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설과 고향

김필곤 목사............... 조회 수 1682 추천 수 0 2013.02.23 23:32:03
.........

089.jpg

설과 고향

 

민속 명절인 설이 되었습니다. 설이라는 말은 새해 첫날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 말은 '슬프다' 혹은 '삼가다'란 뜻을 가진 '섧다'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즉 새해 첫날 한 해의 농사를 위해 조심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입니다. 그런데 1년 내내 손꼽아 기다려온 명절을 서러운 날로 본 것은 현실과 동떨어진 이야기라고 해서 "설"이란 해가 바뀌어 모든 것이 낯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주장하는 분도 있습니다. 물이 '설다' 손이 '설다' 등과 같이 한 해를 새로 시작해 익숙하지 않다는 뜻이랍니다.
그 말의 기원이야 어떻게 되었든 설이 되면 사람들은 떡국이나 만두를 먹고 어른들을 찾아다니며 세배를 하였습니다. 으레 홀로 다니지 않고 또래들이 어울려 다녔습니다. 아이들이 세배를 하고 나면 어른들은 한 해의 소원을 물으며 세뱃돈과 함께 덕담을 하였습니다. 동네 어른들을 찾아다니다 보면 한 낮이 되어서야 세배는 끝이 나고 이집 저집에서 먹은 음식으로 배는 남산처럼 되었습니다. 세배가 끝이 나면 마을 어른들은 이곳저곳에 모여 윷놀이를 하였고 아이들은 연날리기를 하며 놀았습니다. 기와집도 있고 초가집도 있고, 연을 날리는 양지바른 곳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대부분 고향은 옛사람도 없고 옛 산천도 없습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설이 되면 고향을 찾습니다.
고향에 대한 애착은 아마 이탈리아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제일일 것입니다. 이탈리아 사람들은 해외에서 만나 어디에서 왔느냐고 물으면 대개가 이탈리아인이라고 말하기 앞서 로마 사람, 밀라노 사람, 또는 시칠리아 사람이라고 대답한다고 합니다. 이탈리아인들이 민족 감정을 느끼는 경우는 오직 국가 대항 축구 시합이 있을 때뿐일 정도로 고향에 대한 집착이 강하고, 대부분 기업인들이 투자를 할 때도 고향이 아닌 곳에는 하지 않을 정도로 민족애보다는 애향심이 강하다고 합니다.
우리 민족도 이탈리아 사람 못지않게 고향에 대한 집착이 강합니다. 삶의 구석구석, 고향이 영향을 주지 않은 곳이 없을 정도로 고향은 우리 민족의 삶의 뿌리가 이미 되어 버렸습니다. 이런 우리 민족이 고향을 떠나 타향살이를 하는 사람이 국민 10명 중 7명이라 하니 명절이 되면 온 나라의 도로가 차량행렬로 가득 찰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평소에 5시간이면 가는 거리를 23시간에 걸쳐 가기도 합니다.

오래 걸릴 것이 예측되어도 설날이 되면 또 고향길에 오릅니다. 막상 가보면 지금 사는 곳보다 더 불편하고 한 달만 살라고 하면 못살 것 같지만 그래도 해마다 명절이 되면 고향을 향하여 집을 떠납니다. 고향은 삶의 편리나 이익보다는 향수로, 추억으로, 삶의 근거로 가치가 있기 때문입니다. 한나라 고조 유방의 아버지 이야기가 있습니다. 자신을 닮아 건달인 아들 유방이 마을에서 말썽만 피우더니 어느 날 졸개 건달들을 데리고 가출을 했습니다. 한동안 소식이 뚝 끊어졌는데 어느 날 그 아들이 황제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갑자기 사람들은 모두 자신을 태상황이라고 불렀습니다.
기분이 썩 나쁘진 않았지만 갑자기 좋지 않은 일이 생겼습니다. 태상황이 되었으니 고향을 등지고 타향에 가 구중궁궐 속에 갇히고 만 것입니다. 사람 사는 꼴이 말이 아니었습니다. 유방의 아버지는 고향이 그리웠습니다. 궁궐이 아무리 잘 먹고 호화로운 생활일지라도 즐거움이 없었습니다. 유방의 아버지는 늘 탄식하며 살았습니다. 유방은 어느 날 신하를 불러 ‘요즘 아버님의 표정이 어두우신 데 그 까닭을 알아오라’고 명령했습니다. 신하가 돌아와 "태상황께서 고향 풍현이 그립다며 그곳에 되돌아가시고자 합니다."라고 보고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미앙궁 한 곳에 고향 거리를 만들고 고향 사람들을 죄다 불러 올려 아버지와 함께 옛 그대로 어울려 놀게 했습니다. 그제야 태상황은 옛 즐거움을 되찾았다고 합니다.

