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
출처 : | http://blog.daum.net/yhwhroi/16886153 |
---|
성경이 불경을 베꼈는가?
임헌준(예은교회 목사, Ph.D)
1. 시작하는 말
기독교는 하나님 나라의 실현과 영원한 생명을 추구하며, 그 도상에서 현실 세계의 평화를 추구한다. 인간과 하나님 사이의 평화를 추구하고, 인간과 인간 사이의 평화를 추구한다. 또한 인간과 자연 사이의 평화를 추구한다. 이것은 인간이 죄로 말미암아 잃어버린 에덴 동산을 찾아가는 염원의 길이다.
기독교와 마찬가지로 불교 역시 세계의 평화를 추구한다. 불경 역시 성경처럼 인간에게 선을 권장하고 악을 멀리하도록 가르친다. 그러므로 성경의 가르침과 일치되거나 비슷한 내용들이 불경 가운데 적지 않게 나타난다. 특히 성경과 불경에서 인간 상호간에 평화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으로 제시되는 덕목들 가운데 일치하거나 비슷한 것들이 많이 있다. 한 예로 성경의 십계명과 불경의 오계를 보면, 오계의 다섯 가지 덕목들 가운데 다음과 같은 네 가지가 십계명의 덕목들과 일치하거나 비슷하다.
(1) 생명 있는 것을 죽이지 말라 (不殺生).
(2) 도적질하지 말라 (不偸盜).
(3) 그릇된 음행을 하지 말라 (不邪淫).
(4) 거짓말하지 말라 (不妄語).
이처럼 성경과 불경에 유사한 내용들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 문제는 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전문적인 연구노력을 필요로 한다. 그런 노력이 없이, 성경의 십계명이 불경의 오계보다 훨씬 이전에 제정된 것이므로 오계가 십계명의 일부를 베낀 것이라고 쉽게 판단하는 것과 같은, 어느 한 쪽이 다른 쪽의 것의 베꼈을 것이라고 섣부르게 단정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다.
2. 성경과 불경에 유사한 내용들이 나타나는 이유
성경과 불경에 서로 유사한 내용들이 나타나는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다. 인간의 본래적 심성이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많은 부분 유사하다 보니 어떤 경우에는 같은 주제에 대해 유사한 실천 방안이 양쪽에 모두 제시되었을 수도 있다. 또, 어떤 경우에는 같은 뿌리를 지닌 하나의 이야기가 성경과 불경에 함께 반영되었을 수도 있다. 학자들은 티벳 지역에 퍼져있던 많은 이야기들 가운데 일부가 성경과 불경에 반영되었을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그런가하면 성경과 불경의 유사한 내용 가운데 어떤 것은 다른 한쪽에서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도학을 전공한 일본학자 이와모토 유타카(岩本裕)는 아미타불의 타력본원(他力本願) 사상은 분명히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것이고, 정토신앙은 기독교의 영향을 받은 타력본원 사상과 인도에 옛날부터 있었던 낙토사상(樂土思想)이 혼합된 것이라고 주장한다.”[이와모토 유타카(岩本裕), 『불교, 그 세계』권기종 역 (서울: 동화문화사, 1980), pp. 182-183.]
3. 성경이 불경을 베꼈는가?
불교 쪽에서 펴낸 서적들 가운데, 성경과 불경의 유사한 내용들을 놓고 성경이 불경을 베낀 것이라고 잘못된 판단을 내리거나, 독자들로 하여금 그렇게 인식하도록 유도하는 책들을 종종 볼 수 있다. 이는 성경과 불경의 편찬 역사에 대해 무지한 탓이든지, 아니면 알면서도 사실을 왜곡하는 불량한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 예로 “예수님께서 공생애 전에 인도 지역에서 법화경이라는 불교 경전을 공부하셨으며, 그 결과 복음서에 기록된 예수님의 가르침 가운데 법화경에 있는 내용들이 나타난다”[종교문제연구소 편 『법화경과 예수』 pp. 20-21.]고 잘못된 주장을 하는 사람은 불교학자들이 대체로 A.D. 2세기 후반부로 보고 있는 법화경의 편찬 연대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지 못한 무지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윤청광의 『불경과 성경』(서울: 동국출판사, 1987)도 성경의 많은 부분이 불경의 것을 베낀 것이라고 잘못된 인식을 유도하는 책 가운데 하나이다. 방송작가인 윤청광은 ‘성경과 불경, 어느 쪽이 베꼈는가?’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이 책에서 성경의 복음서와 불경들 가운데 나타난 유사한 내용들 40여 가지를 성경과 불경의 구절들을 인용하며 정리하고 있다.
