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싯돌 할아버지
우리 할머니는 공원에 자주 가십니다. 큰 병원 옆에 있는 동네 공원입니다. 할머니는 “넘어져서 팔을 쭉 뻗으면 닿을 곳에 공원이 있으니 나가서 운동을 좀 해라” 하십니다. 그렇게 가까운 거리입니다. 날씨가 몹시 더운 날이면 할머니께서는 “아이 덥다, 공원에나 올라가야겠다.”라고 하십니다.
지난 여름이었습니다. 아침 일찍부터 집안의 구석구석의 청소를 마치신 할머니께서는 공원으로 나가십니다. 공원에 오르는 데는 돌층계가 모두 200개나 됩니다. 그 계단을 할머니께서는 한 번도 쉬지 않고 올라가십니다. 다른 할머니들은 공원에 오르다가 숨이 차서 중간에 있는 의자에 앉아서 한 번은 쉬고 올라가시는데도 우리 할머니께서는 꼭대기에 있는 팔각정까지 한 번에 올라가십니다.
그러시면서 “얼른 자리를 잡아야겠다. 다른 사람들이 먼저 와 있으면 우리가 차지하기가 어렵지” 하십니다. 할머니가 팔각정에 오르면 하시는 일이 있어서입니다. 가방에 넣어 둔 쑥짐기를 꺼내어 양쪽 손바닥에 올려놓고 약쑥에다 불을 붙여서 쑥뜸을 하는 일입니다.
“할머니 왜 이런 일을 여기서 하세요?”하고 내가 물으면 할머니께서는 “집에서는 공기도 잘 통하지 않아서 냄새도 많이 나고 온 집안에 냄새가 퍼지니까 여기가 좋지, 쑥뜸을 하기에는 제일 좋아요.” 하시면서 두 다리를 쭉 뻗고 앉으셔서 쑥뜸을 시작하십니다.
팔각정 마루위에는 할머니께서 준비해 가지고 와서 꺼내놓은 여러 가지 음식물들이 있습니다. 곶감, 잣, 음료수, 인절미, 콩떡, 도마도 주스, 그리고 호랑이가 그려진 가죽 보자기, 또 집 열쇄 꾸러미를 가지런히 놔두었습니다.
할머니는 양손바닥을 하늘을 향하게 하고 그 위에다 동그란 쑥짐기를 두 개나 올려놓고 쑥이 타들어가는 동안 꼼짝도 하지 않고 흥얼거리십니다.
“할머니 이 건 왜 해?”
“응 이건 할미가 소화가 잘 안돼서… 위가 나쁘거든 참외 씨가 위 벽에 붙어 있어서 그 걸 떼려구.” “응 그렇구나!”
할머니께서는 사방을 두리번 거리시면서 말씀을 하셨습니다. “여기가 참 좋다. 바람도 시원하구나. 공기도 맑고 참 좋다.”
그런 말씀을 연거푸 하십니다. 그러시면서 할머니께서는 “나무가 참 좋다. 나무가 참 좋아. 저 푸른 잎이 없다면 세상이 얼마나 삭막할까?”
나도 나무가 좋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할머니 나무가 나보다 더 좋아요?”
“너보다 나무가 더 좋으냐고? 아니다. 너도 좋고 나무도 좋으나 비교도 안 되리만치 네가 더 좋아.”
“나도 전에는 저 나무들처럼 싱싱했는데…” 하고 말씀을 하십니다.
아마도 할머니께서는 젊은 시절이 생각나시는 모양입니다. 할머니께서는 할아버지가 안 계시고 혼자 사십니다. 아직 시집을 가지 않은 막내 고모와 함께 살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할머니 집에는 강아지가 일곱 마리나 되고 새로 분양받은 희귀한 품종의 고양이 새끼가 두 마리입니다. 그 동물들을 기르면서 할머니는 쓸쓸하게 살아가십니다.
