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오늘의

읽을꺼리

인터넷을 항해하면서 발견한 다시 읽고 싶은 글을 스크랩했습니다. 인터넷 공간이 워낙 넓다보니 전에 봐 두었던 글을 다시 찾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닙니다. 그래서 스크랩할만한 글을 갈무리합니다. (출처 표시를 하지 않으면 글이 게시가 안됩니다.)

예배당은 성전이 아니다

순전한신앙이야기 황부일목사............... 조회 수 598 추천 수 0 2015.04.07 22:23:02
.........
출처 : 순전한 신앙 이야기<http://cafe.naver.com/ghkdqndlf> 

예배당은 성전이 아니다


유대 땅 예루살렘도 아닌 이 땅에는 웬 성전이 그렇게도 많은지 모르겠습니다. 길을 가다보면 큰 건물 벽에 지역 호명을 딴 성전간판들을 곳곳에서 볼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성전 기공식이니 성전입당예배니 성전봉헌식이니 하는 초청장을 종종 받는 것을 보면서 얼마나 많은 성전이 건축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교회마다 대단한 일로서 마치 경쟁이라도 하듯이 성전 건축을 하고 입당을 각 교계신문에 광고까지 합니다. 더욱이 교계를 이끌어 간다는 이름난 지도층의 목회자들도 성전건축입당이라는 말을 잘 쓰면서 “새 성전입당”, “대성전확장”했음을 교계에 서로 부각이라도 시키려는 듯 크게 널리 알리기도 합니다. 심지어 신도시 같은데 지점(?) 성전까지 지었음을 광고합니다.


이렇게 우리나라는 이스라엘에도 없는 성전도 많고 또한 계속 성전은 이곳저곳에서 지어지고 있는 것입니다. 왜 이렇게 우리는 교회예배당 건물을 성전이라 칭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교회당을 짓고 성전 지었다고 한다거나 예배하러 예배당에 나와서는 기도하기를 이 성전에, 이 제단에 나왔다고 합니다. 이러다 보니까 많은 교인들이 교회시대 예배하는 예배당을 구약에서 제사하던 성전으로 알고 예배당과 무엇이 다른 줄을 구분하지 못합니다.


우리는 왜 이렇게 예배당을 성전이라고 합니까? 무너진 성전회복에 대한 갈망이 유대민족보다 더 강열해서 입니까? 현재 예루살렘 형편상 불가능한 성전 재건을 열정적인 신앙의 불길을 가진 우리가 세워보자는 의도에서입니까? 아니면 이스라엘에게도 있었던 성전을 신전화 시키던 잘못된 유대인들의 신앙의식이 우리에게도 있어서 예배하는 건물에 불과한 예배당을 신전화 하여 신자들로 하여금 하나님의 성전이라고 하는 특별한 관심과 헌신을 집중시키려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닙니까? 아니면 솔로몬에게 명하신 성전건축명령이나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유대민족에게 내려진 성전재건 명령을 지금도 그대로 받아 드리는 무지함에서 오는 것은 아닙니까? 그래서인지 학개서 1장에 나오는 당시 포로에서 귀환한 유대인들이 성전재건을 하다가 멈추고 자기들 생활에만 치우치자 하나님께서 학개 선지자를 통해 명하신 성전재건 명령을 오늘날 교회 예배당 짓는 데에 그대로 인용하여 교인들로 하여금 예배당이 아닌 성전건축으로 그것이 필연적인 하나님의 명령으로 알게 하는 경우도 꽤 있는가 봅니다. 그리고 그것을 하나님의 성전이라 명하며 하나님의 성전을 우리가 지었다는 공로와 표증으로 영광과 축복의 메달을 삼게도 합니다. 돈 많은 어떤 교회 장로는 하나님의 성전을 건축하는데 자기가 돈을 많이 냈으니 천국에 좋은 집을 하나님께서 상으로 마련해 주셨을 것이라고 말했다는데 이런 것들이 다 성전이라고 하는 하나님의 집을 자기가 지었다고 하는 은근한 자부심과 공치사로 다 신앙의 무지에서 오는 상태입니다.


