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
.........
서울칼럼니스트모임 COLUMNIST 1999.09.19 창간
‘사람立國’의 꿈
임 영 숙 (서울신문 주필)
http://columnist.org/ysi
서울 시청앞에 잔디광장이 조성되면서 서울신문사는 여러모로 불편해졌다. 우선 한적하던 신문사 바로 옆길이 우회도로로 바뀌면서 자동차 매연에 시달리게 됐다. 또 남대문에서 시청앞에 이르는 길의 교통체증이 심해지고 광화문 쪽에서 자동차로 신문사에 들어오려면 먼길을 돌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서울광장을 축복으로 받아들인다. 비로소 사람 대접 받는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잔디광장에 소풍나온 연인들과 아이를 동반한 가족,분수대 물기둥속으로 뛰어들어 장난치는 청소년들의 모습도 아름답지만 광장과 연결된 횡단보도를 건널때 특히 기분이 좋다. 자동차를 위한 도시가 이제 사람을 위한 도시로 바뀌었다는 실감이 드는 것이다.
지난주 구성된 대통령 직속 '사람입국신경쟁력특별위원회'는 같은 맥락에서 주목할 만 하다. 사람입국이란 사람이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사회, 사람이 자산이 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을 뜻하고 신경쟁력이란 물질이 아니라 사람으로부터 나오는 경쟁력을 말한다. 즉 직장을 평생 재충전,평생학습의 장으로 바꾸는 뉴패러다임 경영의 확산을 통해 근로시간을 단축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는 것이다. 혁신주도 경제를 위한 학습사회 경쟁력 강화와 삶의 질 향상이 그 목표인 것이다.
이 위원회는 평생 재충전 예비조와 교대조를 도입한 유한킴벌리의 뉴패러다임 경영 성공에 자극 받아 발족했다. 지난해 11월 '500만 일자리 만든다'는 칼럼을 통해 유한킴벌리의 뉴패러다임 경영을 소개하며 국가정책으로 추진할 것을 촉구했던 만큼 정부 차원의 사람입국 의지가 참으로 반갑다.
그러나 이 정책 추진에 대해 많은 기업인과 일부 정책당국자들은 회의적이거나 냉소적인 태도를 보인다. 유한킴벌리의 성공은 특수한 것이어서 그 모델을 다른 기업에 확산시키는데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일자리 나누기로 실업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으며 고용의 질과 기업 경쟁력만 오히려 약화시킬 것이라고도 한다. 이같은 주장은 부분적으로는 옳지만 뉴패러다임 경영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우선 뉴패러다임 경영은 단순한 일자리 나누기가 아니라 지식기반 사회에서 변화하는 환경에 빠르게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학습조직으로 기업을 바꾸는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에서 시작된다. 또 유한킴벌리와 같은 성공이 외국에서는 이미 특수한 것이 아니다. 미국의 실리콘벨리에서 존경 받는 기업1위,MBA출신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업 1위로 6년 연속 선정된 휴렛패커드사는 일자리 나누기와 평생학습의 인간경영 성공사례이다. 세계항공업계에서 최고 순이익을 올린 싱가폴항공 또한 인간중심 경영으로 유명하다. 이 항공사는 직원교육에 연간 750억원을 투자한다.
기계의 작동시간을 단축시키지 않거나 오히려 더 연장시키는 노동시간 단축은 유럽에서 고용 창출의 열쇠로 이해되고 있다. 영국과 싱가폴은 인적자원 개발 인증제 까지 도입해 기업들의 인적자원 개발 기준을 제시하고 지속적 개선을 장려하고 있다.
실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정부와 기업이 단순히 노동시간 단축을 통해 일자리를 만드는 것도 불가피한 일이다. 지난 80년대 말 실업율이 10%에 달했을때 캐나다는 일자리 나누기로 경제회복의 발판을 마련했다. 당시 캐나다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으로 미국의 투자가 멕시코로 몰려 위기에 처했는데 거대한 블랙홀 같은 중국을 이웃에 둔 지금의 한국은 그때의 캐나다와 비슷한 형편이다.
