆍ 13
생일도 관사(官舍)ㆍ 14
봄ㆍ 15
아내의 밥상ㆍ 16
28년째 아내ㆍ 18
아내가 웃었다ㆍ 19
당신의 봄옷ㆍ 20
아빠와 아들ㆍ 21
아버지1ㆍ 22
아버지2ㆍ 23
생일ㆍ 24
바늘귀를 꿰다ㆍ 25
아버지의 창ㆍ 26
쪽팔린 목사ㆍ 27
이방인ㆍ 28
다시 부는 바람ㆍ 29
땅 맴ㆍ 31
체리를 따며ㆍ 32
내가 무섭다ㆍ 33
이런 날ㆍ 34
밥 짓는 냄새ㆍ 35
수선화 성경책ㆍ 36
장마ㆍ 37
인생 숙제ㆍ 38
2부
봄비ㆍ 41
현상ㆍ 42
꽃이 지니ㆍ 43
나무를 심으며ㆍ 44
그대여ㆍ 45
보리의 꿈ㆍ 46
지난여름엔ㆍ 47
가을인가?ㆍ 48
증명ㆍ 49
서두름ㆍ 50
공부ㆍ 51
배추가 푸른 이유ㆍ 53
학교 종이 땡땡땡ㆍ 54
풀과 작물의 차이에 관하여ㆍ 55
소낙비ㆍ 56
하늘이 도와야 한다는 말ㆍ 57
3부
목포 엄마ㆍ 61
산책ㆍ 62
용서ㆍ 63
개가 좋은 이유ㆍ 64
그냥 그랬다ㆍ 65
타인ㆍ 66
모과로부터ㆍ 67
선생님ㆍ 68
물티슈ㆍ 69
물감ㆍ 70
도둑놈ㆍ 71
첫사랑ㆍ 72
횡단보도에서ㆍ 73
입원실 풍경ㆍ 74
내 입에 다금바리ㆍ 75
형진 형ㆍ 77
금화식당 아저씨 1ㆍ 78
금화식당 아저씨 2ㆍ 79
4월에 따르는 꽃술 한 잔ㆍ 81
눈물ㆍ 83
4부
간자(間者)ㆍ 87
상식ㆍ 88
냉수ㆍ 89
정직ㆍ 90
등기부 등본ㆍ 91
체중계ㆍ 92
변비ㆍ 93
책, 책, 책ㆍ 94
채찍ㆍ 95
계시ㆍ 96
놈, 놈, 놈ㆍ 97
문득, 아들!ㆍ 98
5부
합체(合體)ㆍ 101
바람이 전하는 말ㆍ 102
벙어리 산ㆍ 103
운장산의 꽃ㆍ 104
천룡사에서ㆍ 105
사랑 길ㆍ 106
외뿔고래(鯨角)산에서ㆍ 107
산이 아니었다ㆍ 108
우중산행(雨中山行)ㆍ 109
분실ㆍ 110
산 같다ㆍ 111
다시 산ㆍ 112
고백ㆍ 113
물 뜨러 가는 길ㆍ 114
다섯 시 햇살ㆍ 115
산수화ㆍ 117
잠깐 1ㆍ 118
잠깐 2ㆍ 119
물잠자리 떠난 교회ㆍ 13
생일도 관사(官舍)ㆍ 14
봄ㆍ 15
아내의 밥상ㆍ 16
28년째 아내ㆍ 18
아내가 웃었다ㆍ 19
당신의 봄옷ㆍ 20
아빠와 아들ㆍ 21
아버지1ㆍ 22
아버지2ㆍ 23
생일ㆍ 24
바늘귀를 꿰다ㆍ 25
아버지의 창ㆍ 26
쪽팔린 목사ㆍ 27
이방인ㆍ 28
다시 부는 바람ㆍ 29
땅 맴ㆍ 31
체리를 따며ㆍ 32
내가 무섭다ㆍ 33
이런 날ㆍ 34
밥 짓는 냄새ㆍ 35
수선화 성경책ㆍ 36
장마ㆍ 37
인생 숙제ㆍ 38
2부
봄비ㆍ 41
현상ㆍ 42
꽃이 지니ㆍ 43
나무를 심으며ㆍ 44
그대여ㆍ 45
보리의 꿈ㆍ 46
지난여름엔ㆍ 47
가을인가?ㆍ 48
증명ㆍ 49
서두름ㆍ 50
공부ㆍ 51
배추가 푸른 이유ㆍ 53
학교 종이 땡땡땡ㆍ 54
