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명설교 모음

택스트 설교

설교자'가 확실한 설교만 올릴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법정으로 가자!

이사야 정용섭 목사............... 조회 수 2510 추천 수 0 2010.01.29 12:38:07
.........
성경본문 : 사50:4-9 
설교자 : 정용섭 목사 
참고 : http://dabia.net/xe/38991 
emoticon
2007.04.01.

우리가 함께 읽은 이사야 50:4-9절을 쓴 사람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이사야가 아니라 그보다 1백50년 쯤 후대에 활동한 제2 이사야입니다. 그가 활동한 6세기 중반은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가장 비참했던 시기입니다. 북이스라엘이 앗시리아에 의해서 멸망당한 후 남유대마저 바벨론에 의해서 함락된 기원전 587년부터 50년 동안 이어지는 바벨론 포로기가 바로 그가 활동한 시기입니다. 우리의 한일합방과 식민시절을 생각하면 됩니다. 그가 살던 시절이 고달팠기 때문인지 제2 이사야서에는 4편의 ‘종의 노래’가 담겨 있습니다. 42:1-4, 49:1-6, 50:4-9, 52:13-53:12이 그것입니다. 오늘 본문도 그 중의 하나입니다. ‘종의 노래’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사람이 당하는 고난을 주제로 하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억하는 절기인 사순절에 우리 기독교인들이 읽기에 안성맞춤입니다. 이 종은 어떤 사람일까요? 제2 이사야는 어떤 상황에 놓여 있을까요? 그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요?
본문의 설명에 따르면 이 사람은 야훼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그것을 전해야할 사명이 있는 사람입니다. 그는 야훼로부터 말씀을 들었습니다. 야훼께서 “아침마다 내 귀를 일깨워주시어 배우는 마음으로 듣게 하신다.”고(4b) 말합니다. 말씀을 받아 선포하는 걸 신탁(神託, oracle)이라고 합니다. 구약성서에는 이렇게 하나님으로부터 신탁을 받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전문적으로 전하는 예언자들만 아니라 크게 보면 하나님으로부터 어떤 약속이나 명령을 들은 사람들도 모두 여기에 포함됩니다. 아브라함, 이삭, 야곱도 이런 신탁을 경험했습니다. 신약성서에도 이런 경험을 한 사람은 많습니다. 바울은 다마스쿠스 도상에서 부활하신 주님을 환상 가운데 만났으며, 요한은 밧모섬에서 새 하늘과 새 땅에 대한 환상을 경험했습니다. 오늘 본문의 이사야는 아침마다 무슨 말씀을 들은 걸까요?

