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어여 어서 올라오세요

대청마루(자유게시판)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바울의 한계

묵상나눔 Navi Choi............... 조회 수 10 추천 수 0 2023.06.24 11:06:40
.........
바울의 한계
로마서 14:1~12
.
바울은 탁월한 사도이지만 그 역시 시간과 공간에 갇힌 한 사람입니다. 그도 그리스도의 구속 은혜가 절실한 죄인이었습니다. 당시 사회는 노예제도가 일상인 사회였습니다. 가난과 자연재해와 전쟁 등으로 노예가 발생하였고 여간해서는 그 신분을 벗어날 수 없어 대대손손 굴욕을 짊어졌습니다. 그런 면에서 유대의 ‘희년법’은 기절초풍할 정도로 초월적 제도입니다. 아쉽게도 오늘의 교회에서조차 이 혁명적 제도를 현실화하려 하지 않고 제대로 가르치지 않는 것은 그리스도교 역시 세속화의 길을 걷고 있다는 방증같습니다. 한계상황 속의 인간이 슬픕니다. 하나님이 만드신 사람의 정체성과 존엄성을 외면하고 굴욕의 삶을 숙명으로 수용해야 한다는 사실이 비통합니다. 부조리한 사회제도를 극복하기에 시대의 흐름은 너무 더뎠습니다. 이런 시대에 종교의 역할은 운명을 고착화하고 더 나은 세상에 대한 꿈을 체념시키고 다만 내세의 복락으로 최면을 거는 게 고작이었습니다.
.
그래서인지 대사도인 바울조차도 당시의 노예제도를 수긍하고 있습니다. 그에게서 노예제도의 부당성에 대한 언급은 찾기 힘듭니다. 바울은 오늘 같은 시민의 자유를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그의 생각과 지향 역시 역사와 문화의 한계에 갇힐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주님의 가르침과 성경 전체의 맥락은 초월에 잇대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바울이 노예제도라는 현상을 순응하고 있지만 하나님 나라의 본질에 노예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리스도교를 초월의 종교라고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오늘 본문에서 바울은 우상 제물을 거론하고 있습니다. 당시의 교회에서는 우상 제물 문제가 중요한 논쟁거리였습니다. 이 문제 때문에 교회마다 몸살을 앓았습니다. 바울은 먹어도 되고, 먹지 않아도 되지만 믿음이 약한 자를 생각하여 조심하라고 권면하였습니다(고전 8:4~11). 심지어 음식으로 인하여 형제가 실족한다면 자신은 평생 고기를 먹지 않겠다고까지 하였습니다. 본질을 중히 여기되 현상도 살피라는 말로 들립니다. 오늘의 교회에서 우상 제물 문제는 더 이상 논쟁거리가 아닙니다. 성경이 기록되던 시대보다 더 교묘한 우상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음식이라는 현상보다 본질에 관심을 가지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시간과 공간의 한계에 갇힌 인간은 중요한 문제를 간과하거나 하찮은 문제에 집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님은 “하루살이는 걸러내고 낙타는 삼키는도다”(마 23:24)며 당시 종교인의 외식을 책망하셨습니다. “너희가 박하와 회향과 근채의 십일조는 드리되 율법의 더 중한 바 정의와 긍휼과 믿음은 버렸도다 그러나 이것도 행하고 저것도 버리지 말아야 할지니라”(마 23:23). 오늘의 사회와 교회가 새겨들어야 할 대목입니다. 본질보다 현상에 집착하는 일은 주님의 교회가 할 일이 아닙니다. 초월을 구체화하는 일은 생각처럼 쉽지않습니다.
.
“여러분은 믿음이 약한 이를 받아들이고, 그의 생각을 시비거리로 삼지 마십시오”(14:1 새번역). 교회는 믿음이 든든한 신자만 있지 않습니다. 갓 믿기 시작한 이도 있고, 믿은 지는 오래되었지만, 성숙이 더딘 이들도 있습니다. “우리는 살아도 주님을 위하여 살고, 죽어도 주님을 위하여 죽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살든지 죽든지 주님의 것입니다”(14:8 새번역). 그리스도인은 주님의 영광을 위해 삽니다.