우리가 알다시피 이스라엘 백성만큼이나 성전회복을 바라는 자들이 어디 있습니까? 그래도 그들은 곳곳에 그들이 모이는 종교적인 회합장소를 짓기를 원하여 지어놓고 우리처럼 성전이라 하지 않고 그저 회당이라고 합니다. 왜 그럴까요? 이들은 성전에 대한 지식이 그런 면에서는 교회당 건물을 성전이라 칭하는 우리보다 더 나은 것입니다. 교회시대에 건물 된 하나님의 성전이 있습니까? 제단에 제물을 드리며 제사장이 제사하던 성전은 실제로 주후 70년 경에 무너져 버렸고 또한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의 성취로 성전은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습니다. 지금도 성전이 있다고 한다면 소 잡고 양 잡아 번제나 속죄제를 드려야 할 것이며 그리고 우리는 오실 성전 된 메시야를 유대인들처럼 다시 기다려야 할 것입니다.


구약에서 이스라엘에게 허락된 성전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중에 계심을 실현시켜 주신 곳이며 또한 하나님께서 은혜와 경배로 택한 백성들과 교통하시고자 세우신 중재적인 곳이었습니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을 그곳에다만 모셔두고 성전을 신전시하려 했습니다. 그들은 그런 성전이 있는 것이 좋았고 자랑스러웠으며 성전을 통한 자기 기대에 차 있었던 것이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 백성으로서 하나님이 원하시는 삶을 통해 거룩해지는 것보다 자기들에게 하나님의 성전이 있다는 것으로 특별해지려 했습니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성전을 왜 세워 주셨는지를 몰랐습니다. 그곳을 통해 이스라엘에게 하나님의 임재를 알리시고 그들과 함께 하시는 그런 구원의 하나님을 기억하여 그곳에 나가 경배하며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고 감사와 기쁨으로 재물을 드림으로 하나님이 받으시고 또한 그들에게 은혜와 말씀을 주셔서 하나님 나라 된 자들로서 거룩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 주신 거룩한 교통의 장소였던 것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절기를 따라 그곳에 가서 자기들이 원하는 대로 하나님을 부르고 돌아와서는 하나님이 없는 삶을 살았던 것입니다. 그것은 마치 이교도들이 신전을 찾아가 그곳에 있다고 믿는 신을 부르며 재물을 내놓고 복을 빌고 안녕을 빌고 돌아오는 것처럼 살았던 때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그들은 성전 문만 밟고 그냥 돌아가는 자기당착에 빠지고 만 것입니다.


사도행전 7:47-49절에 보면 “솔로몬이 그를 위해 집을 지었느니라 그러나 지극히 높으신 이는 손으로 지은 곳에 계시지 아니하시나니 주께서 가라사대 하늘은 나의 보좌요 땅은 나의 발등상이니 너희가 나를 위하여 무슨 집을 짓겠으며 나의 안식할 처소가 어디뇨”라고 말씀했습니다. 그래도 이스라엘 족속들은 성전을 그들의 세력의 영광으로 삼았고 그들의 눈의 기쁨으로 삼았으며 또한 그들의 마음의 아낌이 되었지만 하나님은 그것을 더럽히며 무너뜨린다고 하셨습니다(겔24:21). 일찍이 하나님은 성전을 지은 솔로몬에게 말씀하시기를 너희나 너희 자손들이 내 계명을 지키지 않고 나를 떠나고 다른 신을 섬기면 내가 거룩히 구별한 이 성전이라도 던져버릴 것을 예고 하셨습니다(왕상9:6-9). 실제로 이스라엘 역사 속에서 성전은 그렇게 무너져 버리고 말았습니다.