『불경과 성경』에서 복음서 구절들과 비슷한 내용을 지닌 것으로 제시되고 있는 불경들 가운데는 아함경이나 법구경처럼 복음서보다 앞서 편찬된 것도 있지만, 상당수는 복음서보다 후대에 편찬된 것들이다.
윤청광이 여러 차례 인용하고 있는 불경들 가운데 법화경은 A.D. 2세기 후반부에 편찬된 것이고, 불소행찬은 A.D. 1-2세기 경에 인도의 마명이 지은 시문집이다. 백유경은 A.D. 5세기에 인도의 상갸세나가 98개의 이야기들을 모아서 편찬한 비유집이다. 그런가 하면 원각경은 불교계에서 오래 전부터 중국에서 편찬된 위경일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정승석, 『불전해설사전』(서울: 민족사, 1991), p. 81.]
한편, 『불경과 성경』에서 인용된 불경 구절의 출처로 제시되고 것들 가운데 ‘불전’, ‘방등경’, ‘율장’ 등은 불교 경전의 이름이 아니다. ‘불전’은 ‘불교의 경전’이란 말을 줄인 것이고, ‘방등경’은 대승불교의 경전들을 총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율장’은 불교의 계율들을 모아 놓은 전적들을 총칭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윤청광의 책에서 제시되고 있는 복음서와 불경에 나타난 유사한 내용들 가운데에는 시기적으로 복음서의 것이 앞선 것도 있고, 늦은 것도 있다. 그러나 윤청광은 유감스럽게도 불경에 있는 것들이 모두 다 복음서보다 앞서 편찬된 것들이며, 성경이 불경을 베낀 것으로 독자들을 그릇되게 유도하고 있다. 윤청광은 이 책 “44. 불경과 성경, 언제 편찬되었나”에서 ‘불경의 편찬’에 관해 고타마 싯다르타 사후, B.C. 5세기에 이루어진 제 1결집에 대한 내용만 다루고 있다.(윤청광, pp. 291-96.) 이 때 편찬된 불경이 한국 불교계에서 오랜 세월 동안 소승경전이라고 경시되어 왔던 아함경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윤청광은 복음서보다 늦게 이루어진 대승 경전들의 편찬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
윤청광은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 “서양 신학자들의 견해에 따른다고 하더라도 기독교의 복음서들은 예수가 십자가 처형을 당한 이후인 A.D. 70년에서 110년경에 쓰여지고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므로 불경이 최초로 편찬된 B.C. 480년에 비하면 무려 500년 이상이라는 길고긴 세월의 격차가 있다.”(p. 303.)
이렇게 함으로써 윤청광은 독자들로 하여금 제 1결집 때 모든 불교 경전들이 편찬되었으며, 복음서가 불경을 베낀 것으로 잘못 판단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4. 맺는 말
필자는 윤청광의 오류에 대해, 그가 나쁜 뜻을 가지고 고의로 왜곡시켰다기보다는 종교학자가 아닌 방송작가로서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해서 그랬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싶다.
이 글의 서두에서 말한 것처럼 성경과 불경의 내용들 가운데는 유사한 부분이 적지 않다. 이를 놓고 어느 한쪽이 다른 한쪽의 것을 베꼈다고 생각하기보다는 편견을 갖지 말고 이 부분들을 함께 살펴보는 자세가 필요하다. 그리하면 자신의 신앙에 폭과 깊이를 더하게 될 것이다. 물론 이 말이 그리스도인들에게 타종교의 가르침을 전적으로 수용하고 인정하라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에 대한 신앙의 정체성을 확고히 견지하는 가운데 신앙 체험의 장을 넓히자는 것이다.
*이 글의 출전
임헌준, 『아는만큼 보인다』(서울: 쿰란출판사, 2005), pp. 27-32.
|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