참 예언과 거짓 예언
예언자들은 영적으로 놀랍도록 예민한 사람들이었습니다. 일반 사람들은 아무 것도 눈치 채지 못하는 사건에서도 그들은 하나님의 뜻을 정확하게 파악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비유적으로 말해서, 여섯 살 때부터 작곡을 했다는 모차르트 같은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놓치고 있는 소리와 음악의 세계에 일찌감치 들어갔습니다. 이런 일들은 여러 곳에서 일어납니다. 떼이야르 드 샤르뎅의 어릴 때 이야기입니다. 초등학교에 갓 들어간 떼이야르는 어느 날 어머니가 머리카락을 태우는 것을 보고 있었습니다. 어머니 손에 놓여 있던 머리카락이 불에 타자 순식간에 연기로 사라진 것을 보고 ‘존재의 충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조금 전까지만 해도 어머니 손에 놓여있던 머리카락이 어디로 간 것일까 하는 깊은 궁금증에 빠졌습니다. 이처럼 예언자들은 고유한 영적 감수성으로 하나님의 뜻을 이해했습니다. 야훼 하나님의 말씀이 귀에 들리고, 눈에 보였습니다. 본문의 이사야도 ‘아침마다’ 그런 경험을 했습니다. 늘 새롭게 말씀을 깨달았다는 뜻입니다.
사실 신탁은 위험합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예언자들이 거짓 신탁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입니다. 악한 영에 사로잡히면 거짓 신탁을 받게 마련입니다. 인류 역사에 얼마나 많은 거짓 예언자들이 출몰했는지 모릅니다. 대표적으로 히틀러 같은 사람입니다. 게르만민족을 중심으로 신성로마제국을 건설하겠다는 그의 외침에 수많은 사람들이 호응했습니다. 그에게는 대중을 선동할만한 신탁 경험이 있었습니다. 그런 정치 선동가들만이 아니라 종교인들 중에서도 거짓 신탁에 사로잡힌 이들은 많습니다. 기독교의 수많은 사이비 교주들이 그렇습니다. 전도관의 박태선 씨나 통일교의 문선명 씨도 그런 유의 사람들이 아닐까요? 오늘 이 순간에도 참된 예언자들만이 아니라 거짓 예언자들이 강력하게 활동합니다.
여러분들은 청중들이 왜 거짓 예언자들을  추종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을 겁니다. 참된 예언자와 거짓 예언자를 분간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참 신탁과 거짓 신탁은 어떤 점에서 종이 한 장 차이로만 구분됩니다. 청중만이 아니라 하나님으로부터 말씀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본인들 자신이 그것을 구분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는 마치 음악을 잘 모르면서도 음악을 가르치거나, 자기의 음악경험을 절대화함으로써 학생들의 참된 음악경험을 방해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겉으로는 인격적인 것처럼 보여도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거짓 신탁에 사로잡히는 일이 많다는 뜻입니다. 그 이유는 신탁이 가장 심층적인 영혼 안에서 일어나는 영적인 사건이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표면적으로 일어나는 것만을 보고 판단하는 경향이 많기 때문에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내기만 하면 그것이 곧 참된 신탁인 것처럼 생각합니다. 포퓰리즘은 우리의 진리 인식을 가로막는 원인입니다. 쉽게 말해서 교회가 부흥하기만 하면 그것을 성령의 활동으로 인식한다는 말입니다. 돈을 많이 벌기만 하면 그 사람을 능력이 많은 사람으로 보는 것처럼 말입니다.
신탁이 위험한 둘째 이유는, 참된 신탁은 대중으로부터 외면 받을 때가 많다는 사실입니다. 신탁에 사로잡힌 사람은 그걸 대중으로부터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구약의 예언자들은 거의 대부분 민중들로부터 별로 큰 지지를 받지 못했습니다. 오죽 했으면 엘리야가 로뎀나무 밑에서 “오, 야훼여, 이제 다 끝났습니다. 저의 목숨을 거두어주십시오.” 하고 한탄했겠습니까?(왕상 19:4) 예레미야도 그 당시에 민중들로부터 완전히 따돌림을 당했습니다. 오늘 본문에서 제2 이사야는 훨씬 노골적인 비난을 받았습니다. 6절 말씀에 따르면 사람들이 그를 때리고, 수염을 뽑고, 욕설을 퍼붓고, 침을 뱉었습니다. 그는 인간이 당할 수 있는 가장 큰 모욕을 당했습니다. 그렇게 위대한 예언자가 존경을 받지는 못할망정 모욕을 당했다는 것이 이상해보입니다.
그러나 그건 그렇게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그 당시 민중들이 특히 악하기 때문이 아닙니다. 그들은 예언자들의 신탁을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모르는 것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부정적으로 생각하기 마련입니다. 모른다는 말은 단순히 모른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라 예언자의 신탁이 민중들의 마음에 들지 않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민중들은 자신들이 듣고 싶은 말만 들으려고 합니다. 당신들은 착하다, 복 받는다, 좋은 일이 많을 거다, 하는 말을 듣고 싶어 합니다. 아내들이 남편들에게서 사랑한다는 말을 듣고 싶어 하듯이 말입니다. 민중들은 자신들이 듣고 싶어 하는 것을 선포하는 예언자들의 신탁에는 열광하지만 다른 것을 전하는 예언자들의 신탁은 거부할 수밖에 없습니다.
예수님도 민중들로부터 거부당했습니다. 민중들이 예수님의 말씀을 이해하기 못했을 뿐만 아니라 예수님의 말씀이 그들의 기대에 부합하지도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예수님에게서 승리자 메시야를 기대했습니다. 예수님이 구체적으로 자신들의 삶에 혜택을 가져다주기를 바랐습니다. 로마로부터 해방시켜주고, 복을 가져다주기 바랐습니다. 민중들은 예수님이 이 땅에 정치, 경제적인 정의를 실현해주기를 바랐지만 예수님은 자신의 나라가 이 세상이 아니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이 강력한 카리스마로 이 세상의 모든 악을 일소해주기를 바랐지만 그는 오히려 고난의 길을 가셨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에게 각각 자신의 십자가를 져야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민중들은 예수님을 더 이상 따라갈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들은 예수님에게 실망하고, 더 나아가서 기만당했다고 생각했을지 모릅니다. 이런 점에서 가룟 유다의 배신행위는 단지 그 사람만의 문제가 아니라 그 당시 모든 사람들의 생각이 그대로 반영된 것이었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처형에 가담한 제사장, 바리새인, 빌라도는 바로 우리를 포함한 모든 인류, 모든 민중들의 대리인입니다. 우리는 모두 예수님이 걸어가셨던 고난과 시련을 증오하고 승리자가 되기만을 꿈꿉니다.