풀과 작물의 차이에 관하여ㆍ 55
소낙비ㆍ 56
하늘이 도와야 한다는 말ㆍ 57
3부
목포 엄마ㆍ 61
산책ㆍ 62
용서ㆍ 63
개가 좋은 이유ㆍ 64
그냥 그랬다ㆍ 65
타인ㆍ 66
모과로부터ㆍ 67
선생님ㆍ 68
물티슈ㆍ 69
물감ㆍ 70
도둑놈ㆍ 71
첫사랑ㆍ 72
횡단보도에서ㆍ 73
입원실 풍경ㆍ 74
내 입에 다금바리ㆍ 75
형진 형ㆍ 77
금화식당 아저씨 1ㆍ 78
금화식당 아저씨 2ㆍ 79
4월에 따르는 꽃술 한 잔ㆍ 81
눈물ㆍ 83
4부
간자(間者)ㆍ 87
상식ㆍ 88
냉수ㆍ 89
정직ㆍ 90
등기부 등본ㆍ 91
체중계ㆍ 92
변비ㆍ 93
책, 책, 책ㆍ 94
채찍ㆍ 95
계시ㆍ 96
놈, 놈, 놈ㆍ 97
문득, 아들!ㆍ 98
5부
합체(合體)ㆍ 101
바람이 전하는 말ㆍ 102
벙어리 산ㆍ 103
운장산의 꽃ㆍ 104
천룡사에서ㆍ 105
사랑 길ㆍ 106
외뿔고래(鯨角)산에서ㆍ 107
산이 아니었다ㆍ 108
우중산행(雨中山行)ㆍ 109
분실ㆍ 110
산 같다ㆍ 111
다시 산ㆍ 112
고백ㆍ 113
물 뜨러 가는 길ㆍ 114
다섯 시 햇살ㆍ 115
산수화ㆍ 117
잠깐 1ㆍ 118
잠깐 2ㆍ 119
--------------------------'
이기봉 목사와 들꽃교회 앞에서
들꽃교회와 들꽃편지
내가 1999년도 안산에서 사용했던 교회 이름이 ‘들꽃피는교회’였고 매월 펴내는 월간지 이름도 ‘들꽃편지’다. 교회가 진짜 들판으로 나가 충북 보은의 폐교 2층 강당에서 5년 동안 같은 이름으로 예배를 드렸었다. 그때 ‘들꽃’은 예수님과 수많은 영성인들이 반드시 거쳐갔던 고독한 장소인 ‘들판에 피는 꽃’이라는 의미다. 그러니까 나의 들꽃은 ‘한적한 곳’(막6:31)에 피는 ‘영성의 꽃’이다.
모악산 산행을 도와준 이기봉 목사님의 ‘들꽃’은 가장 낮은 곳에 피는 꽃이라는 의미였다. 이 땅의 들꽃인 민중들의 눈높이에 맞추어 목회를 한다는 뜻인 것 같았다. 성장주의에 빠져 ‘제일교회’ ‘중앙교회’ ‘큰교회’같은 감당 못 할 이름보다 ‘들꽃교회’라는 이름은 참 소박하고 다정한 이름이다.
들꽃과 들꽃이 만났으니 세상은 향기로 가득 하여라! ⓒ최용우
모악산
늙은 중 떠나버린 빈 절에
시계만 무심히 돌아가고
거울 속에서는 낯익은 남자
너는 누구냐 묻는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좋은 물
흐르는 약수터가 있건만
낭낭한 독경소리는 어디가고
목사가 빈 절에서 세수나 하고있는가
ⓒ최용우 (모악산 천룡사에서) 빈 절에서 세수나 하는 목사가 바로 이기봉이다.
2020.7.31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