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자기를 부인하는 삶

마가복음 임영수 목사............... 조회 수 3155 추천 수 0 2009.06.06 23:44:50
.........
성경본문 : 막8:34∼38 
설교자 : 임영수 목사 
참고 : 주님의교회1998. 8. 16 주일낮 예배 

본문은 제자직의 의미에 관한 예수님의 가르침입니다. 예수님은 그를 따르고자 하는 제자들과 무리들에게 두 가지 조건을 말씀하십니다. 먼저 부정적인 것으로 자기를 부인해야 한다는 것과 그리고 긍정적인 것으로 자기 십자가를 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자기 부인은 자기의 인격을 부인하거나 순교자로서 죽는다거나 회의주의자들처럼 모든 것을 부인하는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신 것은 자기 중심적이며 이기주의적인 인간 본성의 경향에 따라 삶을 형성해 가는 것에서 벗어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자기부인은 단순히 그것 자체가 목적이 될 수 없습니다. 그렇게 될 때 그것은 의미 없는 것이 되어 버립니다. 여기서 말씀하는 자기부인은 그 전에 반항하고 거부했던 그 어느 인격적 대상의 뜻, 권위에 복종해 가는 구체적인 행동과 관련됩니다. 거기에 대해서 예수님은 "자기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르라"고 하십니다. 십자가를 지기 위한 자기부인입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하나님께 복종을 위한 자기부인입니다. 어떤 목적을 이루기 위한 자기부인입니다.

십자가를 진다는 것은 원래 유대인들의 상징이 아니었습니다. 그 당시 세계를 지배하고 있던 로마의 상징이었습니다. 로마 시대에 십자가를 지고 도시를 지나 자기 처형 장소에까지 가는 것은 로마에 복종한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그러므로 "자기 십자가를 지는 것은" 자신이 전에 거부하였던 권위에 굴복하고 복종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고 예루살렘에서 골고다까지 가신 것은 로마 정권에 굴복하고 복종한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어디까지나 하나님께 대한 복종의 상징입니다.

예수님를 따르고자 하는 사람은 하나님의 뜻 가운데서 자기에게 무엇을 요구하든지 예수님의 십자가가 아닌, 자기의 십자가를 져야 합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뜻에 응답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예수님과 같이 고통을 당하거나 십자가에 달린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하나님 나라와 그의 의를 위해 하나님께서 요구하시는 바를 조건 없이 복종해 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한 뜻에서 십자가를 진다는 것은 십자가의 삶을 살아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십자가의 삶은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들의 독특한 삶의 형식입니다.

예수님은 자기를 부인하고 십자가의 삶을 산다는 것은 영원한 생명을 얻는 길이며, 그렇지 않고 자기 중심적 삶에서 자기를 섬기며 살아가는 삶은 궁극적으로 자기 생명을 잃어버리고 영원한 멸망으로 나아가는 길이라는 것을 말씀하십니다. 거기에 대해서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합니다.

"누구든지 자기 목숨을 구원하고자 하면 잃을 것이요 누구든지 나와 복음을 위해 자기 목숨을 잃으면 구원하리라"
예수님은 "잃다"와 "얻다"를 생명과 관련시켜 적절하게 대비시켜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잃다는 자기부인, 또는 자기 포기를 뜻합니다. 얻기 위해서 잃어야 한다는 역설적 진리를 말씀합니다.
다음으로 예수님은 그러한 영원한 생명을 얻는 삶의 가치에 대해 말씀합니다. 그것의 가치는 온 세상과도 바꿀 수 없는 최상의 가치라는 것을 말씀합니다.

