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엄청난

보물자료실

[24절기]망종(芒種)

기타 분류불가 kbs531............... 조회 수 5897 추천 수 0 2006.06.13 09:03:34
.........

망종 s노트로 그림그리기에 도전해 봤는데 완전 어색하네요.ㅠㅠ

 

오늘은 망종(芒種)입니다

 

망종(芒種)이란 뜻은 벼,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芒) 곡식의 종자(種)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입니다. 농촌에서는 모내기와 보리베기를 하는 시기입니다. 1년 중 가장 바쁜 때이고 제가 초등학교, 중학교를 다녔던 70년대 80년대에는 망종 즈음에 '농번기방학'이라는 것이 있어서 일주일씩 학교에 안갔던 기억이 나네요.
보리 그스름이라고 아세요? 전남지방에서는 망종날 '보리 그스름'이라 하여 아직 단단하게 여물지 않은 풋보리를 베어다 불에 그스름을 해서 손바닥으로 비벼 먹었는데 정말 맛있었지요.
또한 노지딸기가 나는 시기입니다. 요즘은 대부분 비밀하우스에서 딸기를 재배하기 때문에 1년 내내 계절 없이 딸기생산을 하지만, 논과 밭에서 철따라 거두는 딸기는 요즘이 제절입니다. 그래서 겔럭시노트 핸드폰으로 딸기 그림을 한번 그려봤는데 익숙하지 않아서인지 잘 안그려졌네요.
사방천지에 찔레꽃 향기가 진동을 합니다. 요즘은 나무에 피는 꽃들이 꽃을 내는 시기입니다. 푸르른 녹음도 이제 지친 듯 따가운 햇볕에 잎을 늘어뜨리기 시작하네요. 모두모두 사랑합니다. ⓒ최용우 2012.6.5

 

(얼레빗) 2318. 오늘은 망종, 보릿고개와 보리방귀 이야기

오늘은 24절기의 아홉째인 망종입니다. 망종(芒種)이란 벼, 보리같이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 곡식의 씨앗을 뿌려야 할 알맞은 때라는 뜻입니다. 더불어서 모내기와 보리 베기에 알맞은 때이기도 합니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말이 있는데 망종까지는 보리를 모두 베어야 빈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할 수 있지요. 또 이때는 사마귀나 반딧불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매화가 열매 맺기 시작하는 때입니다.

그런데 보리 베기 전에는 "보릿고개 “라는 것이 있었습니다. 일제강점기인 1931년 6월 7일 자 동아일보에도 ”300여 호 화전민 보리고개를 못 넘어 죽을지경"이라는 기사가 있었던 것이지요. 또 “보릿고개”를 한자로 쓴 “맥령(麥嶺)”과 더불어 “춘기(春饑)”, “궁춘(窮春)”, “춘빈(春貧)”, “춘기(春飢)”, “춘기근(春飢饉)”, “춘궁(春窮)“, ”궁절(窮節)” 같은 여러 가지 말들이 조선왕조실록에도 자주 나옵니다.

이처럼 예전에는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망종까지 헐벗고 굶주린 백성이 많았습니다. 보리는 소화가 잘 안 돼 ‘보리방귀’라는 말까지 생겼지만 보리방귀를 연신 뀔 정도로 보리를 배불리 먹어보는 것이 소원이기도 했습니다. 오죽하면 ‘방귀 길 나자 보리양식 떨어진다’는 속담이 나왔을까요. 그나저나 살이 쪄서 살빼기가 이야깃거리인 요즘에도 여전히 굶는 사람이 있다는 기사가 보이는데 굶는 이들이 어서 사라지고 '보릿고개'란 말이 옛말로만 남게 되었으면 합니다

mj.jpg

 


 

-------------------------------

 

정규호의 절기 이야기

망종, 여름철 별미 집장 한번 담궈 볼까?
정규호(세종전통장류명품화사업단 사무국장)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요란하게 치면, 그 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 하였으며, 망종이 늦게 들어도 빨리 들어도 안 좋으며

            


