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동심의 세계는 모든 어른들의 마음의 고향입니다

동화읽는 어른은 순수합니다

동화읽는어른

[인형극대본] 팥죽할멈과 호랑이

기타 무명............... 조회 수 8158 추천 수 0 2005.05.09 13:07:59
.........
등장인물.... 할머니, 호랑이, 알밤, 자라,쇠똥,송곳, 절구, 멍석, 지게

<1막>
옛날 옛날, 깊은 산 속에 꼬부랑 할머니가 살았대요.
할머니는 밭을 매어서 팥 농사를 하신대요. 왜 팥농사를 하냐구요?
그거야 맛있는 팥죽도 쑤어먹고, 팥떡도 해먹고, 어린이 여러분과
우리 부모님 생신 때 팥밥을 지어먹으려고 그러지요.

따뜻한 봄날, 할머니는 열심히 팥밭을 맸어요. 팥밭 한고랑을 매고는
할머니) 애고 힘들어.
팥밭 두고랑을 매고는
할머니) 애고, 애고 힘들어.
팥밭 세 고랑을 매고는
할머니) 애고, 애고, 애고 힘들어.
그 때 갑자기 ´어흥´ 하는 소리가 들려 뒤를 돌아다보았지요.
그랬더니 무엇이 있었는지 아세요? 글쎄 황소만한 호랑이가 할머니를 쳐다보고 있지 않겠어요.
호랑이) 어흥
할머니) 아이쿠 ! 사람 살려!
할머니는 깜짝 놀라서 꼼짝도 못했어요. 그런데 호랑이가 입을 떠- 억 벌리고 말했어요.
호랑이) 어흥 배가 고프니 할멈을 잡아먹어야겠다!
할머니) 호랑아, 제발 살려다오. 흑 흑 흑.
호랑이) 할멈, 살고 싶으면 나랑 밭매기 내기하자. 할멈이 이기면 내가 이 밭을 다 매 주고,
내가 이기면 할멈을 잡아먹고 흐흐흐
할머니는 할 수 없이 호랑이와 밭매기 내기를 했어요.
호랑이) (멀리서 부른다) 할멈! 팥밭 한고랑 다 맸다.
할머니) 애고,이제 겨우 풀 한포기 뽑았는데
호랑이) (멀리서 부른다) 할멈 팥밭 두고랑 다맸다.
할머니) 애고, 애고 이제 겨우 풀 두포기 뽑았는데
호랑이) (의기양양하게) 할멈 난 팥밭 다(아)맸다.
이제 내가 이겼지(강조) 어흥 이제 잡아먹어야 겠다(다가오면서)
할머니) (벌벌 떨며) 호랑아 , 호랑아, 제발 살려줘 (뒤로 넘어진다)
호랑이) (위협적으로 어슬렁 어슬렁 다가오면서) 뭐 살려달려구? 난 지금 배가 무지무지 고파서 안돼
할머니) 호랑아 그럼 동짓날 팥죽 한그릇만 쑤어 먹으면 소원이 없겠어 (애절하게)
호랑이) 뭐 팥죽 한그릇 먹는게 소원이라고? 그럼 좋아 그때 가서 잡아먹지
호랑이는 산 속을 어슬렁 어슬렁 사라졌어요.

<제 2막>

호랑이를 만난 날부터 할머니는 죽을 날만 기다리면서 농사를 지었어요.
어느새 가을이 와서 팥을 뽑아 잘 떨어서 광 안에 가득 재어 놓았어요.
노래마당 알밤 등이 모여 놀고 있는 모습

(모두들 알밤을 가리키며) : 당신은 누구십니까? (알밤) 나는 알밤입니다.
모두): 그 이름 맛있겠군요. 당신은 누구십니까? 자라) : 나는 자라입니다.
모두) : 그 이름 멋있군요. 당신은 누구십니까? 쇠똥) : 나는 쇠똥입니다.
모두) : 그 이름 냄새나군요. 당신은 누구십니까? 송곳) : 나는 뾰쪽 송곳.
모두) : 그 이름 뾰쪽하군요. 당신은 누구십니까? 맷돌) : 나는 절구입니다.
모두) : 그 이름 묵직하군요 당신은 누구십니까? 멍석) : 나는 멍석입니다.
모두) : 그 이름 멋있군요. 당신은 누구십니까? 지게) : 나는 지게입니다.
모두) : 그 이름 멋있군요.

