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동심의 세계는 모든 어른들의 마음의 고향입니다

동화읽는 어른은 순수합니다

동화읽는어른

뾰족한 돌 이야기

창작동화 김홍한 목사............... 조회 수 46 추천 수 0 2023.08.14 05:15:18
.........
뾰족한 돌 이야기
옛날, 숲 속 동물나라에 오솔길이 있었어요
그 오솔길은 아주 평평하고 편안한 길이었어요
그런데 길 한가운데에 뾰족한 돌이 하나 솟아올라 있었지요.
동물들은 편안하게 길을 가다가 그 돌에 걸려서 넘어지곤 했습니다.
어느 날, 성질 급한 멧돼지가 그 길을 가다가 걸려서 넘어졌어요
멧돼지는 화가 나서 그 돌을 힘껏 걷어 찾지요.
자기 발만 더 아팠어요. 멧돼지는 투덜거리며 지나갔답니다.
어느 날, 토끼가 깡충깡충 뛰어서 길을 가다가 그 돌에 그만 코를 찧고 말았어요
토끼는 너무 아파서 엉엉 울면서 집으로 갔어요.
또 어느 날, 커다란 곰이 어슬렁어슬렁 길을 가다가 그만 그 돌을 밟았어요.
저런, 곰의 발바닥이 찢어지고 말았어요.
곰은 다리를 절룩거리며 돌아갔어요.
이러한 일은 하루, 이틀 계속되었어요.
이러한 일은 한 달, 두 달 계속되었어요.
이러한 일은 일 년, 이 년 계속되었어요.
이러한 일은 백 년, 이백 년 계속되었어요.
그래서 동물 마을 어른들은 아기 동물들에게 귀에 못이 박히게 주의를 주었어요.
“길에 있는 그 뾰족하게 튀어나온 돌을 조심하라”고.
어떤 착한 사슴이 있었어요.
그 사슴은 동물들이 그 돌에 걸려 넘어져서 다치는 것이 너무너무 마음 아팠어요.
그래서 사슴은 매일매일 그 돌이 있는 곳에 와서 살면서 지나가는 동물들에게 돌을 조심하라고 일러주었어요.
동물들은 고맙다고 인사하면서 지나갔지요.
온 동물마을에 착한 사슴 소문이 쫙 퍼졌어요.
그래서 동물마을 시장님이 착한 사슴에게 표창장을 주었어요.
그리고 착한 사슴은 눈이 오나 비가 오나 그 돌 옆에 앉아서 지나가는 동물들이 돌에 걸려 넘어지지 않도록 주의를 주었지요.
이렇게 오랜 세월이 지나 그 착한 사슴도 할아버지가 되었어요.
어쩌다 사슴 할아버지가 동물 마을에 내려오면 동물들은 모두 절을 하며 사슴 할아버지를 존경했어요.
그러던 어느 날이었어요.
먼 나라에서 한 나그네가 동물 마을에 나타났어요.
그 나그네는 남루한 옷차림에 매우 지친 표정이었지요.
그 나그네도 그 숲길을 걷게 되었어요.
한참을 걷다가 돌 있는 곳에 다다랐어요.
그러자 사슴할아버지가 소리쳤어요.
“돌을 조심하세요, 너무나 많은 동물들이 그 돌에 걸려 넘어져 다쳤답니다.”
나그네는 사슴할아버지에게 물었어요.
“당신은 왜 여기에 앉아있지요?”
사슴이 대답했어요.
“그야 동물들이 돌에 걸려 넘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지요, 아주 옛날부터 수 많은 동물들이 이 돌에 걸려 넘어져 다쳤답니다. 그 수는 헤아릴 수 없이 많았지요. 그런데 내가 이곳에 앉아 주의를 준 이후로는 어느누구도 넘어져 다치지 않았답니다” 하며 자랑스럽게 말했어요.
나그네는 잠시 생각에 잠기더니 그냥 지나쳐 갔습니다.
얼마 후 나그네는 다시 그 자리에 나타났어요. 손에는 쇠망치가 들려 있었지요.
나그네는 쇠망치로 돌을 쪼기 시작했어요.
“쿵, 쾅, 쿵, 쾅”
그 소리를 듣고 숲 속 나라 동물들이 모여들었습니다.
잠시 후 뾰족한 돌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말았습니다.
아주 오랫동안 동물들을 괴롭혀온 그 돌이 짧은 시간에 사라진 것이었어요.
그런데 아주 이상한 일이 일어났어요.
기쁘고 즐거워해야 할 동물들이 그 나그네를 이상한 눈으로 바라보는 것이었어요.
특히 사슴할아버지는 매우 분해하면서 소리쳤어요.
“저놈을 잡아라, 저놈이 우리의 신성한 돌을 깨뜨렸다 !”.
그 소리와 함께 동물들은 우르르 나그네에게 달려들어 마구 때렸어요.
나그네는 피투성이가 되어 쓰러졌어요.
동물들은 나그네를 마을 밖으로 내다 버렸지요.
나그네는 큰 슬픔에 잠겨서 그 마을을 떠났습니다.
나그네가 떠나고 난 후 사슴할아버지는 동물들을 모아놓고 말했습니다.
“어서 빨리 전에 것보다 더 크고 더 뾰족한 돌을 구해다가 그곳에 다시 두어야 합니다….”
동물들은 사슴할아버지의 말대로 더 크고 더 뾰족한 돌을 가져다가 그곳에 두었습니다.