힘겨운 보릿고개를 잘 넘어온 시기이다. 망종은 말 그대로 까그라기 종자라는 뜻으로, 보리와 밀을 수확하는 시기를 일컫는 말이다. 보릿고개를 넘어 식량은 해결했지만 없어서는 안 될 식품인 장(醬)이 떨어질 시기이다. 올해 담근 장을 먹을 시기인 9월까지 전 해 담근 장을 먹어야 하나, 6월이면 장이 떨어져 여름에 먹을 장이 모자라게 된다. 이를 슬기롭게 넘기기 위해 조상들은 망종때면 수확한 밀, 보리를 원료로 단기간 숙성하여 여름철 먹을 장인 ‘즙장(汁醬)’을 만들었는데, 오늘날 각 지방별 독특한 풍미를 지닌 여름철의 별미인 ‘집장’이다. 올 여름 신선한 야채와 함께 건강한 밥상을 위한 ‘집장’을 담 궈 여름철 별미를 느껴보자!

망종은 소만(小滿)과 하지(夏至) 사이에 드는 절기로, 24절기 가운데 아홉째에 해당하며, 태양의 황경(黃經)이 75°에 이르는 6월 6일경에서 하지 전까지의 약 15일간의 절기이다. 이때에는 보리 베기를 비롯하여 모심기, 콩 심기 등 일 년 중에 농사일이 가장 바쁠 때이다. 특히 망종을 넘기면 모내기가 늦어지고, 바람에 보리가 쓰러져 수확이 어려워 바쁘지만 철을 넘겨서는 안되는 농사일이 산적해 있는 시기이다. 그래서 망종과 관련하여 ‘ 보리는 씨 뿌릴 때는 백일, 거둘 때는 삼일’이라는 속담과 함께 ‘발등에 오줌 싼다’, ‘별보고 나가 별 보고 들어 온다’ 등, 농사일이 바쁨을 비유한 속담들이 많다. 또한 망종에는 보리수확과 관련하여 지방마다 다양한 세시풍속이 있었다.

전남지방에서는 망종날을 '보리 그스름'이라 하고, 경상도에서는 ‘보리서리’라는 풍속이 있었는데 아직 남아있는 풋보리를 베어다 그스름을 해먹으면 이듬해 보리농사가 잘 되어 곡물이 잘 여물며 그 해 보리밥도 달게 먹을 수 있다고 하며, 풋보리를 밤이슬을 맞혀서 먹으면 허리가 아프지 않고 한 해 병이 들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망종보기’라 하여 망종이 빠른 날짜에 오는지 늦게 오는지에 따라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 풍속이 있었다. 전남, 충남,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요란하게 치면, 그 해 농사가 잘 되지 않는다 하였으며, 경남 섬 지방에서는 망종이 늦게 들어도 빨리 들어도 안 좋으며 가운데에 들어야 가장 좋다고 하였다.

이 밖에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 손으로 비벼 껍질을 벗긴 후 솥에 볶아서 맷돌에 간 다음, 체로 쳐서 죽을 끓여 먹으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고 배탈이 나지 않는다는 속설도 있었다.

   
▲ 여름철 별미 집장


망종 때 가정에서는 여름철에 먹을 ‘즙장’을 즐겨 담궜다. ‘즙장’은 된장, 간장, 고추장, 청국장과 함께 우리 민족의 중요한 전통장류이다. 찐 밀과 콩을 섞은 뒤 고온으로 단기간에 발효시켜 만드는 장으로 색깔은 된장보다 어두운 노란색이나 맛은 된장보다 고소하고 단맛이 나 주로 쌈장과 오이, 풋고추 장으로 서민층에 널리 이용되었는데 주로 높은 열을 유지하는 퇴비더미 속에서 단기간 발효시켜야만 하는 제조상의 단점과 밀 생산량의 급감 등으로 1900년대 초부터 우리 식탁에서 점차 사라졌으나, 현대에 와서 ‘집장’으로 재인식 되면서 명맥을 유지해 오던 즙장은 각 지방별 풍미를 지닌 전통장류로 발달되어 식탁에 오르고 있으며, 여름철 별미로 각광을 받고 있다.