"사람이 만일 온 천하를 얻고도 자기 목숨을 잃으면 무엇이 유익하리요 사람이 무엇을 주고 자기 목숨과 바꾸겠느냐"
자기부인을 시금석으로 한 십자가의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세상 사람과는 다른, 생에 대한 특별한 통찰력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그들은 이 세상에서 최상의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고, 그것을 희망 가운데서 성취해 가는 사람들입니다.
아마도 세상 사람들 눈에는 그들이 어리석은 사람들처럼 보일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현실에서 이득이 되는 자기 중심적이며, 이기적인 삶을 포기하고 세상에서 아무 낙이나 즐거움이 없는 삶을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들이야말로 진정한 삶의 가치가 어디에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그러한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누구의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닙니다. 그들 스스로 자발적으로 선택한 삶이기 때문에 그러한 삶에서 오는 불이익·소외·핍박에 대해서 원망이나 후회가 없습니다.

예수님은 어느 시대에서나 그렇게 살아가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않고 자랑스럽게 감사하게 여기며 모든 사람들 앞에 드러내 놓고 살아가는 것이 예수님을 모든 사람 앞에서 시인하며 사는 삶이라는 것을 말씀하십니다.

"누구든지 이 음란하고 죄많은 세대에서 나와 내 말을 부끄러워하면 인자도 아버지의 영광으로 거룩한 천사들과 함께 올 때에 그 사람을 부끄러워하리라"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자기부인이나 십자가의 삶은 심한 거부감을 느끼게 합니다. 그것은 그러한 삶 자체가 그들의 삶의 방식에 방해물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요즈음 사람들에게 매력적이며 호감을 주는 것은 자기실현, 자기성취, 자기완성입니다.
그러나 실제로 자기부인이나 자기실현의 의미는 다 왜곡된 뜻으로 전달되어 있기 때문에 그 어느 하나 제대로 실현되어 가고 있지 않습니다. 특히 교회에서 강조되고 있는 자기 부인은 자기 비하·자기경멸·자기억압과 같은 뜻으로 이해되어지고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성숙되어 가는 그리스도인의 삶을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한편 세상 사람들에게 인기있는 자기실현, 자기완성은 철저히 자기를 중심으로 한 삶으로 형성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극도의 이기적인 인간, 쾌락과 욕망에 사로잡혀 영원한 생과는 너무나 거리가 먼 상태에 있는 인간의 모습입니다. 이 시대의 위기는 두 가지 다 왜곡되어 있다는 데 있습니다.

자기부인과 자기실현은 서로 대립되는 것이 아닙니다. 이 둘은 하나입니다. 진정한 자기실현은 자기부인에서 시작되어야 하고 진정한 자기부인은 자기실현의 길입니다. 모든 사람들에게 사랑과 존경을 받는 실현된 삶을 살아간 성인·성현들은 모두 자기부인을 통한 자기실현의 생을 살아갔던 사람들이었습니다. 그들에게 있어서 이 둘은 갈등과 대립이 아닌 한 길이였습니다.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그리스도인들은 그 어느 때보다 "자기부인을 시금석으로 한 십자가의 삶의 고귀성과 아름다움을 이 시대 사람들에게 나타내 보여야 합니다. 그렇게 하는 것이 삶의 현장에서 그리스도를 시인하는 삶입니다.

영국의 신학자 윌리엄 바클레이는 그리스도인들은 자기 자신에게 이렇게 물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대중 앞에서도 우리는 예수님에게 충실한 것일까?
우리는 공공 생활 안에서 대담하고 적극적으로 우리가 그리스도인임을 증명하고 있는 것일까?
괴짜라고 보이고 싶지 않아서 거의 무의식적으로 그리스도인이라는 사실을 감추려고 하는 것은 아닐까?
사교 생활에서도 예수님에게 충실한가?

어떤 분이 당신은 그리스도인입니까?라는 질문을 받았다. 그때 그는 "그렇습니다. 다만, 남의 신경을 건드리지 않는 그리스도인입니다."고 대답했다. 그의 대답은 자신의 신앙은 사교 생활의 기쁨을 즐기는 것을 방해하는 사람은 아니라는 뜻이었다. 난처한 처지를 겪지 않기 위해 자신이 그리스도인임을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이것을 감추는 경우가 많지 않을까?