그 때 어디선가 할머니가 훌쩍훌쩍 우는 소리 (크게)
알밤이 떼굴떼굴 굴러 왔어요.
(알밤) : 할머니 할머니 , 왜 울어요?
(할머니) : 오늘 저녁에 호랑이가 날 잡아 먹으러 온다고 해서 운다.
(알밤) : 팥죽 한그릇 주면 못잡아 먹게 하 -지
할머니는 알밤에게 팥죽을 한 그릇 주었어요. 알밤은 팥죽을 먹고 나서 아궁이 속에 숨었어요.
할머니가 또 엉엉 우는데 , 자라가 엉금엉금 기어왔어요.
(자라) : 할머니 할머니, 왜 울어요?
(할머니): 오늘 호랑이한테 죽게 돼서 운다.
(자라) : 팥죽 한 그릇 주면 못 잡아 먹게 하 - 지
할머니는 자라에게 팥죽을 듬뿍 주었어요.
자라는 팥죽을 뚝딱 먹어치우더니 부엌 물항아리 속에 숨었어요.
다음에는 송곳이 콩콩콩콩 튀어 왔어요. 쇠똥이 어기적어기적 기어 왔어요.
(송곳, 쇠똥) : 할머니 할머니, 왜 울어요?
(할머니) : 오늘 저녁에 호랑이가 날 잡아먹으러 온다고 해서 운다.
(쇠똥,송곳) : 팥죽 한그릇 주면 못 잡아 먹게 하 - 지.
할머니는 팥죽을 송곳과 쇠똥에게 주었어요. 송곳은 팥죽을 먹고 나서 부엌 바닥에 꼿꼿이 섰어요.
쇠똥은 팥죽을 먹고 나서 부엌 바닥에 엎드렸어요.
할머니가 또 엉엉 우는데 절구가 콩덕콩덕 뛰어 왔어요.
멍석이 털석털석 다가왔어요. 지게가 어정어정 걸어 왔어요.
( 절구, 멍석, 지게) : 할머니, 할머니, 왜 울어요?
(할머니) : 오늘 저녁에 호랑이가 날 잡아 먹으로 온다고 해서 운다.
(절구, 멍석, 지게) : 팥죽 한그릇 주면 못 잡아먹게 하-지
할머니는 팥죽을 듬뿍 주었어요. 절구는 팥죽을 먹고나서 부엌 문위로 올라갔어요.
멍석은 팥죽을 먹고 나서 앞마당에 누웠어요.
지게는 팥죽을 먹고 나서 마당 한구석에 섰어요. ( 알밤 ) : 할머니가 호랑이에게 잡혀 먹히는 건 너무 슬퍼
( 자라 ) : 우리가 할머니를 살릴 방법은 없을까?
( 쇠똥 ) : 호랑이를 없애 버리면 되쟎아?
(송곳) : 어떻게 호랑이를 없앨 수 있니?
(절구) :우리가 도와 드리면 되지.
(멍석) 그렇지만, 호랑이 보다 덩치도 작고 힘도 없는 우리가 어떻게 호랑이와 맞서 싸우겠니? 난 무서워
(지게) 아니야, 좋은 수가 있을 꺼야 자, 다같이 모여봐
(알밤 ) : 그래, 우리의 작은 힘이지만 서로 뭉친다면 할머니를 구할 수 있을꺼야.
다같이) 그래 그래 우리 한 번 해보는 거야 하나 둘 셋 파이팅!!!


<제 3막>

드디어 호랑이가 할머니를 잡아 먹으려고 나타났어요.
그런데, 날씨가 어찌나 춥던지 밖은 눈이 내리고 바람이 세차게 불었어요. (효과-바람소리)
(호랑이) : 아이구 추워, 아이구 추워
(할머니) : 추우면 아궁이에 가서 불을 쬐렴
할머니가 일러 주는대로 호랑이는 부엌으로 갔어요. 호랑이가 아궁이에 쪼그리고 앉았는데
알밤) : 호랑이 너, 뜨거운 알밤 맛좀 봐라 (˝딱˝ 호랑이 눈을 때린다)
호랑이:.아이구 아야, 아이구 아야. (눈을 비비며)
호랑이는 눈에 재가 들어가서 따가왔어요. 눈을 씻으려고 물항아리 속에 손을 집어 넣었어요.
자라) : 여기는 자라가 있다 에잇
자라가 호랑이 손을 꽉 물어 버렸어요.
(호랑이) 아아구 아야 아이구 내 손
호랑이는 너무 아파서 펄쩍펄쩍 뛰다가 부엌바닥에 있던 쇠똥을 밟았어요.
호랑이) 어어 아구 미끄러워
송곳) 요놈 뾰족한 송곳 맛좀 봐라 (크게) 똥침
호랑이) 앗 따가워
호랑이는 깜짝 놀라 소리를 지르며 밖으로 뛰어나갔어요 그런데 부엌문을 나서자마자,
절구) 나도 여기 숨어있었지 에잇 (´쿵/하고 호랑이 머리를 내리친다)
호랑이는 앞마당에 펼쳐진 멍석위에 털썩 쓰러졌어요.
(멍석); 옳지, 호랑이 요녀석 혼좀나봐라. 내가 너를 둘둘 말아 꼼짝못하게 할꺼야
지게) 멍석아 수고 했어! 이제 호랑이를 내 어깨에 올려다오
(모두를 부르며) 얘들아 호랑이를 강가에 빠뜨리려 가자 (우우)