집장이 여름철 전통장류로 자리 잡게 된 것은 나름 조상들의 애환이 서려있다. 민족의 위대한 식품인 장(醬)은 음력 정월에 담궜다가 약 열 달정도 숙성시킨뒤에 9월경부터 먹을 수 있는데, 여름철인 7월이나 8월경이면 장(醬) 떨어지는 경우가 많아 식량이 없어 보리고개 넘듯이 장(醬)도 그러한 시기가 있다. 그래서 망종 무렵인 6월경부터 단기간 숙성하여 먹을 수 있는 ‘집장’을 담궈 여름철에 모자라는 장(醬)을 충당하였다. 그래서 된장은 가을에 수확한 콩을 주원료로 하지만, 집장은 망종 무렵 수확한 보리나 밀을 주원료로 하여 담궜다.

이러한 집장은 지역마다 재료와 만드는 법을 달리 하여 특색 있고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음식의 고장 전라도에서는 곱게 빻은 메줏가루를 보릿가루, 고춧가루와 함께 찹쌀 죽에 섞은 뒤 소금에 절인 고춧잎, 무 등의 채소를 박아 넣고 익힌 장으로 새콤하고 고소한 맛이 나서 보리밥과 잘 어울린다. 또한 충청도에서는 밀을 쪄서 집장메주를 만들어 발효시킨 다음 찹쌀과 고춧가루, 물엿 등을 가미하여 집장을 만들어 먹는데 그냥 쌈장용으로 먹기도 하며, 야채와 고기를 곁들어 볶아 먹기도 한다. 특히 메주가루를 주원료로 동치미국물에 장을 담 궈 부뚜막에서 발효시킨 천안의 빠금장이 유명하다. 이 외에도 등겨장, 막장 등이 각 지방의 풍미를 지닌 집장의 한 종류이다.

‘되는 집안은 장맛도 달다’라는 말이 있듯이 어머니의 손길로 천년을 이어온 장(醬)은 집안의 자긍심 그 자체였다. 더운 여름날 장이 잘 익기를 바라며 정성스럽게 장독대를 닦으시던 어머니의 모습을 떠올려 본다. 집안에 장(醬)이 떨어지지 않고 오히려 계절의 별미로 즐겼던 집장은 조상들의 애환과 슬기가 함축된 건강한 장류이다. 다가올 여름에는 새콤한 집장을 곁들인 신선한 식탁에서 고향의 별미를 맛보며 더위를 날려 보자!

   
 

1-21-9.jpg

2011년-------------

안녕하세요 망종입니다.

 망종(芒種)은 24절기의 아홉 번째이고 6월 6일입니다. 망종(芒種)이란 뜻은 벼,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芒) 곡식의 종자(種)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입니다.
옛 사람들은 망종을 5일씩 끊어서 3후(三候)로 나누었는데, 초후(初候)에는 사마귀가 생기고, 중후(中候)에는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 하였습니다.
농촌에서는 모내기와 보리베기를 하는 시기입니다. 그래서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오." 라는 속담이 있나봅니다. 또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이 있는데, 망종까지는 모두 베어야만 논에 벼를 심고, 또 망종을 넘기면 보릿대가 꺾어지거나 부러질 염려가 있고 바람에도 넘어 갈 염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남녘에서 '발등에 오줌싼다' 고 할만큼 1년 중 가장 바쁜 때이고 제가 초등학교, 중학교를 다녔던 70년대 80년대에는 망종 즈음에 '농번기방학'이라는 것이 있어서 일주일씩 학교에 안 갔던 기억이 나네요. 
보리 그스름이라고 아세요? 전남지방에서는 망종날 '보리 그스름' 이라 하여 아직 단단하게 여물지 않은 풋보리를 베어다 불에 그스름을 해서 손바닥으로 비벼 먹었는데 정말 맛있었지요.
사방천지에 찔레꽃 향기가 진동을 합니다. 요즘은 나무에 피는 꽃들이 꽃을 내는 시기입니다. 앵두나무에 빨강 앵두가 익어 앵두나무 그늘아래 앵두다던 처녀총각 바람나겠네요^^ 푸르른 녹음도 이제 지친 듯 따가운 햇볕에 잎을 늘어뜨리기 시작하네요.
-------------