오늘날 이 땅에 교회들은 은근히 성전이 아닌 성전 위주의 모습으로 가고 있습니다. 성전이 될 수 없는 교회당 건물을 성전이라 하여 교인들로부터 크고 좋게 짓게 하는 당위성을 갖게 하고 그래서 주도한 지도자나 교인들이 함께 영광으로 삼고 자신들의 자랑과 기쁨으로 삼고 또한 그곳을 통한 기대와 간절함을 갖게 하여 성전보다 더 큰이가 되시는 그리스도가 성전을 무너뜨리고 자신의 몸으로 세우신 거룩한 교회됨을 이루어 가는 그리스도안에 있는 온전한 삶에 대한 추구와 애착은 매우 찾아보기 어렵게 된 것입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그의 생명으로 선 교회 된 거룩성이 성전이라는 명분아래 교회당 건물을 경쟁적으로 높이 크게 웅장하게 세우는 것으로 구별시켜 가려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사마리아에 들어가셨을 때 우물에서 만난 사마리아 여인이 말하기를 “우리 조상은 이 산에서 예배하였는데 당신들의 말은 예배할 곳이 예루살렘에 있다하더이다”하자 예수님께서는 “여자여 내 말을 믿으라 이 산에서도 말고 예루살렘에서도 말고 너희가 아버지께 예배할 때가 이르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요4:20-21). 그것이 바로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는 것입니다. 그러니까 구약에 성전 같은 의미의 거룩한 예배장소가 특별히 필요 없는 것입니다. 우리가 지금 예배처소로 모이는 예배당은 교회 된 자들이 공적으로 약속된 시간에 모여 함께 예배하기 위해 잠시 적으로 쓰는 회당 같은 곳이지 거기에 하나님을 모셔두고 반드시 거기서만 예배하고 거기서만 하나님을 만날 수 있는 특별한 하나님의 성전은 아닌 것입니다.


우리는 이제 그리스도 안에 어디서나 예배할 수 있습니다. 예수님은 두 세 사람이 자신의 이름으로 모인 곳에 함께 하신다고 하셨습니다. 이것은 장소를 말함이 아니라 교회 된 성도들 중심을 말합니다. 그래서 이제는 성령이 계신 성도의 몸이 거룩한 성전이라고 한 것입니다(고전3:16).


성전을 무너뜨리우시고 자신의 몸으로 영원히 세우신 하나님나라 된 거룩한 교회를 우리가 보이는 건물 중심으로 가려하는 매우 위험하고 어리석은 모습이 우리가 예배당을 성전이라 하는 것에 있음을 알아야 할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무너지는 성전신앙으로 가게 됨을 알아야 합니다. 과거 옛 성전은 반드시 무너져야 했습니다. 왜냐하면 성전은 오실 그리스도의 예표였고 그림자에 불과 했던 것입니다. 예수님은 당시 헤롯이 신축한 일명 헤롯성전의 웅장함과 멋짐을 보며 감탄하는 제자들에게 “너희가 이 모든 것을 보지 못하였느냐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고 다 무너뜨리우리라”고 말씀하셨습니다(마 24:1-2). 이스라엘의 역사를 보면 성전과 함께 무너진 역사인 것입니다. 솔로몬 성전과 함께 무너진 유대 왕국 역사가 그랬고 그리스도가 오시기까지 재건된 스룹바벨 성전과 함께 이후 혼란과 역경으로 무너진 이스라엘의 암흑시대가 그랬고, 웅장하고 아름답게 재건되고 46년 걸려서 신축된 헤롯성전과 함께 로마에 의해 완전히 무너지고 망한 주후 70년 경 유대가 그랬습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역사가 보이는 성전 건물 중심으로 서는 하나님 나라로 영원히 서가지 못함을 아시고 그들을 무너뜨렸고 이제 무너지지 않을 영원한 성전 된 그리스도의 몸과 그 교회를 하나님 나라로 세워가시기 위해 성전을 무너뜨린 것입니다. 그런데 오늘날 그리스도의 교회라고 하는 자들이 무너지는 성전을 세운다고 하니 황당한 일 아닙니까? 오늘날 많은 교회 지도자들이 교인들의 신앙을 성전이라 하는 예배당을 짓는데 온 정성과 열정을 쏟아 붇게 합니다.


