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네 사람들의 정담이 오고가는 대청마루입니다. 무슨 글이든 좋아요. |
[세상 속으로]성추행·도박·부정축재에 자금세탁 창구 역할까지… 뉴스 단골 메뉴가 된 종교인들
이윤정 기자 yyj@kyunghyang.com
ㆍ‘부패·부조리·배타적 행보’ 신뢰 잃은 종교의 민낯
ㆍ공공연히 “다문화 반대”… 신도 잃고 더 극단화 경향
“정몽준씨 아들이 (세월호 희생자와 가족을 향해) 미개하다고 한 것은 잘못된 말이긴 하지만 틀린 말은 아닙니다.” 지난해 4월 오정현 사랑의교회 담임목사는 이같이 말했다. 세월호 유족 9명은 오 목사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했다. 김삼환 명성교회 목사는 “세월호 사고는 하나님의 뜻”이라고 설교했다가 질타를 받았다.
약자를 위로하고 지친 삶을 위로해야 할 종교가 변해가고 있다. 배타주의, 물질주의, 정치집단화 등은 종교의 민낯이 된 지 오래다. 종교는 오랫동안 내부를 성역화해왔기 때문에 문제가 불거져도 좀처럼 해결점을 찾지 못한다. 성직자의 성추행 사건, 종교기관의 부정 축재와 비리 등 종교의 ‘추한’ 얼굴은 언제부턴가 뉴스의 단골 메뉴가 되었다.
종교단체가 이익집단화한 사례는 개신교에서 두드러진다. 개신교는 해방과 한국전쟁을 겪으며 ‘반공’을 앞세우고 정권과 발걸음을 맞춰왔다. 그러다 민주정부 1기인 김대중 정부 때부터 정권과 대립각을 세우기 시작했다. 개신교계는 노무현 정부 들어 ‘반공·친미’와 ‘사립학교법 개정 반대’를 내세우며 18차례나 대규모 반정부 집회를 열었다. 김진호 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 연구실장은 “개신교계는 사학법 개정이 교회의 재산권을 빼앗는 행위로 받아들였다”며 “해방 후 정권과 보수적 기득권을 나눠가진 개신교계가 처음 위기를 겪은 시기였다”고 말했다.
지금도 일부 개신교계는 반공, 반동성애, 반다문화를 내걸고 배타적 행보를 멈추지 않고 있다. 지난해 11월 서울시는 동성애자 차별금지 조항 포함에 부담을 느껴 ‘서울시민 인권헌장’을 용도 폐기했다. 개신교 단체가 시청을 점거하고 압력행사에 나서자 굴복한 것이다. 지난 1월19일엔 일부 기독교시민단체 등이 주요 일간지에 반다문화정책을 촉구하는 전면광고를 싣기도 했다.
도덕적 위기도 오래된 종교의 맨얼굴이다. 불교계에서는 2012년 강원도 백양사 인근 호텔에서 승려 8명이 도박판을 벌인 장면이 폐쇄회로(CC)TV에 잡히면서 비리가 봇물 터지듯 불거졌다. 이후 조계종은 승려의 음주·도박·룸살롱 이용 금지를 비롯해 교단 파벌싸움 규제 등 쇄신안을 내놓았지만 근본 변화를 일궈내진 못했다. 한국 불교계 비리는 2013년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에 ‘한국 불교, 몽키 비즈니스(협잡사기)’라는 기사로 다뤄지기도 했다.
최근 구속된 이규태 일광공영 회장은 교회를 자금세탁 창구로 활용했고, 2005년 박용욱 이승그룹 회장은 수십억원의 비자금을 불교단체를 활용해 빼돌렸다가 검찰 조사를 받았다.
천주교는 해외 성직자들이 미국과 스페인 등지에서 미성년자 성추행을 하는 등 추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종교단체와 종교지도자들의 추한 모습은 신자들을 실망시킬 뿐만 아니라 깊은 상처도 안긴다. 갤럽 조사에서 ‘대부분의 종교 단체는 본래 뜻을 잃어버렸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63%가 ‘그렇다’고 답했다. 양희송 청어람아카데미 대표는 “종교단체 개혁이 필요하지만 이를 이끌어갈 차세대 지도자조차 나오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신도를 잃은 종교단체들은 더 극단적이고 비합리적인 방법으로 결속력을 다지고 있다”고 말했다.
입력 : 2015-03-20 22:01:10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