사슴할아버지는 다시 그곳에 자리 잡고 앉아서 지나가는 동물들에게
“돌에 걸려 넘어지지 않게 조심하시오”하며 말했습니다.
그 할아버지의 손자, 그 손자의 또 손자, 그 손자의 손자의 손자가 오늘날에도 그 길에 앉아있습니다.
그리고 지나는 동물들에게 말합니다.
“돌에 걸려 넘어지지 않게 조심하시오”.
-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63 창작동화 잠꾸러기 산타 한희철 2023-12-24 58
» 창작동화 뾰족한 돌 이야기 김홍한 목사 2023-08-14 46
1561 창작동화 땅 내 한희철 2023-07-07 43
1560 신춘문예 [2019국제신문] 외계인과 용감한 녀석 -안효경 안효경 2023-06-14 27
1559 신춘문예 [2019광주일보] 파랑새 시계탑 -이명선 이명선 2023-05-09 56
1558 신춘문예 [2019광남일보] 제비집 -안형미 안형미 2023-05-03 42
1557 신춘문예 [2019경상일보] 깜빡 도깨비-김수연 김수연 2023-04-29 38
1556 신춘문예 [2019경남신문] 공룡은 축구를 하지 않는다- 안정희 최용우 2023-04-17 32
1555 신춘문예 [2019강원일보] 내 뿔을 찾아줘 -이성엽 이성엽 2023-04-16 38
1554 성경동화 결이의 꿈 -성탄 동화 한희철 목사 2022-12-19 49
1553 신춘문예 [2018무등일보] 형은 고슴도치 - 임성규 임성규 2019-04-02 1088
1552 신춘문예 [2018경남신문] 리코더 부는 아이 - 김지연 김지연 2019-04-01 677
1551 신춘문예 [2018광주일보] 호통버스 - 신수나 신수나 2019-03-30 498
1550 신춘문예 [2018강원일보] 치킨보이 - 조호재 조호재 2019-03-27 558
1549 신춘문예 [2018문화일보] 다령이가 말한 하늘 - 김용준 김용준 2019-03-25 530
1548 신춘문예 [2018대전일보] 노랑이와 할매 - 김진선 김진선 2019-03-21 497
1547 신춘문예 [2018매일신문] 너라도 그럴꺼야 -박명희 박명희 2019-03-20 504
1546 신춘문예 [2018전북일보] 두 번째 짝 - 이경옥 이경옥 2019-03-19 457
1545 신춘문예 [2018동아일보] 편의점에 온 저승사자 -유지영 유지영 2019-03-18 581
1544 신춘문예 [2018조선일보] 비밀이 사는 아파트 - 허용호 허용호 2019-03-15 572
1543 신춘문예 [2018한국일보] 길 잃은 편지 -황미주 황미주 2019-03-13 480
1542 신춘문예 [2018서울신문] 남자를 위한 우주비행 프로젝트 - 유소영 유소영 2019-03-12 365
1541 신춘문예 [2018경상일보] 눈 오는 날 - 이서영 이서영 2019-03-07 435
1540 신춘문예 [2018국제신문] 수리와 문제집 속 친구들 - 박연미 박연미 2019-03-05 471
1539 신춘문예 [2018부산일보] 비단개구리 알 - 박비송 박비송 2019-03-03 705
1538 신춘문예 [2018광남일보] 고슴도치를 부탁해 - 유혜진 유혜진 2019-02-27 596
1537 신춘문예 [2018동양일보] 나는 한국인입니다 - 황선영 황선영 2019-02-20 401
1536 신춘문예 [2017동아일보] 빈 화분 - 박소정 박소정 2019-02-11 552
1535 신춘문예 [2017경남신문] 노란 주전자 - 김은경 김은경 2019-02-10 403
1534 신춘문예 [2017문화일보] 그런 하루 - 김수연 김수연 2019-02-09 457
1533 신춘문예 [2017서울신문] 누구 없어요? - 임민영 임민영 2019-02-06 419
1532 신춘문예 [2017조선일보] 이상한 이상희 -박혜원 박혜원 2019-02-04 350
1531 신춘문예 [2017대전일보] 인어를 그리다 -박소정 박소정 2019-02-03 381
1530 신춘문예 [2017매일신문] 내 다래끼 - 성주희 성주희 2019-02-01 569
1529 신춘문예 [2017한국일보] 두근두근 두드러기 -최현진 최현진 2019-01-30 699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