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
출처 : https://yjm307.tistory.com/8572120 

[척추와 질병]제19장, 부드러우면 살고 딱딱하면 죽는다.

 

제19장, 부드러우면 살고 딱딱하면 죽는다.

 

老子의 도덕경 제76장에 말하기를 생과 사를 말하고 있는데, 곧 살려면 부드러워야 한다고 말한다.

물론 마음의 여유로움은 곧 생명과 직결된다는 비유적인 말이겠으나 그 말에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뼈에 대하여 대입을 해보고 싶어 한마디 하고자 합니다.

 

제76장의 말씀을 번역하자면, 사람이 태어남은 부드럽고 약하나 그가 죽을 때엔 말라서 딱딱해진다. 만물인 풀과 나무도 태어남은 부드럽고 연하나 그 죽을 때엔 말라서 딱딱해진다.

그러므로 굳고 강한 것은 죽음의 무리이고 부드럽고 약한 것은 삶의 무리이다.

이런 까닭으로 병력이 강하면 적을 이기지 못하고 나무는 강하면 부러진다.

강하고 큰 것은 밑에 있고 부드럽고 약한 것은 위에 있다

 

이런 이치를 생각하면서 우리들의 척추를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척추 뼈 또한 어린아이들의 뼈가 부드럽고 약한 것 같지만 골수가 가득 채워져 있어서 뼈들 중에 가장 좋은 뼈인 것이다.

즉 사람이 태어나서 어릴 때에는 하늘과 땅의 부드러운 기운을 온전히 가지고 있기 때문에 뼈와 힘줄과 근육이 부드럽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이 자라나서 뼈가 커지고 억세고 강해지면 골수가 빠져나가게 되고 노화가 시작된다.

이 억세고 강한 것의 끝에는 늙음과 그리고 죽음이 기다리고 있다.

사람만이 그런 것이 아니다

초목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숙을 보자

이른 봄 얼어붙은 차가운 대지를 뚫고 올라오는 여린 쑥은 한 없이 부드럽지만 얼어붙은 차거운 대지를 이겨내는 힘을 가진 것이다. 부드럽고 연하여 잘 구부러지면 여간해서는 바람에 꺾이지 않고 잘 자란다.

 

그런데 늦가을의 숙은 어떤가?

쑥대가 자라고 커지고 물기가 없어져 말라서 딱딱해지면 바람이 조금만 불어도 제풀에 꺾이고 부러지는 것이다

이런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딱딱하고 억세어지고 강한 것은 죽은 것의 무리이고, 부드럽고 약한 것은 삶의 무리이다.

또한 강하고 큰 것은 밑에 있고 부드럽고 연한 것은 위에 있다고 했는데, 이런 이치를 사람의 뼈에 대입해보면 큰 뼈인 골반과 요추는 밑에 있고 골반과 요추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고 부드러운 뼈인 경추와 흉추가 위에 있는 것도 참 재미있는 사실이다.

 

사람의 뼈도 마찬가지이다.

골수가 꽉 찬 뼈를 만들어야 한다.

골수가 꽉 찬 뼈는 만지면 부드럽고 척구가 넓고 깊게 형성되어 있다.

나이가 들면 뼈골이 빠지면서 뼈가 억세어지고 딱딱하게 변한다.

딱딱하게 변한 데에는 가골의 형성이 주원인이 된다.

앞에서 억세고 딱딱하면 죽음의 무리라고 했다.

나이가 들어 척추에 협착이 있으면 대부분 뼈가 억세고 딱딱하여 가골이 자라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요즘은 젊은 사람들에게도 뼈가 딱딱한 사람이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이것은 몸을 잘 안 움직이며 장시간 앉은 자세와 장시간의 운전, 컴퓨터, 스마트폰, 등등을 포함하여 운동부족으로 인한 골반이 올라가고 척추의 변형이 심해져 가골이 자라나 점점심각해지는 상황이다.

 

본인들은 왜 아픈지 영문도 모른 채 무시무시한 통증과 질병에 시달리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대한 해결로는 한 가지 올라간 골반을 내리고 가골을 없애 척추를 반듯이 하여 생리적 전기 신호가 뇌와 각 세포 사이로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여야 뼈가 부드러워 지는 것이다.