그것을 크게 짓는 것을 평생소원이 되도록 유도해 주기도 합니다. 또한 성전을 사랑하라고 하며 섬기라고 합니다. 성도들의 마음과 열심을 거기에 두라는 것인데 그러면 그것이 우상이 될 수도 있고 신앙의 중심이 전혀 엉뚱한데로 빠지는 위험성이 다분한 것입니다. 오직 그리스도와 그의 몸 된 교회를 사랑하고 섬기는 합당한 신앙에서 떠나 결국 많은 교인들의 신앙을 무너지는 건물 중심으로 쌓아가게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알다시피 하나님께서 지으라 하신 성전은 무너졌고 없습니다. 그것은 결국 보이는 건물에 불과했기 때문입니다. 예배당도 보이는 건물에 불과 합니다. 그것이 자랑할 만큼 부러워할 만큼 아무리 커도 성전은 될 수 없으며 또한 언젠가는 무너지게 되어 있습니다.


그리스도 안에서 건물은 아무것도 아닌 것입니다. 그것이 교회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신약에 보면 초대 예루살렘 교회부터 안디옥 교회, 갈라디아 교회, 에베소 교회, 고린도 교회, 데살로니가 교회, 빌립보 교회 등 그리고 계시록에 나오는 7교회들을 보면 예배당 건물에 대해 말한 데가 한군데도 없습니다. 그것을 지으려 했다거나 지어서 우리처럼 봉헌 했다는 말도 없습니다. 왜 그랬을까요? 성경에서는 건물은 교회가 아니며 그것을 짓고 크게 세워가는 모습이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를 세워가는 모습이 아니었음을 분명히 밝혀주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형편상 예배드리는 장소나 건물이 필요합니다. 또한 사정이 되어 지을 수도 있다고 봅니다. 그러나 예배당을 성전이라 칭해서는 안 됩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예배당을 성전이라 칭하지는 않아도 예배당을 교인들에게 신전화 시켜서는 안 되며 그리고 무엇보다 예배당 건물 중심의 신앙으로 쌓아 가도록 해서는 안 되는 것입니다.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는 바로 그리스도 안에 하나님의 자녀들로 구별된 성도들인 것입니다. 때문에 교회 된 우리들에게 있어 참으로 중요한 것은 우리가 크게 구별시키려는 성전이라 하는 보이는 예배당 건물에 있는 것이 아니라 교회로 부르심에 합당한 하나님 나라의 모습과 삶으로 이루어 가야 함에 있는 것입니다. 즉 그리스도의 생명을 누리며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서감에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바로 그리스도의 교회 된 거룩함과 참된 모습이 있는 것입니다.


이제 우리가 그리스도의 몸 된 교회 된 자들이 맞다면 예배당을 하나님의 거룩한 성전이라 하지 말아야 합니다. 왜냐하면 이제 성전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자꾸만 성전이라 한다면 그리스도안에서 하나님의 나라 된 교회의 모습을 보이는 건물로 거룩케 하려는 무지의 소치를 들어내는 것이 되며 그리스도께서 완성시키신 구속의 역사를 우리가 성전 아닌 성전을 특별하게 부각시킴으로 말미암아 그림자와 실제를 구분하지 못하게 하는 일이요 또한 많은 교인들을 그리스도보다 그리고 그의 몸 된 교회를 그리스도의 모습으로 세움보다 성전 아닌 성전을 크게 세워 그것을 더 위하며 아끼는 중심으로 기울게 하는 잘못된 경우가 되는 것입니다. 즉 교회 건물인 보이는 예배당을 더 거룩케 하며 존귀케 하는 외형중심의 결국 무너지는 신앙으로 가게 하는 문제를 조성하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날 교회들은 무너지고 말 그것을 누가 더 크게 짓는가 지금 경쟁하고 있는 것입니다.


