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매주 주보에 넣기 좋은 기독교적인 글만 엄선하여 모았습니다.

예수님도 비유로

예화모음

  세상에서 가장 귀한 세가지 금은 황금, 소금, 지금 이라고 한다. 나도 좋아하는 세가지 금이 있다. 현금, 지금, 입금 이다 ㅋㅋㅋ(햇볕같은이야기 사역 후원 클릭!)

기준과 수준

김필곤 목사............... 조회 수 1850 추천 수 0 2013.05.28 07:02:33
.........

089.jpg

기준과 수준

 

안개가 짙게 깔린 1707년 10월의 어느 어두운 밤, 대영제국은 함대의 거의 전부를 잃었습니다. 해상에서 격렬한 전투가 있었던 것도 아닙니다. 클로디즐리 쇼벨 제독이 대서양에서 함대 위치를 잘못 계산하는 바람에, 영국 남서해안을 향해 뻗은 실리 군도(Scilly Isles) 끄트머리에 숨어있던 암초와 기함이 정면충돌한 것입니다. 뒤따르던 함선들도 차례차례 암초더미에 부딪혀 침몰했습니다. 그 결과 4대의 전함과 2,000명의 군인들이 수장되었습니다. 바다에 관한 한 타의 추종을 불허하던 대영제국으로서는 참으로 어처구니없는 비극이었습니다.

그러나 쇼벨 제독의 회고록을 살펴보면, 사건의 원인은 그렇게 놀랄 만한 것이 아닙니다. 위도와 경도의 개념은 기원전 1세기경부터 전해져왔으나, 1700년대까지만 해도 경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없었습니다. 재앙은 제독이 무능해서가 아니라, 경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면서도 이를 정확히 측정할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마커스 버킹엄과 커트 코프만의 공저인 [유능한 관리자]에서 나오는 이야기입니다.

기준은 중요합니다. 자기가 있는 곳의 위치를 말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정해져야 합니다. 기준이 없으면 위치를 말할 수 없습니다. 어떤 것을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위치가 달라집니다. 앞에 있는 선생님을 기준으로 할 때는 앞에서 몇 번째 줄이 되지만 옆에 있는 창문을 기준으로 하면 창문에서 몇 번째 줄이 됩니다. 물체의 위치는 기준으로부터의 거리로 나타냅니다. 따라서 기준이 달라지면 같은 물체의 위치일지라도 나타내는 표현이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미터법이라는 기준이 있기 때문에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미터법 도량형을 고안한 나라는 프랑스입니다. 프랑스혁명 직후인 1791년 탈레랑의 건의로 프랑스 과학아카데미는 영원히 변치 않을 도량형을 만들기로 했습니다. 당시의 단위체계는 1피트의 길이만 8백가지가 넘을 정도로 엉망이었답니다. 이들은 파리를 통과하는 자오선의 절반, 즉 북극에서 적도까지 거리의 1천만분의 1을 1m로 정했습니다. 이 미터법을 널리 보급한 사람은 나폴레옹이었습니다. 1875년 미터조약이 체결됐고 1889년 백금과 이리듐 합금으로 미터 원기(原器)를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과학이 발달하면서 1m의 정의도 변했습니다. 지금은 '빛이 진공 속을 2억 9천 9백 79만 2천 4백 58분의 1초 동안 이동한 거리'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기준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런 물리적 기준을 이의 없이 수용합니다. 그러나 세상에는 모두가 약속 체계로 인정해야 할 물리적 기준만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마다 다른 정신적 기준들이 있습니다. 행복의 기준, 아름다움의 기준, 좋음의 기준 등 저마다 다른 기준으로 행복과 불행, 미와 추, 선과 악 등을 판단합니다. 그 중에는 자신의 기준을 마치 물리적 기준처럼 절대화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프로크루스테스식 사고를 하는 것입니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프로크루스테스(Procrustes)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의 아들로 태어나 아테네 근처의 케피소스 강가에 살면서 지나가는 나그네를 집에 초대하여 침대에 눕히고는 침대 길이보다 짧으면 다리를 잡아 늘이고, 길면 잘라 버려 죽였다고 합니다. 자기가 세운 일방적인 기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아집과 편견으로 인생을 불행하게 사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자신의 기준만 바꾸면 부자도 될 수 있고 아름다움도 소유할 수 있는데 자신이 설정한 기준으로 스스로 불행하게 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어떤 기준을 정해놓고 사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수준과 삶의 질이 달라집니다. 자신의 기준을 절대시하지 말고 좀더 다른 기준을 적용해 보면 어떨까요? 땅에서 하늘로 기준을 높여보면 어떨까요?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봅니다. 같은 사람일지라도 몽골족들은 보통 사람의 시력이 '2.9'이고, 시력이 아주 좋은 사람이 '7.0'이라고 합니다. 이들의 시력이 그토록 좋은 이유는 넓은 초원에서 멀리 바라보는 생활을 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삶의 기준을 높이면 삶의 수준도 높아집니다. 땅의 기준을 하늘의 기준으로 옮기면 세상이 달리 보입니다. 이생만 보는 것이 아니라 내세를 보면 삶의 질이 달라집니다. 미국의 미주리 주 세인트루이스의 연방준비은행 연구원들이 여러 나라의 국민 소득에 종교 문제가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결과 지옥의 존재에 대한 믿음이 높은 나라가 덜 부패하다는 경향성이 나타나고, 부패 지수가 낮은 나라일수록 1인당 국민소득이 높았다고 합니다. 성경은 말씀합니다. "히9:27 한번 죽는 것은 사람에게 정하신 것이요 그 후에는 심판이 있으리니" 인생은 이 세상으로 끝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또 다른 생이 있다는 것입니다. 자기 절대화에서 벗어나 하나님 나라의 기준으로 살아가면 인생은 수준이 달라집니다. 기준을 이 세상에서 하늘나라로 높이면 인생의 수준은 이 땅에 살지만 이 땅에서 멈추지 않고 하나님 나라의 수준으로 비상합니다.