.
삶과 믿음의 기초가 흔들리는 세상살이에서도 변함없는 믿음의 길을 따라 오롯이 사는 주님의 백성에게 반석이신 주님의 안전 보장이 함께하기를 바랍니다. 한 하나님을 같은 성경을 통하여 믿으면서도 작은 차이로 시비를 따지는 일이 교회에서 사라지기를 빕니다. 본질에 충실하여 초월에 이르는 교회이기를 빕니다.
.
찬송 : 294 하나님은 외아들을 https://www.youtube.com/watch?v=sc6ftCnwAUY
.
그림은 렘브란트의 <바울>을 바라보는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 뒷모습
.
2023. 6. 24 토
356015267_9460086157365922_5589491427726173078_n.jpg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76 가족글방 성경 읽기 금지 최주훈 목사 2022-10-31 45
11375 묵상나눔 뉘우침 file Navi Choi 2022-10-30 19
11374 묵상나눔 다윗 리스트 file Navi Choi 2022-10-29 28
11373 가족글방 신자와 불신자의 차이 file 고재봉 목사 2022-10-28 50
11372 가족글방 균형회복 file 김상철 2022-10-28 37
11371 묵상나눔 무명용사 file [1] Navi Choi 2022-10-28 41
11370 묵상나눔 방패 file Navi Choi 2022-10-27 25
11369 가족글방 일본의 무교회주의에 대한 새로운 조명 이청길 목사 2022-10-26 80
11368 묵상나눔 구원의 시제 file [2] Navi Choi 2022-10-26 50
11367 묵상나눔 지도자 file [1] Navi Choi 2022-10-25 45
11366 묵상나눔 리스바의 한 file Navi Choi 2022-10-24 45
11365 묵상나눔 성과 자궁 file Navi Choi 2022-10-24 50
11364 무엇이든 집값 file Navi Choi 2022-10-23 23
11363 묵상나눔 정치 file [2] Navi Choi 2022-10-22 35
11362 묵상나눔 왕의 귀환 file Navi Choi 2022-10-21 32
11361 묵상나눔 하나님의 마음 file [1] Navi Choi 2022-10-20 35
11360 묵상나눔 무자식이 상팔자 file [1] Navi Choi 2022-10-19 66
11359 묵상나눔 기념할 것 없는 기념비 file Navi Choi 2022-10-18 40
11358 가족글방 기독교는 카톡교? 김요한 2022-10-17 52
11357 묵상나눔 절망, 희망 없음 Navi Choi 2022-10-17 31
11356 묵상나눔 계략 file Navi Choi 2022-10-16 16
11355 광고알림 2022 종교개혁 강좌 file Navi Choi 2022-10-16 22
11354 묵상나눔 권력 주변 사람들 file [1] Navi Choi 2022-10-15 40
11353 묵상나눔 피난 file Navi Choi 2022-10-14 49
11352 묵상나눔 충성 file Navi Choi 2022-10-13 33
11351 묵상나눔 도둑맞은 민심 file Navi Choi 2022-10-12 39
11350 가족글방 대학 2학년 때였다. 김요한 2022-10-12 29
11349 광고알림 (11월) 전인치유학교 / 2022년 11월 7일 (월, am10 - pm5) 주님사랑 2022-10-11 18
11348 묵상나눔 압살롬 증후군 file Navi Choi 2022-10-11 30
11347 묵상나눔 자기 객관화 file Navi Choi 2022-10-10 32
11346 묵상나눔 아버지와 아들 file Navi Choi 2022-10-10 33
11345 광고알림 2022 가을 학술대회 안내 file Navi Choi 2022-10-09 33
11344 묵상나눔 file Navi Choi 2022-10-08 39
11343 묵상나눔 흥망성쇠 file [1] Navi Choi 2022-10-07 58
11342 가족글방 M으로 시작하는 단어중 상대방을 끌어들이는 성질과 힘을 가진 단어 file 원인규 2022-10-06 251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