 

또한 부드러운 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너무 강한 운동을 지향하고 지속적으로 가벼운 운동과 양질의 단백질이 함유된 음식을 항상 가가이하고 뼛골을 채워주는 초근목피의 약재를 섭취해야 할 것이다.

 

<약은 살 수 있지만 건강은 살수 없다> 는 서양의 속담입니다

건강할 때 건강을 지켜나가는 현자들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28 100가지,50가지 설교자를 위한 100가지 제언 제임스 밀러 2024-04-03 30
3627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 *끝]제25장, 운동 요법의 허와 실 윤주만 목사 2024-03-20 22
3626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24장, 요추 전만이 중요한 이유 file 윤주만 목사 2024-03-20 19
3625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23장, 여자가 남자 보다 오래 사는 이유 file 윤주만 목사 2024-03-20 18
3624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22장, 배가 나온 사람이 오래 사는 이유 file 윤주만 목사 2024-03-15 23
3623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21장, 우울증과 척추에 대하여 file 윤주만 목사 2024-03-12 10
3622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20장, 건강한 뼈는 바로 아이들의 뼈이다 윤주만 목사 2024-03-08 8
»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19장, 부드러우면 살고 딱딱하면 죽는다. 윤주만 목사 2024-03-05 23
3620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18장, 신장의 역할과 척추 윤주만 목사 2024-03-04 14
3619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17장, 척추를 만지면서 질병을 알아보기 file 윤주만 목사 2024-03-01 11
3618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16장, 척추교정 후 몸살에 대하여(no pain no gain) 윤주만 목사 2024-02-28 10
3617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15장, 교정을 삼가(어려운)야 하는 경우 윤주만 목사 2024-02-27 8
3616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14장, 척추교정 후 달라지는 신체의 변화 윤주만 목사 2024-02-24 13
3615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13장, 뇌와 척추의 관계 file 윤주만 목사 2024-02-21 9
3614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12장, 만성 위장질환과 척추 file 윤주만 목사 2024-02-20 8
3613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11장, 척추관 협착증 file 윤주만 목사 2024-02-19 8
3612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10장, 당뇨병과 척추의 관계? file 윤주만 목사 2024-02-18 12
3611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9장, 요추 후만증 일자허리 교정법 윤주만 목사 2024-02-15 15
3610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8장, 건강 이야기· 척추와 질병 윤주만 목사 2024-02-14 17
3609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7장, 왜 허리가 아플까요? 윤주만 목사 2024-02-13 38
3608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6장, 수많은 통증과 척추와의 관계 윤주만 목사 2024-02-12 19
3607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5장, 척추와 관련된 증상들 윤주만 목사 2024-02-10 20
3606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4장, 본태성 고혈압에 대하여 file 윤주만 목사 2024-02-09 43
3605 정치건강취미 [척추와 질병]제3장, 척추와 각 기관의 관계 file 윤주만 목사 2024-02-08 35
3604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20끝] 디센티스 수도원(Disentis abbey) file 유재경 교수 2023-12-24 54
3603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9] 프란시스 쉐퍼와 라브리 공동체(L’Abri Fellowship) file 유재경 교수 2023-12-18 28
3602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8] 오트리브 수도원(Hauterive Abbey) file 유재경 교수 2023-12-14 18
3601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7] 엥겔베르크 수도원(Engelberg Abbey) file 유재경 교수 2023-12-09 14
3600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6] 생 갈렌 수도원(Abbey of St. Gall) file 유재경 교수 2023-11-27 26
3599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5] 플뢰리 수도원(Fleury Abbey) file 유재경 교수 2023-11-17 59
3598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4] 베즐레 수도원(Vezely Abbey) file 유재경 교수 2023-11-14 26
3597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3] 퐁트네 수도원(Abbey of Fontenay) file 유재경 교수 2023-11-07 17
3596 선교화제현장 미니어쳐 교회 12선 "이렇게 작은 교회가 있다니... file 당당뉴스 2023-10-24 112
3595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2] 시토(Citeaux)수도원 file 유재경 교수 2023-10-19 65
3594 수도관상피정 [프랑스 수도원 탐방기11] 떼제 공동체 file 유재경 교수 2023-10-13 75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