나는 가끔 할머니가 쓸쓸해 보여서 어느 날은 그림을 하나 그려서 할머니 화장대 위에다 올려놓고 옵니다. 할머니가 그 그림을 보고 쓸쓸하지 않았으면 하고 그려 놓았습니다. 그런 내 마음을 아무한테도 말하지 않았습니다.
아빠 말로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셨다고 하고 엄마는 먼 데 가 계시다고 하는데 할머니는 대답을 안 하시고 그냥 웃기만 하십니다. 그러나 나는 압니다. 할아버지의 얘기를 하는 것을 식구들이 모두 싫어하는 것 같아서 묻지 말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내가 올해 아홉 살인데 내가 태어나기 전이었다고 합니다. 어른이 되면 알게 될 테니 기다리기로 했습니다. 우리 아빠를 결혼시키고 고모와 둘이 사는 할머니는 성격이 꼬장꼬장하십니다. 우리 집과 합치는 것도 싫다 하시고 따로 사시는 할머니는 서울 사대문 안의 토박이로 남부럽지 않게 살아 온 분입니다. 성격이 매우 까다롭기는 하지만 경우가 반듯한 분이라고 엄마가 얘기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습니다.
얼마 전 일입니다. 우리 할머니가 쑥뜸을 하고 있는데 씩씩하게 생긴 할아버지 한 분이 올라 오셨습니다. 할머니께서 쑥뜸을 하고 있는 것을 보셨습니다.
“어 쑥뜸을 하고 계시는군요, 옛날에는 그 쑥에다 부싯돌로 불을 붙였습니다. 허허” 하시면서 웃으셨습니다. 그랬더니 우리 할머니께서 “네 그래요”하고 호호 웃으시면서 대답을 하셨습니다. 나는 요즈음 우리 할머니께서 그렇게 환한 얼굴의 표정을 짓는 것을 처음으로 보았습니다. 조금은 수줍음을 타는 할머니의 모습을 처음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할아버지는 또 이야기를 계속하셨습니다.
“옛날에는 불이 없을 때 이 쑥을 불씨로 사용했지요. 이 쑥을 바싹 말려서 보드럽게 새끼처럼 꽈서 불을 붙여서 하루 종일 들판에다 놔두었지요, 그러다가 저녁때가 되어 밥을 짓거나 어둠을 밝히려고 불을 사용하게 될 때는 다시 쑥으로 만들어 놓은 불씨에다 불을 붙여 사용했지요.”
“고향이 어디신지요?”
“네 시골이었지요. 충청도 산골이요.”
“그러니까 그렇지요, 성냥도 귀했으니까 라이터도 없었구요.”
아마도 그 할아버지께서는 시골에서 태어나서 자라오면서 보신 것을 말씀하시는 것 같았습니다. 그런데 불씨로 사용했다는 말과 부싯돌이란 말을 나는 잘 알아들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내가 여쭈어 보았습니다.
“할머니 부싯돌은 뭐에요, 불씨는 뭐구요?”
“응. 부싯돌이란 불씨를 내려는 돌멩이인데 차돌을 말한단다. 차돌멩이끼리 서로 부딪치면 불씨가 튀거든. 그 불씨를 말한단다.”
“왜 그런 걸로 해요, 라이터로 키지요.”
“라이터가 없었고 성냥도 귀하던 시절이었거든… 그러니까 그 할아버지의 말씀은 옛날에는 성냥이 귀하니까 불을 붙이기 위해서 쑥을 사용했다는 말이지.”
“응. 그랬구나”
다음날도 우리들은 쑥뜸을 하려고 팔각정이 있는 공원으로 올라갔습니다. 할머니께서는 어제처럼 다시 쑥뜸을 하기 시작을 했습니다.
손바닥에는 다시 쑥뜸을 할 수 있는데 배꼽에다는 혼자서 쉽게 할 수 없다고 말씀을 하셨습니다. 할아버지와 이혼을 하셔서 할머니 혼자서는 할 수 없다는 말씀을 하셨습니다. 그 말을 하고 나시자마자 부싯돌 할아버지께서 오셨습니다.
“또 쑥뜸을 하시는군요.” “네.”