고난과 시련 가운데서
그렇습니다.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를 뒤따르는 제자들이라는 사실을 전제한다면 나름의 고난과 시련을 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예수님을 믿는 사람들에게 이런 시련과 고난이 없다면 무언가 신앙이 잘못된 것인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예수님의 시련과 십자가는 곧 이 세상의 ‘걸림돌’(스캔들)이기 때문입니다. 십자가 신학은 “좋은 게 좋다.”는 식으로 작동되는 이 세상을 향해서 “그렇지 않다.” 하고 시비를 겁니다. 초기 기독교는 그 당시 당연시했던 황제숭배를 거부했습니다. 그런 방식으로 세상과 충돌하다가 순교를 당하기도 했습니다. 오늘의 황제숭배는 어쩌면 자본만능주의, 경쟁력 및 성공지상주의일지 모르겠습니다. 오늘의 기독교 신앙은 오늘의 황제숭배와 투쟁해야 합니다. 이렇게 살다보면 이 세상에서 고난과 시련을 당할 수밖에 없겠지요.
오해는 마십시오. 기독교 신앙이 고난과 시련 자체를 목적으로 한다는 말이 아닙니다. 기독교는 자학과 금욕에 치우치지 않습니다. 의도적인 고난과 시련은 복음이 아니라 오히려 율법입니다. 고난과 시련은 목표가 아니라 예수의 삶을 구체적으로 뒤따르는 과정에서 받게 되는 결과들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볼 때 시련과 고난은 단지 물질적인 것만은 아닙니다. 고독일 수도 있고, 냉대일 수도 있습니다. 바른 신앙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유리한 조건들을 포기하기도 하고, 여러 어려움을 감당하기도 해야 합니다.
지금 샘터교회에 출석하는 교우들은 이런 점에서 시련을 당하는 분들일지 모르겠군요. 어느 교회를 다니시는데요, 교회당은 있나요, 신자는 몇 명이나 되는데요? 주변에서 이런 질문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정말 시시한 교회에 다닌다는 눈총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외롭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겠군요. 그러나 그것이 바른 신앙과 바른 영성에 충실하기 위해서 받는 눈총이라고 한다면 오히려 여러분은 기뻐해야 합니다. 그것은 곧 여러분이 고난과 시련의 길을 예언자 전통에 참여했다는 증거이기도 합니다. 제가 지금 작은 교회가 무조건 선하다거나 큰 교회가 무조건 잘못되었다는 뜻으로 말씀드리는 게 아닙니다. 우리가 바른 신앙, 참된 신탁을 따라가다 보면 시련과 고난이 없을 수 없다는 말씀입니다.
제2 이사야도 이런 고난과 시련을 크게 받았습니다. 그의 처지는 주인이 물건처럼 다루는 종과 같았습니다. 앞서 지적한 것처럼 사람들은 그를 때리고 침을 뱉고 욕을 했습니다. 그는 그런 상황을 견딜 수 없었을 겁니다. 그가 7절에서 “나 조금도 부끄러울 것 없다.”거나 “차돌처럼 내 얼굴빛 변치 않는다.”고 외쳤다는 것은 곧 그가 부끄러워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였다는 사실을 거꾸로 표현한 것입니다. 생각해보십시오. 민중들이 그의 설교에 귀를 닫고 있습니다. 시시한 소리 집어치우라고 아우성입니다. 민중이 외면하고 거부하면 자신의 신탁에 자신이 없어집니다. 그는 자신의 설교에 불안합니다. 그의 마음이 흔들리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쥐구멍이 있으면 숨고 싶은 심정이었을지 모릅니다.
며칠 전에 어떤 목사님이 편지와 함께 자신의 설교가 담긴 씨디를 보내왔습니다. 그는 몇몇 교회에서 부교역자로 활동하다가 적응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최근에는 결국 임지도 결정하지 못한 채 쫓겨났다고 합니다. 담임 목사가 자신의 설교에 대해서 문제를 지적하는 일이 잦다가 그런 일이 벌어졌다고 하네요. 그는 자신의 처지가 비참한 것 같다고 하면서, 자신의 설교에 무슨 문제가 있는지 한번 지적해 달라는 것이었습니다. 제가 보기에 그의 설교는 괜찮았습니다. 그렇게 연락을 주자 그는 고맙다고 하더군요. 얼마나 불안했으면 저에게 그런 부탁까지 했을까 하는 생각으로 제 기분이 착찹했습니다.
극한의 모욕과 냉대를 받은 오늘 본문의 예언자는 거기서 좌절하지 않았습니다. 7,9절에서 연달아 “주 야훼께서 나를 도와주신다.”고 고백합니다. 그래서 그는 이제 부끄러움이 없다고 합니다. 더 나아가 그는 “법정으로 가자.”고 자신 만만하게 나섭니다. 거기서 시비를 가려보자는 것입니다. 이 법정은 곧 하나님의 법정입니다. 그것은 곧 진리 논쟁을 의미합니다. 외적인 권위가 아니라 진리의 차원에서 따져보자는 것입니다. 이런 외침은 참된 신탁에 사로잡힌 사람에게서만 나올 수 있습니다.