아무리 자기가 사는 곳이 좋다고 해도 사람들은 고향의 향수를 잊을 수가 없습니다. 나이들면 들수록 자신이 태어나 자란 고향은 어머니의 품처럼 그리움의 대상이 됩니다. 몸이 늙는다고 마음도 늙는 것은 아닙니다. 마음은 언제든 고향 하늘과 땅을 산책할 수 있습니다. 고향은 지친 영혼에게 주린 낭만을 채워주는 그리움의 세계입니다. 그러나 힘들게 찾아간 고향도 정신적인 망명자인 현대인에게 있어서 기억으로 존재되는 고향일 뿐 참된 안식처는 되지 못합니다. 그리움의 대상이지만 막상 가보면 정든 사람은 없고, 산천은 변해 고향은 추억의 고향일 뿐입니다. 일평생 실향민으로 살았던 라이너 마리아 릴케처럼 이 세상 어디에도 뿌리 내리고 살 곳이 없는 근원 상실감에서 벗어날 수 없습니다. 인생은 언젠가 돌아가야 할 영원한 영혼의 본향이 있습니다. 잠깐 타향살이같은 세상, 다 놓고 가야할 본향이 있습니다. 언젠가 이 땅의 삶을 접고 새로운 세상에 들어가는 인생의 설이 다가올 것입니다. 그 때 가야할 본향이 있는 사람은 행복합니다. 주님 만나는 곳, 죽음도 슬픔도 질병도 없는 천국, 영원한 본향, 새 하늘과 새 땅에서 믿음의 형제를 만나 기쁨을 함께 나누는 그 날이 올 것입니다. "그들이 이제는 더 나은 본향을 사모하니 곧 하늘에 있는 것이라 이러므로 하나님이 그들의 하나님이라 일컬음 받으심을 부끄러워하지 아니하시고 그들을 위하여 한 성을 예비하셨느니라(히11:16)"●

섬기는 언어/열린교회/김필곤 목사/2010.2.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845 화를 복으로 바꾸는 비결 [1] 김석년 목사(서초교회) 2013-03-01 2566
25844 화를 풀면 인생이 풀린다 조선일보 2013-03-01 1757
25843 4마리의 소를 분열시킨 사자 예수감사 2013-02-26 6599
25842 4일간의 여유 정삼지 목사 2013-02-26 4038
25841 5,000원의 취직 김대응 집사 2013-02-26 3629
25840 50%의 책임만 지세요 예수감사 2013-02-26 5129
25839 500교회 개척운동의 동기 강문호 목사(갈보리선교교회) 2013-02-26 3554
25838 40년간의 열등감 대천덕 신부 2013-02-26 2118
25837 40대 불혹의 신앙 황한호 목사(삼선 그리스도의교회) 2013-02-26 2402
25836 48시간 늦으신 예수 이정선 목사(목포 양동교회) 2013-02-26 2381
25835 입춘서설 file 김민수 목사 2013-02-25 2824
25834 내가 살던 동네 file 김민수 목사 2013-02-25 2806
25833 인생부동산 file 김민수 목사 2013-02-25 2967
25832 생명 file 김민수 목사 2013-02-25 2647
25831 운명 file 김민수 목사 2013-02-25 2449
25830 복수초 file 김민수 목사 2013-02-25 2346
25829 분홍노루귀 file 김민수 목사 2013-02-25 2656
25828 하늘타리 file 김민수 목사 2013-02-25 2648
25827 길고양이 file 김민수 목사 2013-02-25 2775
25826 벽화 file [1] 김민수 목사 2013-02-25 2707
25825 즐거움 판매 시대 김필곤 목사 2013-02-23 2005
25824 부활, 역사적 사실인가? 김필곤 목사 2013-02-23 2677
25823 기적 김필곤 목사 2013-02-23 1996
25822 첫인상의 힘 김필곤 목사 2013-02-23 2369
25821 반복의 힘 김필곤 목사 2013-02-23 2542
25820 희생의 힘 김필곤 목사 2013-02-23 3189
25819 깨달음의 힘 김필곤 목사 2013-02-23 2798
25818 힘의 선용 김필곤 목사 2013-02-23 1644
» 설과 고향 김필곤 목사 2013-02-23 1682
25816 최소치 높이기 김필곤 목사 2013-02-23 1459
25815 최고의 선택 빛의 사자 2013-02-22 4153
25814 도움을 받는 비결 김장환 목사 2013-02-21 2314
25813 무속 알림이에서 예수 알림이로 김장환 목사 2013-02-21 1820
25812 절대로 후회하지 않는 일 김장환 목사 2013-02-21 3804
25811 마음가짐의 중요성 김장환 목사 2013-02-21 2469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