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을 클릭하면 지금 바로 구입하실수 있습니다.

책을 내면서
제1편 성경의 형성과 바른 번역
제1장 성경의 영감과 원본 사본 역본에 대한 바른이햐
1.성경에 대한 바른이해
2.성경의 영감과 원본에 대한 바른 이해
3.사본에 대한 바른 이해
4.역본에 대한 바른 이해
5.맹목적 보수신앙의 모순성과 위험성

제2장 성경의 기본적 문에제 대한 바른 이해
1.성경의 무오성에 대한 바른 이해
2.구약과 신약에 대한 바른 이해
1)구약에 대한 부정적 입장
2)신구약의 연속성 문제
3)구약과 신약 간의 불연속성
4)신구약 간의 연속성의 원리
3.한국교회의 구약에 대한 잘못된 이해
4.한국교회의 소위 '보수신앙' 비판
5.맺는말

제3장 우리말 성경에서의 바른 번역
1.로스역에서 개역 및 표준새번역까지
2.개역성경 개정판의 실제
1)머리말
2)개역성경 개정의 범위 및 원칙
3)틀린 말에서 바른 마레로의 개정
4)어려운 말에서 쉬운 말에로의 변개
5)더 합당한 말로의 개선
6)문법적인 오류
7)아직도 아쉬운 점
8)개역성경 개정판에 대한 소감
9)맺는말


제2편 성경에 대한 바른 해석-석의 방법론
■ 성경해석 방법론의 자리매김
제1장 성경 해석의 역사
1.성경 중의 해석의 역사
2.그리스도교 이전의 해석
3.성경 해석자로서의 예수
4.초기 및 중세기의 해석
5.종교개혁 시대의 해석
6.계몽시대의 해석(18~19세기)
7.실존주의 시대의 해서(20세기)

제2장 성경해석법
1.성경해석과 본문
1)본문의 선택 결정
2)우리말 성경상의 오역
2.문법적 해석법
1)어원적 고찰
2)한 낱말이 가지는 다양한 의미
3)같은 낱말이 다른 뜻으로 사용되는 것
4)성경 본문 중에 저자 자신이 언급한 정의나 설명
5)대구 에 의한 낱말의 설명
6)비유의 여러가지 형태
7)낱말의 수사적 용법
8)문맥상의 고찰
9)구문상의 고찰
3.역사적 해석법
1)기본 전제
2)저자에 대한 탐구
3)화자에 대한 탐구
4)본문의 배경이 된 여러가지 환경 탐구
5)독자 또는 수신자에 대한 탐구
6)저자의 저술목적 탐구
7)저자와 해석자에 대한 시대적 이해
4.신학적 해석법
1)구약과 신약간의 신학적 통일성
2)성경 내용의 상징적 의미와 표상적 의미
3)예언 해석법
4)요한계시록 해석법

제3장 성경비평학
1.본문비평
1)본문비평의 역사
2)본문비평의 자료
3)신약성경의 표준 본문
4)본문비평 장치의 부호 및 약어
2.문헌비평
1)문헌비평이란 무엇인가?
2)문헌비평의 실제
3. 양식사 비평
1)문양식사 비평이란 무엇인가?
2)양식사 비평의 실제
4.전승 비평
1)전승비평이란 무엇인가?
2)전승비평의 실제
5. 편집비평
1)편집비평이란 무엇인가?
2)편집비평의 실제
6.종교사적 비평
1)종교사적 비평이란 무엇인가?
2)종교사적 비평의 실제
7.구조주의적 해석법
1)구조주의적 해석법이란 무엇인가?
2)구조주의적 해석법의 실제
8.사회학적 고찰
1)사회학적 고찰이란 무엇인가?
2)사회학적 고찰의 실제
■ 참고문헌


제3편 성경 해석과 바른 설교
제1장 성경해석과 설교
1.설교의 첫째 요건으로서의 성경해석
2.성경 본문의 바른 해석과 설교
3.본문의 제목에 따른 해석과 설교
4.성경해석과 설교의 실제
5.성경 본문과 설교 제목
6.성경 본문과 연속설교의 구성

제2장 설교의 실제
1.그리스고인의 삶과 죽음(롬 14:7~9)
2. 나의 뜻과 주의 뜻(약4:13~17)
3. 제 3차원의 삶(골3:1~2)
4.큰 백성의 작은 아이(왕상 3:4~9)
5.인생과 사명(전1:2~8,12:13)

부록
1.우리말 주기도 사도신경 개정 이 이상 미룰 수 없다
2.소위 '21세기 찬송가'에 대한 제언과 비평
3.기독교 용어의 바른 연구를 위한 자료
4. 성경시 감상
1)구약:창세기 1장1절
2)신약 : 한 고독한 생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