오늘 우리는 작은 시련과 고난을 만나기만 해도 크게 흔들리고, 어쩔 줄 몰라 합니다. 그 이유는 하나님이 주시는 위로를 모르기 때문입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여기서 빠져나갈 수 없습니다. 노예처럼 조롱받는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위로를 알기 때문에 “하나님의 법정으로 가자.”고 외친 이 예언자를 보십시오. 고난과 십자가 처형을 당하신 예수님은 하나님의 법정에서 부활의 생명을 얻었습니다. 고난주간을 맞는 여러분에게도 “하나님의 법정으로 가자.”고 하는 깨달음과 용기와 믿음이 가득하기를 바랍니다. 아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경본문 설교자 날짜 조회 수
2839 창세기 시험 창22:1-3  이정원 목사  2010-01-31 1764
2838 창세기 하나님께서 함께 하시는 사람 창21:22-34  이정원 목사  2010-01-31 2380
2837 창세기 쫓겨난 이스마엘 창21:14-21  이정원 목사  2010-01-31 2077
2836 누가복음 예수님은 빈 배를 찾으십니다 눅5:1-11  김갑진 목사  2010-01-31 3044
2835 창세기 언약을 이루시는 하나님 창21:1-7  이정원 목사  2010-01-31 2385
» 이사야 하나님의 법정으로 가자! 사50:4-9  정용섭 목사  2010-01-29 2510
2833 요한복음 마리아의 나드 향유 요12:1-8  정용섭 목사  2010-01-29 7625
2832 여호수아 만나가 멎는 날 수5:10-12  정용섭 목사  2010-01-29 3041
2831 고린도전 영적 긴장감 고전10:1-13  정용섭 목사  2010-01-29 3126
2830 누가복음 실패의 길을 가자! 눅13:31-35  정용섭 목사  2010-01-29 1939
2829 신명기 떠돌이 아람인의 후손 신26:1-11  정용섭 목사  2010-01-29 2593
2828 누가복음 예수에게 나타난 하나님의 영광 눅9:28-36  정용섭 목사  2010-01-29 2708
2827 고린도전 죽은 자의 부활과 오늘의 삶 고전15:12-19  정용섭 목사  2010-01-29 2913
2826 마태복음 하나님의 나라와 하나님의 뜻 마6:10  조용기 목사  2010-01-27 2517
2825 마태복음 내가 쉬게 하리라 마11:28~30  조용기 목사  2010-01-27 1146
2824 고린도전 방언의 유익 고전14:18  조용기 목사  2010-01-27 3103
2823 창세기 아브라함과 하나님의 복 창12:1~5  조용기 목사  2010-01-27 2749
2822 마태복음 주님과 함께 살기 위하여 마28:16-20  조용기 목사  2010-01-27 2523
2821 고린도후 왜 고난이 필요한가? 고후4:16-18  조용기 목사  2010-01-27 2685
2820 요한복음 성도의 신분 변화 요3:1~15  조용기 목사  2010-01-27 2459
2819 시편 신앙의 사계절 시23:1~6  조용기 목사  2010-01-27 2205
2818 히브리서 예수님을 바라보는 한 해 히12:1~2  조용기 목사  2010-01-27 2329
2817 잠언 내적 치유 잠17:22  조용기 목사  2010-01-27 3104
2816 고린도전 예비하시는 하나님 고전2:9  조용기 목사  2010-01-27 2374
2815 베드로후 거짓 것을 조심하자 벧후2:1-14  최장환 목사  2010-01-27 2113
2814 창세기 기다리는 자 창16:1-6  최장환 목사  2010-01-27 2081
2813 누가복음 죄사함 눅7:41-47  강종수 목사  2010-01-25 2452
2812 레위기 하나님께 생각난 자 레19:19-30  최장환 목사  2010-01-25 4022
2811 요한계시 충성되고 살아있는 교회 계3:7-13  최장환 목사  2010-01-25 2407
2810 창세기 생각을 바꾸면 감사가 보인다. 창37:12-28  최장환 목사  2010-01-25 4585
2809 민수기 하나님의 원칙 민27:1-14  최장환 목사  2010-01-25 2360
2808 룻기 주님의 귀한 신부 룻3:1-18  최장환 목사  2010-01-25 1895
2807 아가 고마운 사람 아3:1-11  최장환 목사  2010-01-25 2194
2806 요한계시 올바른 방향 계20:1-15  최장환 목사  2010-01-25 1604
2805 창세기 하나님의 의도 창14:1-20  최장환 목사  2010-01-25 1723

설교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