열린교회/섬기는 언어/김필곤 목사/2011.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389 돈과 행복 김필곤 목사 2013-05-28 2696
26388 비교의식과 절대의식 김필곤 목사 2013-05-28 2196
26387 지속의 힘 김필곤 목사 2013-05-28 2547
26386 외모의 힘 김필곤 목사 2013-05-28 2381
26385 도박 중독 심리 김필곤 목사 2013-05-28 2393
26384 과대 망상증 김필곤 목사 2013-05-28 3930
26383 70대 종심의 신앙 황한호 목사(삼선 그리스도의교회) 2013-05-26 2001
26382 70세의 노인이 되어서 운영자 2013-05-26 2618
26381 70여교회 씨앗뿌린 ‘미련한 목사’ 황세원 국민일보기자 2013-05-26 1823
26380 7가지 갈구 임성빈 목사(장신대 교수) 2013-05-26 1366
26379 7년 대 환란이란 무엇인가 신성종목사 2013-05-26 2916
26378 믿음을 갖고 바라보면 치료하시는 하나님 하늘나라천사 2013-05-25 3240
26377 알맹이만 남은 성경 고훈 목사(안산제일교회) 2013-05-25 2026
26376 거부가 일하는 이유 고수철 목사 2013-05-25 2783
26375 이순의 신앙 황한호 목사(삼선 그리스도의교회) 2013-05-25 2489
26374 60세가 되기전에 해야 할 것들 예수감사 2013-05-25 2256
26373 여아 자위행위 행동 ‘당혹’ 정석환<연세대교수> 2013-05-25 6149
26372 남편을 전도하는 30일 작전 공수길 목사 2013-05-24 1614
26371 좋은 부모로 기억되기 위한 20가지 지혜 공수길 목사 2013-05-24 1339
26370 천사의 산책 공수길 목사 2013-05-24 1587
26369 에이브라함 링컨 공수길 목사 2013-05-24 1855
26368 자네의 교육비로 무려 천만 불을 투자했단 말일세 공수길 목사 2013-05-24 1113
26367 도둑에게서도 배울 점은 있습니다. 공수길 목사 2013-05-24 1462
26366 성령이여, 홀연히 임하소서 공수길 목사 2013-05-24 2159
26365 고슴도치의 고민을 아십니까? 공수길 목사 2013-05-24 1838
26364 함께 가자 우리 이 길을 공수길 목사 2013-05-24 1802
26363 누가, 왜 1 파딩을 내었을까? 공수길 목사 2013-05-24 1285
26362 감사나라의 한 젊은이가 불평나라로 유학을 가게 되었습니다 공수길 목사 2013-05-24 2690
26361 헬렌 켈러는 세상에 태어난지 9개월 만에 공수길 목사 2013-05-24 1600
26360 누더기 패션 공수길 목사 2013-05-24 1668
26359 독일의 훌륭한 정치가 마티 바덴(Marty Baden) 공수길 목사 2013-05-24 2639
26358 장수하는 비결을 공수길 목사 2013-05-24 1280
26357 그는 초등학교를 9개월 밖에 다니지 못했습니다 공수길 목사 2013-05-24 1637
26356 집단지성으로 서로 성장하기 file 홍의숙 박사(인코칭 대표) 2013-05-22 1707
26355 진정한 교육 file 설동욱 목사(서울 예정교회) 2013-05-22 1543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