인적자원에 투자하는 뉴패러다임 경영은 서울광장 처럼 부분적인 불편과 문제점을 안겨줄지도 모르나 현재의 실업문제 해결과 미래의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대안이다.노동의 인간화 없이 우리 사회의 인간화는 이루어질 수 없다. *
‘사람立國’의 꿈
임 영 숙 (서울신문 주필)
http://columnist.org/ysi
서울 시청앞에 잔디광장이 조성되면서 서울신문사는 여러모로 불편해졌다. 우선 한적하던 신문사 바로 옆길이 우회도로로 바뀌면서 자동차 매연에 시달리게 됐다. 또 남대문에서 시청앞에 이르는 길의 교통체증이 심해지고 광화문 쪽에서 자동차로 신문사에 들어오려면 먼길을 돌아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서울광장을 축복으로 받아들인다. 비로소 사람 대접 받는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잔디광장에 소풍나온 연인들과 아이를 동반한 가족,분수대 물기둥속으로 뛰어들어 장난치는 청소년들의 모습도 아름답지만 광장과 연결된 횡단보도를 건널때 특히 기분이 좋다. 자동차를 위한 도시가 이제 사람을 위한 도시로 바뀌었다는 실감이 드는 것이다.
지난주 구성된 대통령 직속 '사람입국신경쟁력특별위원회'는 같은 맥락에서 주목할 만 하다. 사람입국이란 사람이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사회, 사람이 자산이 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을 뜻하고 신경쟁력이란 물질이 아니라 사람으로부터 나오는 경쟁력을 말한다. 즉 직장을 평생 재충전,평생학습의 장으로 바꾸는 뉴패러다임 경영의 확산을 통해 근로시간을 단축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며 국가 경쟁력을 높인다는 것이다. 혁신주도 경제를 위한 학습사회 경쟁력 강화와 삶의 질 향상이 그 목표인 것이다.
이 위원회는 평생 재충전 예비조와 교대조를 도입한 유한킴벌리의 뉴패러다임 경영 성공에 자극 받아 발족했다. 지난해 11월 '500만 일자리 만든다'는 칼럼을 통해 유한킴벌리의 뉴패러다임 경영을 소개하며 국가정책으로 추진할 것을 촉구했던 만큼 정부 차원의 사람입국 의지가 참으로 반갑다.
그러나 이 정책 추진에 대해 많은 기업인과 일부 정책당국자들은 회의적이거나 냉소적인 태도를 보인다. 유한킴벌리의 성공은 특수한 것이어서 그 모델을 다른 기업에 확산시키는데는 문제가 있다는 것이다. 일자리 나누기로 실업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으며 고용의 질과 기업 경쟁력만 오히려 약화시킬 것이라고도 한다. 이같은 주장은 부분적으로는 옳지만 뉴패러다임 경영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우선 뉴패러다임 경영은 단순한 일자리 나누기가 아니라 지식기반 사회에서 변화하는 환경에 빠르게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학습조직으로 기업을 바꾸는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에서 시작된다. 또 유한킴벌리와 같은 성공이 외국에서는 이미 특수한 것이 아니다. 미국의 실리콘벨리에서 존경 받는 기업1위,MBA출신들이 가장 선호하는 기업 1위로 6년 연속 선정된 휴렛패커드사는 일자리 나누기와 평생학습의 인간경영 성공사례이다. 세계항공업계에서 최고 순이익을 올린 싱가폴항공 또한 인간중심 경영으로 유명하다. 이 항공사는 직원교육에 연간 750억원을 투자한다.
기계의 작동시간을 단축시키지 않거나 오히려 더 연장시키는 노동시간 단축은 유럽에서 고용 창출의 열쇠로 이해되고 있다. 영국과 싱가폴은 인적자원 개발 인증제 까지 도입해 기업들의 인적자원 개발 기준을 제시하고 지속적 개선을 장려하고 있다.
실업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정부와 기업이 단순히 노동시간 단축을 통해 일자리를 만드는 것도 불가피한 일이다. 지난 80년대 말 실업율이 10%에 달했을때 캐나다는 일자리 나누기로 경제회복의 발판을 마련했다. 당시 캐나다는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으로 미국의 투자가 멕시코로 몰려 위기에 처했는데 거대한 블랙홀 같은 중국을 이웃에 둔 지금의 한국은 그때의 캐나다와 비슷한 형편이다.
인적자원에 투자하는 뉴패러다임 경영은 서울광장 처럼 부분적인 불편과 문제점을 안겨줄지도 모르나 현재의 실업문제 해결과 미래의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최적의 대안이다.노동의 인간화 없이 우리 사회의 인간화는 이루어질 수 없다. *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