사업에서도 우리는 예수님에게 충실한 것일까?
사업상 귀찮은 일을 처리하기 위해 이 세상의 기준을 따르느냐, 그렇지 않으면 결과가 어떨지를 묻지 말고 단호하게 예수 그리스도의 기준에 따라 사느냐?
이 물음은 누구도 대답할 수 없는 질문이다. 저마다의 양심에 따라 결정할 도리밖에 없다.
역시 윌리엄 바클레이의 말입니다.

인생의 목적은 사람에 따라 각양 각색이다. 돈·지식·명성·지위·큰발견 등 여러 가지가 있을 것이다. 어느 대학의 휴게실에서 장래 문제에 대해 대화를 주고 받았다. 누군가가 "너희들은 장래에 무엇이 되고 싶은가?"라고 물었다. 학생들에게서 여러 갈래의 답변이 나왔다. 훌륭한 학자, 선수, 대학 교수 등 멋진 대답이 많았다. 그때 조용하고 내성적이며 섬세한 한 남학생이 이렇게 말했다. "여러분은 웃을지 모르지만, 나는 다른 것은 제쳐놓고 성인이 되고 싶습니다.."

성인을 정의하면, 다음의 셋으로 가른다.
첫째, 성인이란 그 사람 안에 그리스도가 다시 살아 계시는 사람이다.
둘째, 성인이란 사람들이 하나님을 믿는 일을 쉽도록 만드는 사람이다.
셋째, 성인이란 자기를 통하여 하나님의 빛이 빛나게 하는 사람이다.

성인이 된다는 것은, 그리스도와 더불어 인생의 길을 걷는다는 사실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그 일이야말로 인생의 참다운 목적인 것이다.

계속해서 그의 말을 인용합니다.
어떤 공적을 많이 남긴 사람이 그가 살아있는 동안에 전기를 절대 쓰지 못하게 했다. 그의 공적으로 보아서 충분히 전기가 씌어져도 마땅하다고 생각될 만한 사람이었지만, 그는 언제나 이렇게 말하고 있었다.

"마지막 한주간 동안에 나는 낙오하는 사람을 싫증날 정도로 보아 왔기 때문이야."
인생은 끝나기 전까지는 알 수가 없다. 인생에는 안심할 수 있는 시기는 한 번도 없다.
"언제나 경계를 게을리 하지 않는 일이 자유의 대가이다."

경계를 게을리 하지 않는 일이 바로 지속적인 자기 부인의 삶입니다. 자기부인 가운데서만 그리스도와 함께 인생의 길을 걸어갈 수 있습니다.

끝으로 자기부인에 대한 몇 가지 정의를 내립니다.

(1) 자기부인은 삶의 중점을 자기에서 하나님께로 바꾸어 가는 것입니다.
(2) 자기부인은 작은 일에서부터 하나님의 뜻을 묻고 복종해 가는 것입니다.
(3) 자기부인은 우리 자신의 정체성을 더욱더 분명히 드러내는 것입니다.
(4) 자기부인은 강요에 의한 포기가 아닌 선택을 전제로 한 자발적인 포기입니다.
(5) 자기부인은 이웃과 세상에 대해 책임감을 갖는 것입니다
(6) 자기부인은 신앙의 모험의 길입니다.
(7) 자기부인은 자기를 사랑하는 것이며, 아울러 이웃을 사랑하는 것입니다.
(8) 자기부인은 십자가의 삶을 살기 위한 것입니다. 하나님께 복종하기 위한 것입니다.

