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
얼레빗2682. 정초의 방명록 세함을 아십니까?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각사의 서리배와 각영의 장교와 군졸들은 종이에 이름을 적어 관원과 선생의 집에 들인다. 문 안에는 옻칠한 소반을 놓고 이를 받아두는데, 이를 세함(歲銜)이라 하며, 지방의 아문에서도 이러하였다. ; 各司胥隸 各營校卒 摺紙列名 來呈單子於官員及先生家 門內置盤受之曰歲銜 外道衙門亦然“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또 한양(漢陽)의 세시기를 쓴 책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 따르면, 설날부터 정월 초사흗날까지는 승정원과 모든 관청이 쉬며, 시전(市廛) 곧 시장도 문을 닫고 감옥도 비웠다고 합니다. 이때는 서울 도성 안의 모든 남녀들이 울긋불긋한 옷차림으로 왕래하느라고 떠들썩했다 하며, 이 사흘 동안은 정승, 판서와 같은 고위관원들 집에서는 세함만 받아들이되 이를 문 안으로 들이지 않고 사흘 동안 그대로 모아 두었다고 하지요.
세함은 지금의 방명록(芳名錄) 또는 명함과 비슷합니다. 흰종이로 만든 책과 붓·벼루만 책상 위에 놓아두면 하례객이 와서 이름을 적었습니다. 설이 되면 일가친척을 찾아다니면서 세배를 해야 하기 때문에서 집을 비울 수 있는데 이때 그 사이에 다른 세배객이 찾아오면 허탕을 칠 수 있지요. 이때 세함을 놓고 가면 누가 다녀갔는지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요즘 쓰는 명함과 달리 정초에만 사용되므로 세함이라 부르지요. 이때 방문객이 세함을 놓고 갈 뿐 마중하고 배웅하는 일이 없는데 이는 정초에 이루어지는 각종 청탁을 배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먼 곳에 세배를 가야 하는 사람들이나 벼슬이 높아 궁중의 하례식에 참석하는 경우 만날 수 없는 사정을 해결하기 위한 것입니다. 지금은 없어졌지만 참 좋은 풍습이었습니다.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