나는 이때다 싶었습니다. 방금 할머니가 들려주신 말씀을 했습니다.
“할아버지, 부탁이 있는데요.” “무슨 부탁?”
“우리 할머니가요. 배꼽에다 쑥뜸을 해야 하는데 우리 할아버지가 안계셔서요, 혼자서는 못하신다고 하니까 우리 할머니 배꼽에다 쑥뜸을 좀 해 주세요.”
내가 그 말을 하자 그 말이 끝나기도 전에 부싯돌 할아버지는 좋다는 듯이 껄껄거리며 소리 내어 웃으셨고 우리 할머니는 얼굴이 홍당무처럼 발갛게 되어서 어쩔 줄을 몰라 했습니다.
“그래. 그렇게 할 수 있지.”
“아니에요, 얘가 별소리를 다하는구나. 아니다, 내 참.”
할머니는 허둥지둥 쑥짐기를 챙기어 가방에다 넣고 나서 공원을 내려왔습니다. 할머니는 얼른 집으로 돌아왔습니다. 그 후에 우리 할머니께서는 한동안 공원에 나가시지 않고 집안에만 계셨습니다. 그러면서 나에게 일렀습니다.
“얘, 내가 너에게 한 말을 아무 사람들한테 그렇게 불쑥불쑥해서는 못쓴다. 그런 소리는 내가 너한테만 할 수 있는 소리란다 알겠니?”
나는 할머니가 하신 말씀의 뜻을 몰라서 할머니에게 물었습니다.
“무슨 말씀이세요?”
“응 네가 아직도 무슨 말인지 모르는구나. 배꼽에다 뜸을 뜨면 몸에 좋다는 말 말이다.”
“네, 부싯돌 할아버지에게 한 말 말예요?”
“그래.”
“할머니 우리 내일 또 공원에 가요, 현충일이라서 학교에 가지 않아도 되거든요.”
이튿날 나는 할머니와 함께 공원에 놀러 갔습니다. 팔각정에 올라가서 할머니의 양손에다 쑥뜸을 해 드렸습니다. 할머니께서는 주위를 자주 두리번거리시며 가고 오는 사람들을 모두 쳐다보았습니다. 그러면서 혼자서 말씀을 하셨습니다.
”오늘은 안 오시나?” “누구요?”
“응, 아니다.”
나는 할머니의 표정을 보았습니다. 내 눈치로 보아서 아마도 할머니께서는 그 부싯돌 할아버지를 기다리고 계시는 게 틀림이 없는 것 같았습니다.
“할머니 그 부싯돌 할아버지 기다리시지요?”
“예끼! 아니다. 부싯돌 할아버지는… 흉측 맞게.”
그러면서 할머니는 알지 못할 웃음을 입가에 떠올리셨습니다. 잠시 후에 쑥 냄새가 좋다며 공원 저쪽에서 부싯돌 할아버지가 올라 오셨습니다.
“쑥 냄새가 좋아서 멀리서도 알 수 있는데요.”
“바람에 실려서 쑥 냄새가 멀리까지 가지요, 그래 잘 계셨우? 그런데 어디 편찮으셨나요? 한동안 안 보이시던데요? 걱정했어요.”
“왜요?”
“나는 병원에서 사람들 시체만 만져서 안 보이면 죽은 줄 알거든요.”
부싯돌도 아저씨는 갑자기 눈자위가 허옇게 되어 가지고 말을 했습니다.
“무슨 일을 하시는데요?”
“염사예요.”
“염사가 뭐예요, 요즘도 염색을 하나요?”
“아니요, 사람이 죽으면 내가 잘 모셔 드리지요. 죽은 사람을 묶는 일 말예요.”
할머니는 부싯돌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듣고 나서 힐끗 얼굴을 한 번 쳐다보시더니 갑자기 다시 물건들을 주섬주섬 싸기 시작했습니다.
“가자! 집으로….”
“할머니! 쑥뜸하러 온 시간이 한 시간도 안 되었는데요.”
“아니다. 가자 어서!”