분명히 예배당은 성전이 아닙니다. 그래도 성전이라 한다면 우리는 무너지고 없어진 보이는 건물성전대신 영원한 성전으로 선 그리스도의 몸과 그의 몸 된 교회를 부정하는 큰 잘못을 범하게 되는 것이며 많은 교인들을 잘못된 신앙으로 실족케 하는 위험을 초래하고 있음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928 논문신학성경 칼빈이 주석책을 쓰지 않은 유일한 성경, 요한계시록 이필찬 교수 2015-08-02 973
2927 수필칼럼사설 [김교신15] 부활의 믿음으로 file 백소영 교수 2015-07-25 238
2926 수필칼럼사설 [김교신14] ‘위대한’ 인간의 품성에 대하여 file 백소영 교수 2015-07-25 261
2925 수필칼럼사설 [김교신13] 영원히 청년의 영으로 file 백소영 교수 2015-07-25 272
2924 목회독서교육 어느 무명인의 열린교회 비판과 김남준 목사님의 답변 [2] 안동서남 2015-06-30 1611
2923 수필칼럼사설 이재철 목사님의 목회단상 33가지 file [1] 청년사역연구소 2015-06-12 567
2922 목회독서교육 한국인 개신교회는 ‘유교적 개신교회’ file 뉴스엔넷 2015-06-06 328
2921 100가지,50가지 행복한 가정을 위한 101가지 조언 팀 키멜 2015-06-04 540
2920 목회독서교육 부천으로 이사온지 2년, 600여 명의 이웃이 생겼어요 콩나물신문 2015-06-02 290
2919 100가지,50가지 100가지의 마케팅 최용우 2015-05-29 280
2918 100가지,50가지 명상의 100가지 효과 최용우 2015-05-29 394
2917 100가지,50가지 심리학 용어 100가지 최용우 2015-05-29 383
2916 100가지,50가지 한번 뿐인 인생, 바른 신앙의 방법 50가지 이상헌 2015-05-28 397
2915 논문신학성경 토마스 아퀴나스의 신학대전 file 이재룡 교수 2015-05-28 1530
2914 100가지,50가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100가지 방법 Huffington Post US 2015-05-27 228
2913 100가지,50가지 로스앤젤레스에서 무료로 즐길 수 있는 100가지 la국제공항 2015-05-27 414
2912 순전한신앙이야기 진리와 비진리 황부일목사 2015-05-27 445
2911 순전한신앙이야기 구원의 원리로 성경을 알아야 한다 황부일목사 2015-05-27 475
2910 순전한신앙이야기 요셉의 꿈은 몽상이나 비전이 아니다 황부일목사 2015-05-27 760
2909 수필칼럼사설 [김교신12] 푸러리 이야기 file 백소영 교수 2015-05-23 298
2908 수필칼럼사설 [김교신11] 구체적이고 보편적인 사랑 file 백소영 교수 2015-05-23 311
2907 수필칼럼사설 [김교신10] 닮지 못한’ 세대를 탄식하다 file [1] 백소영 교수 2015-05-15 441
2906 수필칼럼사설 [김교신9] 우리의 가정에 천국을 투사(投射)시키라 file 백소영 교수 2015-05-15 333
2905 수필칼럼사설 [김교신8] 모기의 ‘도(道)’-「비전론 무용 시대」 1934. 3월 file 백소영 교수 2015-05-15 409
2904 수필칼럼사설 [김교신7] 망해도, 살아내기 file 백소영 교수 2015-05-10 304
2903 수필칼럼사설 [김교신6] 졸업하고 시작해야 하는 것들 file 백소영 교수 2015-05-10 197
2902 수필칼럼사설 [김교신5] 을(乙)의 지형학 file 백소영 교수 2015-05-10 263
2901 인기감동기타 착각 강승호목사 2015-05-05 293
2900 수필칼럼사설 꽃에 관한 시 16편 모음 정연복 시인의 정연복 시인 2015-05-01 645
2899 목회독서교육 퍼져가는 가정교회, 집만한 예배장소는 없다 file 이상준 목사 2015-05-01 464
2898 영성묵상훈련 언약의 이름 요한 2015-04-23 265
2897 영성묵상훈련 그리스도의 이름 요한 2015-04-19 414
2896 영성묵상훈련 하나님의 이름 요한 2015-04-13 406
2895 순전한신앙이야기 주일을 지워가는 세대 황부일목사 2015-04-07 491
» 순전한신앙이야기 예배당은 성전이 아니다 황부일목사 2015-04-07 598

 

 혹 글을 퍼오실 때는 경로 (url)까지 함께 퍼와서 올려 주세요

자료를 올릴 때는 반드시 출처를 밝혀 주세요. 이단 자료는 통보 없이 즉시 삭제합니다.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