(9) 망종(芒種) 24절기의 하나. 소만과 하지 사이에 들며, 음력 4∼5월, 양력 6월 6∼7일이 된다. 망종이란 벼·보리 등 수염이 있는 곡식의 씨를 뿌려야 할 적당한 시기라는 뜻이다. 이 시기는 옛날에는 모내기와 보리베기에 알맞은 때였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이 있듯이 망종까지는 모두 베어야 논에 벼도 심고 밭갈이도 하게 된다. 특히 모내기와 보리베기가 겹치는 이 무렵의 바쁜 농촌의 상황은 보리농사가 많았던 남쪽일수록 더 심해서 이 때가 1년 중 제일 바쁜 때였다. 음력 4월내에 망종이 들면 보리농사가 잘되어 빨리 거두어 들일 수 있으나 5월에 망종이 들면 그 해 보리농사가 늦게 되어 망종내에도 보리수확을 할 수 없게 된다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8 찬양.성가악보.ppt 테리 맥알몬 동영상 찬양 한곡 최용우 2006-12-06 9107
407 주보회보문서간행물 전도주보 44 file kbs531 2006-12-03 4696
406 주보회보문서간행물 [남산교회전도주보] 2006년 12월분 file [5] kbs531 2006-11-22 4905
405 기타 분류불가 [24절기]소설(小雪) file kbs531 2006-11-15 4790
404 주보회보문서간행물 [남산교회전도주보] 2006년 11월분 file [2] kbs531 2006-11-09 4480
403 기타 분류불가 [24절기]입동(立冬) file kbs531 2006-11-04 5022
402 기타 분류불가 [24절기]상강(霜降) file kbs531 2006-10-27 4854
401 주보회보문서간행물 전도주보 38 file kbs531 2006-10-21 4892
400 주보회보문서간행물 전도주보 37 file kbs531 2006-10-12 4453
399 기타 분류불가 [24절기]한로(寒露) file [1] kbs531 2006-10-07 5073
398 기타 분류불가 [24절기]추분(秋分) file kbs531 2006-09-30 4986
397 주보회보문서간행물 [남산교회전도주보] 2006년 10월분 file [3] kbs531 2006-09-21 5239
396 주보회보문서간행물 전도주보 33 file kbs531 2006-09-15 4525
395 기타 분류불가 [24절기]백로(白露) file kbs531 2006-09-08 5545
394 주보회보문서간행물 전도주보31 file kbs531 2006-08-31 4773
393 기타 분류불가 [24절기]처서(處暑) file [1] kbs531 2006-08-25 5450
392 주보회보문서간행물 전도주보 29 file kbs531 2006-08-18 4619
391 기타 분류불가 [24절기]입추(立秋) file kbs531 2006-08-10 4597
390 기타 분류불가 [24절기]대서(大暑) file [1] kbs531 2006-08-04 4978
389 기타 분류불가 [24절기]소서(小暑) file kbs531 2006-07-21 5100
388 주보회보문서간행물 [남산교회전도주보] 2006년 9월분 file [2] kbs531 2006-07-14 4928
387 주보회보문서간행물 [남산교회전도주보] 2006년 8월분 file [1] kbs531 2006-07-07 4745
386 교회.목회.설교자료 ppt-총회공과19과 말씀으로 자라다 file [1] 이태희 2006-07-04 7452
385 기타 분류불가 [24절기]하지(夏至) file kbs531 2006-06-30 5232
384 주보회보문서간행물 [남산교회전도주보] 2006년 7월분 file [5] kbs531 2006-06-21 4975
383 주보회보문서간행물 전도주보 21 file kbs531 2006-06-16 4607
» 기타 분류불가 [24절기]망종(芒種) file kbs531 2006-06-13 5897
381 주보회보문서간행물 [남산교회전도주보] 2006년 6월분 file [2] kbs531 2006-06-02 5266
380 기타 분류불가 [24절기]소만(小滿) file kbs531 2006-05-26 5390
379 주보회보문서간행물 결혼식 순서지용 찬송가 287.288장 악보 file 하늘바위 2006-05-23 24217
378 주보회보문서간행물 [남산교회전도주보] 2006년 5월분 file [1] kbs531 2006-05-19 5079
377 주보회보문서간행물 전도주보-16 file kbs531 2006-05-12 4590
376 기타 분류불가 [24절기]입하(立夏) file kbs531 2006-05-04 5226
375 주보회보문서간행물 전도주보14 file kbs531 2006-04-28 5056
374 기타 분류불가 [24절기]곡우(穀雨) file kbs531 2006-04-20 5168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