할머니는 나의 손을 잡고 재빠르게 계단을 내려오셨습니다. 부싯돌 할아버지는 팔각정에 서서 할머니의 뒷모습만을 물끄러미 쳐다보고만 계셨습니다. 며칠 후였습니다. 우리는 부싯돌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입에 담지도 않았습니다. 어쩌다가 내가 부싯돌 할아버지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려면 할머니께서는 “그 이야기는 입에 담지도 말아라”고 하셨습니다.
나는 갑자기 변한 할머니의 알 수 없는 태도에 의문이 가기 시작했습니다. 공원에 가서 할머니가 사방을 두리번거리시면 부싯돌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다시 꺼내려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공원에 가 있는 동안 갑자기 소나기가 쏟아지기 시작을 했습니다. 공원에 바람을 쐬러 올라왔던 사람들은 모두 비를 피하려고 집으로 돌아갔습니다. 그러나 할머니께서는 내려갈 생각은 하지 않고 쑥뜸만 뜨고 계셨습니다. 손바닥 위에 올려놓은 쑥뜸기 안에서 쑥이 연기를 내면서 파란 색깔의 불꽃을 피워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도 할머니는 뜨겁다는 소리도 하지 않고 비를 흠뻑 맞고 서 있는 나무들만 쳐다보고 있었습니다.
“할머니! 부싯돌할아버지 기다려요?”
“아니다. 이놈!”
할머니는 오늘은 비가 오는 까닭인지 웬일인지 몹시 마음이 불편하신 것같이 보였습니다. 갑자기 소나기가 퍼붓기 시작을 했습니다.
“가자! 비가 더 오기 전에.”
할머니는 다시 쑥뜸기를 가방에다 넣었습니다.
“우산이 없잖아? 할머니.”
“괜찮다. 이걸 뒤집어쓰면 돼.”
할머니는 호랑이가 그려진 보자기를 뒤집어쓰고 나를 품안에 안으셨습니다. 그리고는 층계를 내려왔습니다. 비가 더욱 세차게 쏟아지자 우리들은 비를 피하기 위해서 공원 옆에 있는 병원으로 들어갔습니다. 마침 영안실 문이 열려있어서 그 안으로 들어갔습니다.
출입구 안쪽으로 몇 발작 더 들어 갔습니다. 그런데 그 안에 부싯돌 할아버지가 흰 가운을 입고 서 계셨습니다. 마침 일을 마치고 나온 것 같았습니다. 손에는 흰 장갑을 끼고 있고 얼굴에는 아직 땀방울이 맺혀 있었습니다. 부싯돌 할아버지가 할머니 앞으로 다가서더니 인사를 했습니다.
“쑥 할머니 여전하시군요, 오늘도 공원에 가셨어요? 내가 오늘은 일이 있어서 못 나갔습니다.”
할머니는 웬일인지 대꾸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면서 가늘게 입 밖으로 소리를 내었습니다.
“그 주제에 꼴값 떠네….”
할머니가 입속으로 하시는 말씀을 분명히 들었을 터인데도 부싯돌 할아버지는 얼굴에 웃음을 띠우며 말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의사가 아니라서. 그러나 마찬가지지요. 의사들은 환자들을 돌보고 저는 죽은 사람들을 돕는 거지요, 뭐 허허.”
부싯돌 할아버지의 입에서는 술 냄새가 확 풍겨 나왔습니다. 얼굴 한 가운데 붙어 있는 딸기처럼 빨갛게 된 주먹코가 더욱 빨갛게 되어져 있었습니다. 소낙비는 잠시도 멈추지 않고 주룩주룩 내렸습니다. <끝>
김학준 작가
월간 《창조문예》 동화 부문 등단, 《문학21》 소설 부문 등단, 장로회 신학대학원, 미국 훼이스 신학대학원 종교교육학 박사 과정, 계간 농민문학 편집국장, 한국문협·펜·소설가협회·한국 크리스천문학가협회 등 회원, 동화집 『행복파이』 외 작품집 다수.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