다같이 노래(고기잡이 -개사)
고기를 잡으려 바다로 갈까요? 고기를 잡으려 강으로 갈까요.
아니야 아니야 호랑이 버리러 우리 모두 힘을 합쳐 간다네

하나~ 두울~ 세~엣 (강물에 호랑이를 ´풍덩´)
( 알밤, 자라 송곳, 쇠똥, 절구, 멍석, 지게) 야호 만세!, 만세!
우리가 호랑이를 물리쳤다!!!

알밤이랑, 자라랑, 쇠똥이랑, 송곳이랑, 절구랑, 멍석이랑, 지게가
호랑이를 잡았다는 재밌는 옛날 이야기였어요.
팥죽 한그릇씩 먹고 할머니를 살려 준 지금 할머니는 어떻게 됐을까요?
아직도 산너머에 팥밭을 일구며 살고 계신대요.<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8 창작동화 [창작동화] 어느 술항아리의 꿈 강숙인 2005-05-25 1979
337 창작동화 [창작동화] 일학년 나무 박명희 2005-05-25 1332
336 창작동화 [창작동화] 작은 꽃나무 이야기 무명 2005-05-25 1729
335 창작동화 [창작동화] 줄래아저씨 홍계숙 2005-05-25 1207
334 신춘문예 [8회 눈높이문학] 미술관 호랑나비 김현화 2005-05-25 1573
333 창작동화 [창작동화] 파란 능금 초롱이 신충행 2005-05-25 2128
332 신춘문예 [2001광주매일] 따뜻한 손 - 무명 2005-05-25 1237
331 외국동화 [일본전래동화] 엄지동이 무명 2005-05-25 2277
330 기타 [구연동화] 보리꽃 백승자 2005-05-21 2871
329 기타 [구연동화] 코뿔소에게 안경을 씌워주세요 이윤희 2005-05-21 1755
328 기타 [구연동화] 별님에게 전화가 왔어요 사쿠라이 2005-05-21 1790
327 창작동화 [창작동화] 할아버지의 조끼 최인선 2005-05-21 2191
326 창작동화 [창작동화] 황금팽이 허은순 2005-05-21 2162
325 신춘문예 [1999조선일보] 12월의 동물원 - 김정옥 2005-05-16 1739
324 신춘문예 [1998동아일보] 삼색 나비목걸이 -김정옥 김정옥 2005-05-16 1153
323 신춘문예 [2001대한매일] 다락방 친구 - 공지희 2005-05-15 1650
322 신춘문예 [2000매일신문] 아버지의 열쇠고리 - 김영옥 2005-05-09 1441
321 창작동화 [창작동화] 모래마을의 후크 선장 안선모 2005-05-09 1811
320 외국동화 [외국동화] 세상에서 가장 커다란 곰 린드 워드 2005-05-09 1591
» 기타 [인형극대본] 팥죽할멈과 호랑이 무명 2005-05-09 8158
318 창작동화 [창작동화] 복 없는 아이 소중애 2005-05-09 1354
317 창작동화 [창작동화] 산골 아이 황순원 2005-05-07 1916
316 창작동화 [창작동화] 너하고 안 놀아 현덕 2005-05-07 1558
315 창작동화 [창작동화] 선생님은 왜 저만 미워해요? 조대현 2005-05-07 1837
314 창작동화 [창작동화] 안개와 가스등 김요섭 2005-05-07 1403
313 외국동화 [일본동화] 희망을 파는 가게 스기 미키코 2005-05-07 1753
312 권정생동화 [권정생동화] 오소리네 집 꽃밭 권정생 2005-05-07 2765
311 신춘문예 [2002청주문학] 보석 두 개 문진주 2005-05-07 1351
310 외국동화 [인디언동화] 밤하늘에 별이 총총 뜨게 된 얘기 신정민 2005-05-07 1204
309 외국동화 [외국전래동화] 누가 제일 거짓말쟁이일까? 신정민 2005-05-07 1709
308 외국동화 [외국전래동화] 달님의 외투 신정민 2005-05-07 2223
307 창작동화 [창작동화] 수박 먹은 아기도깨비 이규원 2005-04-19 2679
306 창작동화 [창작동화] 숲속의 왕관 이규원 2005-04-19 1415
305 창작동화 [창작동화] 산타가 된 아기 쥐 이규원 2005-04-19 1580
304 창작동화 [창작동화] 노란별의 약속 이규원 2005-04-19 1304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