예수님은 십자가의 죽음을 죽지 않으시고 십자가의 삶을 살으셨습니다. 그리스도인의 생의 목적은 인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그리스도와 함께 인생의 길을 걷는 것입니다. 그리스도는 길이시며 진리시오, 생명이십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 조회 수
1613 시편 흉기보다 무서운 말 시52:2-3  한태완 목사  2009-06-13 1759
1612 시편 희망과 기쁨 시16:9-11  한태완 목사  2009-06-13 2376
1611 히브리서 희망의 약속을 향하여 히6:13∼20  박병배 목사  2009-06-13 2062
1610 여호수아 의심과 두려움은 항상 생긴다 수1: 5~9  조용기 목사  2009-06-11 2385
1609 마태복음 원수를 극복하는 길 마5:38~41  조용기 목사  2009-06-11 3072
1608 빌립보서 삶과 염려, 근심, 걱정 빌4:6-7  조용기 목사  2009-06-11 4598
1607 로마서 배후에서 일하시는 하나님 롬8:33~39  조용기 목사  2009-06-11 2541
1606 누가복음 드리기 위해서 태어난 사람 눅6:38  조용기 목사  2009-06-11 1897
1605 야고보서 자기를 비워야 하나님의 뜻이 이뤄진다 약1:12~15  조용기 목사  2009-06-11 2623
1604 고린도전 새로운 각오 고전13:1~3  조용기 목사  2009-06-11 1938
1603 창세기 하나님을 감동시킨 사람들 창22:15~18  조용기 목사  2009-06-11 3371
1602 시편 하나님을 두려워하면 세상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시31:19~21  조용기 목사  2009-06-11 3160
1601 예레미야 크고 비밀한 일 렘33:2~3  조용기 목사  2009-06-11 3487
1600 로마서 모든 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느니라 롬8:28  조용기 목사  2009-06-11 3606
1599 고린도후 하나님보다 더 신령한 사람들 고후8:9  조용기 목사  2009-06-11 2073
1598 이사야 이 땅의 그루터기 사6:13  배현주 교수  2009-06-07 3060
1597 빌립보서 그대는 내게 축복입니다. 빌4;1  김경희 교수  2009-06-07 2571
1596 갈라디아 성경을 읽는 한 가지 방법 갈3:26~29  윤진수 형제  2009-06-07 3224
1595 호세아 광야 호13:5-6  최창모 교수  2009-06-07 4133
1594 사도행전 가까이 계시는 하나님 행17:22~29  길희성 형제  2009-06-07 2383
1593 고린도후 강한 자가 되라 고후12:7-10  강종수 목사  2009-06-07 2414
1592 고린도전 대화로서의 기도 고전14 : 15  임영수 목사  2009-06-06 2138
1591 사도행전 하나님의 희망 속에 있는 공동체 행2:37∼47  임영수 목사  2009-06-06 2176
1590 요한복음 보혜사 성령 요16:5∼16  임영수 목사  2009-06-06 3202
» 마가복음 자기를 부인하는 삶 막8:34∼38  임영수 목사  2009-06-06 3155
1588 마태복음 구원의 현실성 마11:25∼30  임영수 목사  2009-06-06 1752
1587 시편 인간의 길 시1:1∼6  임영수 목사  2009-06-06 2270
1586 고린도전 그리스도의 부활과 생명의 힘 고전15:1-11  정용섭 목사  2009-06-03 2004
1585 마가복음 본질의 변질 막11:15-19  정용섭 목사  2009-06-03 2131
1584 시편 나는 왜 감사해야 하는가? 시50:22~23  조용기 목사  2009-06-01 2992
1583 베드로전 눈에 안 보이는 대적 벧전5:5~9  조용기 목사  2009-06-01 1996
1582 고린도후 우리가 죽으면 어떻게 되지요? 고후5:8-9  조용기 목사  2009-06-01 2068
1581 갈라디아 내 인생을 누가 살아주나? 갈2:20절  조용기 목사  2009-06-01 2636
1580 열왕기하 육의 눈과 영의 눈 왕하6:14~17  조용기 목사  2009-06-01 2826
1579 마태복음 주께 업혀서 사는 삶 마11:28~30  조용기 목사  2009-06-01 2336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