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자연, 환경 그리고 창조

생명환경자연 조용훈 교수............... 조회 수 2234 추천 수 0 2010.05.28 19:22:36
.........
출처 :  

자연, 환경 그리고 창조

조 용 훈 (한남대 기독교학과 교수)

 

지구환경위기를 둘러싼 논의에서 자연, 환경, 생태학, 창조질서 등의 개념이 자주 언급된다. 이 모두가 비슷한 내용들인 것 같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중요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이 단어들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인식과 이해를 갖추어야 하겠다.

우선 '자연'이란 개념을 살펴보자. 자연은 생물학적 의미와 형이상학적 의미 두 가지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다. 생물학적 의미에서 자연은 동식물의 생물과 산과 바다, 광물자원같은 무생물 전체를 의미한다. 한편 형이상학적 의미에서 자연은 인공적인 것과 구별되는 본래적인 것이란 뜻으로 사용된다. 자연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지 않은 소여성(所與性, 부여된 바)이다. 여기서 자연은 법, 역사, 문화, 이성 등의 반대개념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말이나 '도란 자연을 본받는 것(道法自然)'이란 표현에서 보듯이 윤리적 규범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한편 '환경'이란 단어는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주변세계 전체를 가리킨다. 여기에는 자연환경은 물론 사회적 환경, 문화적 환경 등도 포함된다. 그런데 깊이 생각해보면 환경이란 말은 인간을 우주의 중심에 놓고 자연을 인간의 주변세계화하는 인간중심주의적 사고가 바탕이 됨을 알 수 있다. 한자어로 環境은 '고리', '원', '두른다'는 뜻의 環과 '지경' 혹은 '경계'를 뜻하는 境이 어우러진 말이다. 인간을 둘러싸는 것, 인간의 주변이라는 의미로써 다분히 인간중심주의적 자연파악임을 알 수 있다. '환경보호', '환경보전'이란 구호 속에서 다분히 그같은 인간중심주의적 가치관을 읽을 수 있다. 그래서 독일의 사상가들 가운데에는 '환경'

(Um-welt)이라는 말 대신에 '공동세계'(Mit-welt)라는 말을 제안하기도 한다.

다른 한편, 생태학이란 본래 생물학의 한 분야로서 생물체 혹은 생물군과 자연환경 사이의 상호의존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을 가리킨다. 그런데 이 개념이 중요한 것은 인간과 자연을 상호 관련된 것으로 파악한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생태계', '생태학'이란 말은 인간과 자연을 공존공생의 관계로 파악하는 전일적(holistic) 자연관이라 할 수 있다. 오늘날 이 개념은 자연을 기계역학적 구조, 즉 죽어 있는 물질로서 파악했던 근세의 자연과학적 자연관에 대한 대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기독교회나 신은 자연이나 환경이라는 개념 대신에 '창조질서'란 개념을 사용한다. 창조란 자연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신앙고백이다. 그리스도인의 신앙과 신학의 출발점은 "태초에 하나님께서 천지를 창조하시니라"는 고백에서 출발한다. 성서가 말하는 창조 이야기는 우주의 기원에 대한 과학적 해명에 관심하기 보다는 인간과 우주 전체에 대한 근원적 언급이라 할 수 있다. 말하자면 인간과 자연은 오직 하나님과의 관계 속에서만 의미를 지니게 된다는 것이다.

