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
.........
출처 : | http://www.donga.com/fbin/moeum?n=book100$j_665&a=v&l=46&id=200504030125 |
---|
표지를 클릭하면 바로 책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1762년 음력 윤달 5월 13일 영조대왕이 큰아들 사도세자의 처소를 찾아갔다.
양력으로 치면 8월 초쯤, 무더위로 푹푹 찔 때다.
왕은 세자에게 자결을 명했다.
죽음의 그림자를 보면서도 세자는 “아바님, 아바님, 잘못하였으니, 이제는 하라 하옵시는 대로 하고, 글도 읽고 말씀도 다 들을 것이니, 이리 마소서”하고 목이 메도록 빌었다. 섬돌에 머리를 부딪기도 했다. 11세의 어린 손자(후에 정조)까지 할아버지께 아버지의 목숨을 살려달라고 애원했다.
하지만 영조의 결심은 반석 같았다. 세자를 죽이고자 하는 뜻을 쉬 이루지 못하자, 급기야 뒤주를 가져오라 했다. 재촉과 만류가 되풀이되면서 시간은 어느덧 밤이 되었다. 세자는 마침내 모든 것을 포기하고 뒤주에 들어갔다. 거구의 세자는 왕이 직접 꽁꽁 봉한 좁은 뒤주 속에서 어둠, 무더위, 갈증을 이기지 못하고 아흐레 만에 숨졌다.
이 과정을 지척에서 겪은 이가 세자의 부인 혜경궁 홍씨다. 혜경궁은 이 참혹한 광경 앞에서 숨소리조차 낼 수 없었다. 시아버지가 남편을 죽였건만 어디 하소연할 데가 없었다. 시아버지가 지존이니 어디다 무슨 말을 하겠는가. 혜경궁은 아들이 왕위에 오르고도 20년 동안 한을 가슴에만 품고 지내다가 환갑을 맞을 때쯤에야 옛일을 기록하기 시작했다.
‘한중록’을 하나의 완결된 작품으로 아는 사람이 많지만, 사실은 총 5차례에 걸친 회고록을 총칭한 것이다. ‘한중록’은 일관되게 기획된 글이 아니어서 구성이 체계적이지 않고, 다듬어지지 않은 표현도 적지 않다. 이런 점에서 보면 ‘한중록’은 좋은 문학 텍스트는 아니다.
게다가 역적으로 몰린 아버지, 아들 정조에게 사사(賜死) 당한 작은아버지, 유배지에서 죽은 동생 등 대개 친정 식구들을 변호하기 위해 쓴 글이어서 절제되지 못한 감정의 분출을 보인다. ‘증오의 서’라 불릴 만큼 직설적이다.
하지만 정제되지 못한 표현과 감정이 ‘한중록’의 매력이기도 하다. 꾸미지 않고, 멋 부리지 않으면서, 자신의 억울함을 풀어가고 있는 것이다. 여러 이본(異本) 중에서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소장본처럼 자기 부모의 부부싸움까지 시시콜콜 다 얘기하는 이본을 더 가치 있게 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한중록’의 가치는 전대미문의 끔찍한 사건을 다루었다는 점이나 혜경궁의 글 솜씨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 그 사건을 지켜보는 필자의 시선이다. 혜경궁은 가해자 영조의 며느리이자 피해자 사도세자의 아내이고, 아버지의 원수를 갚고자 한때 외가를 공격한 적도 있는 정조의 어머니다. 이 복잡한 상황을 당사자의 필치를 따라 읽어가면서 정치, 인간관계, 인간 심리에 대해 보다 깊은 이해에 이를 수 있다.
영문 번역본 ‘한중록’을 펴낸 미 컬럼비아대 김자현 교수는 수업시간에 미국 학생들에게 ‘한중록’을 읽혔더니 아주 반응이 좋더라고 했다. 무릇 고전은 국적을 뛰어넘는 법이다.
현재 출간된 ‘한중록’ 가운데 가장 좋은 것은 김동욱 선생이 교열하고 주석한 ‘한듕록’(민중서관·1961)이라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여타의 ‘한중록’은 대부분 이 책을 쉽게 풀어낸 것으로 보인다. 김용숙 선생의 역저 ‘한중록 연구’를 참조하며 ‘한듕록’에 도전해 보자.
정병설 서울대 교수·국어국문학과
|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