창조신앙은 자연으로부터의 인간해방과 동시에 자연에 대한 인간의 책임을 강조한다. 창조신앙을 통통해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해방되었다. 자연은 더 이상 신이 아니며, 인간이 숭배해야 할 대상도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인간이 마음대로 착취하거나 억압해도 되는 대상이나 물건도 아니다. 자연은 인간의 소유가 아니라 하나님의 소유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다만 자연을 돌보고 가꾸어야 할 청지기적 사명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오늘 우리시대의 사회문제 중 가장 크고 근본되는 지구환경위기 문제는 바로 자연에 대한 올바른 개념 이해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인간중심주의적 자연이해나 자연중심주의적 자연이해를 극복해야 하겠다.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관계와, 하나님 앞에서 인간의 자연에 대한 윤리적 신앙적 책임관계를 명확하게 할 수 있는 기독교적 자연이해가 요청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60 논문신학성경 삼위일체론 [1] 가우리 2010-06-10 3011
2159 논문신학성경 칼빈의 하나님/인간의 관계이해: 변증법적인가 아니면 삼위일체론적인가 ? 가우리 2010-06-10 5387
2158 논문신학성경 니케아 - 콘스탄티노플 신조와 바른 삼위일체론 김명룡 교수 2010-06-10 3012
2157 논문신학성경 존 오웬의 구속에 대한 삼위일체적 이해 박홍규 교수 2010-06-10 2796
2156 논문신학성경 삼위일체에 대한 다양한 견해 [1] 이한규 목사 2010-06-10 3107
2155 논문신학성경 삼위일체론의 형성과 의미 유해무 교수 2010-06-10 2975
2154 치유영적전쟁 단테가 묘사한 지옥의 모습 file 단테 2010-06-09 4263
2153 인기감동기타 사말의 노래 윤형중 신부 2010-06-09 2821
2152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200] 시간이란 무엇인가 어거스틴 2010-06-07 3035
2151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99] 수수께끼의 해답 어거스틴 2010-06-07 2652
2150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98] 시간 측정법 어거스틴 2010-06-07 2775
2149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97] 시간의 다름 어거스틴 2010-06-07 3173
2148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96] 마음의 눈 어거스틴 2010-06-07 3508
2147 경포호수가에서 신전과 인간 [2] 피러한 2010-06-02 3502
2146 논문신학성경 기독교 세계관의 패러다임 예수생명 2010-05-31 2412
2145 생명환경자연 기독교 윤리 입장에서 본 복제인간 안단은 2010-05-31 3133
2144 생명환경자연 생명복제에 관한 윤리적 반성과 전망 박종균 교수 2010-05-31 4043
2143 논문신학성경 생명의 기원에 대한 신학적 논의 이승구 교수 2010-05-31 2578
2142 사회역사경제 크리스천의 직업관 [1] 이승구 교수 2010-05-31 3004
2141 목회독서교육 칼빈의 기독교 강요와 변증적 성격 배경식 교수 2010-05-30 2744
2140 목회독서교육 기독교 강요 분석 둥근달 2010-05-30 3084
2139 목회독서교육 기독교 강요 요약 칼빈 2010-05-30 4172
2138 논문신학성경 기독교 세계관이란 무엇인가? 이승구 교수 2010-05-28 3369
2137 가정결혼양육 이혼에 대한 성경적 이해 이정석 교수 2010-05-28 3809
2136 정치건강취미 크리스찬의 정치참여, 어디까지 좋을까? 이정석 교수 2010-05-28 2340
2135 가정결혼양육 하나님의 가족'으로서의 가정 김지철 교수 2010-05-28 2629
2134 생명환경자연 구약 성서에 나타난 일과 노동 한동구 박사 2010-05-28 2527
2133 생명환경자연 예수에게 나타난 창조신학 김지철 교수 2010-05-28 2466
» 생명환경자연 자연, 환경 그리고 창조 조용훈 교수 2010-05-28 2234
2131 수도관상피정 십자가의 성 요한 작품 전집> 서문 안셀모 2010-05-26 3878
2130 수도관상피정 욕구'에 관한 십자가의 성 요한의 가르침 사하라 2010-05-26 3115
2129 수도관상피정 십자가의 요한, 영혼의 어둔 밤에 대한 올바른 이해 치유영성원 2010-05-26 3437
2128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95] 미래에 대한 예언 어거스틴 2010-05-25 2826
2127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94] 과거의 시간과 미래의 시간 어거스틴 2010-05-25 3674
2126 영성묵상훈련 [어거스틴 참회록193] 측정되는 시간 어거스틴 2010-05-25 3297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