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글모든게시글모음 인기글(7일간 조회수높은순서)
m-5.jpg
현재접속자

동심의 세계는 모든 어른들의 마음의 고향입니다

동화읽는 어른은 순수합니다

동화읽는어른

[2016동아일보] 아빠의 유언장 - 성현정

신춘문예 성현정............... 조회 수 160 추천 수 0 2018.12.04 23:44:42
.........

아빠의 유언장 / 성현정

 

아빠의 홀쭉한 볼에 가만히 손을 갖다 댔다. 아직 따뜻했다.

“곧 형이 올 거예요.”

아빠의 귀에 대고 속삭였다. 잔뜩 구겨진 옷감처럼 주름진 아빠의 얼굴이 내 말에 가만히 미소 짓는 것 같았다. 아빠의 가슴에 머리를 얹는데 쿵쿵 쿵쿵 복도에서 누군가의 발소리가 울려 왔다. 하나는 로나 아줌마고, 하나는… 아마도 형이다.

달칵 문이 열리자 나는 얼른 몸을 일으켰다.

‘형!’

마음속으로만 형을 불러 보았다. 처음 만나지만 난 벌써 형을 좋아한다. 아빠가 세상에서 가장 사랑했던 사람이니까.

형이 뚜벅뚜벅 걸어오다, 날 보더니 멈칫했다. 그러고는 로나 아줌마를 한번 쳐다보았다. 나는 눈을 동그랗게 뜨고 미소를 지으며 형을 바라보았다. 내가 형을 얼마나 좋아하는지, 형이 알았으면 좋겠다. 하지만 형은 마치 화난 사람처럼 잔뜩 인상을 쓰고 나를 한 손으로 밀쳐 냈다. 그러곤 입을 꾹 다문 채 잠든 아빠를 쳐다보았다.

형은 화가 나 있었다.

내게 화가 난 건지 아빠에게 화가 난 건지 잘 모르겠다. 나는 그걸 알아내기 위해 계속 형을 쳐다보았다. 하지만 잘 모르겠다. 잘 모르면 나도 모르게 주먹을 쥔다. 그건 내 습관이다.

로나 아줌마가 병원에 남아서 아빠 장례식을 준비한다고 했다.

“강우 데리고 집에 가 계세요. 5시에 변호사가 그리 갈 거예요.”

아줌마가 울어서 조금 빨개진 눈으로 형에게 말했다.

“강우? 강우라고요!”

형이 코웃음을 치면서 날 노려보았다. 나는 괜히 땅바닥만 쳐다보았다. 민망할 때 나오는 내 습관이다. 형은 내 이름도 마음에 안 드는 것이 분명했다. 로나 아줌마는 그런 내 머리를 안쓰러운 눈빛으로 한번 쓰다듬어 주었다.

병원에서 우리 집으로 가려면 마을을 쭉 가로질러야 한다. 마을 안에서는 개인 자동차가 다니지 못하게 돼 있다. 형과 나는 집으로 가기 위해 무인 셔틀에 올랐다.

이곳은 전국에서도 상위 1%의 부자들만 입주할 수 있는 실버타운이다. 세계적인 건축가가 북유럽의 작은 마을을 본떠 만들었다고 한다. 깊은 산속에 자리 잡고 있지만 서울 중심가에서 전용 자기장도로를 타면 30분이 채 걸리지 않는다. 덕분에 최고의 의료진과 철통같은 보안 시스템을 자랑한다.

연극과 영화를 비롯하여 갖가지 공연을 즐길 수 있는 작은 오페라극장과 수영장은 물론이고, 아름답게 다듬어진 산책로, 배를 띄울 수 있는 작은 호수까지 갖추어져 있다. 비록 이곳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지만, ‘작은 천국’이란 별명으로 불릴 만했다.

“저기 숲으로 가는 산책길은 아빠가 가장 좋아하던 곳이야.”

 “….”

 “저기 잔디밭 보이지? 일요일 오전에는 저기서 크로케 시합이 열려.”

 “….”

 “여름엔 거의 매일 수영장에 다녔어. 예전에 형이 수영장에서 물에 빠질 뻔했다고….”

 “조용히 좀 가자꾸나.”

형이 신경질적으로 말했다.

“미안해, 형. 나는 형이 듣고 싶어 할 줄 알고….”

형은 자꾸만 아랫입술을 깨물었다. 누군가 아랫입술을 깨무는 건 뭔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뜻이다.

“집안에 있는 모든 물건은 기증하기로 하셨어요. 둘러보시고 가져갈 만한 게 있으면….”

 “아니요. 모조리 기증해 주세요.”

가사도우미 아줌마의 말이 채 끝나기도 전에 형이 말했다. 형은 집 안을 한번 휘 둘러보더니 아빠가 늘 앉던 창가 의자에 기대어 앉았다. 나도 가만히 그 앞에 있는 작은 내 의자에 앉았다.

“이것도 기증인가요?”

형이 갑자기 생각난 듯, 날 가리키며 물었다. 나는 놀라서 눈을 동그랗게 떴다. 아줌마는 당황해서 대답했다.

“아니요, 도련님. 생체형 안드로이드는 보통 물건과는 다르잖아요. 규정에 따라 처리해야 해요. 그렇죠, 강우 도련님?”

아줌마는 애써 태연한 척 내게 미소 지었다. 나도 아줌마를 향해서 아무렇지 않은 듯 웃어 보였다.

이제 난 어떻게 ‘처리’되는 걸까? 아빠는 죽기 전에 내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몇 번이나 묻고 싶었지만 나는 묻지 않았다. 아빠가 죽는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난 아빠가 영원히 내 곁에 있어 줄 거라 믿고 싶었다.

형은 아줌마와 날 번갈아보다 창밖을 내다보며 크게 한숨을 내쉬었다.

그렇다. 나는 로봇이다.

이곳에서 노인들은 누구나 로봇과 함께 산다. 로봇들은 노인이 일상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기도 하고, 아침마다 건강 상태를 담당 의사에게 알려 주기도 하며, 함께 놀이도 하고 이야기도 나눈다. 나처럼 아이의 모습을 한 로봇도 많다.

창밖으로 정원에는 두 사람이 탈 수 있는 그네가 보였다. 저기서 아빠는 형에 대해 이야기해 주었다. 그럴 때 아빠는 내 손을 잡고 가만히 내 두 눈을 들여다보며 이야기했다.

“아빠, 형은 언제 와? 형은 아빠랑 내가 안 보고 싶대?”

언젠가 내가 물은 적이 있었다. 그러자 아빠는 무척 쓸쓸한 얼굴로 대답했다.

“아마 안 올 게다. 아빠가 형한테 잘못한 게 많거든.”

아빠한테 직접 들은 적은 없지만 나도 알고 있다. 형이 아빠를 싫어한다는 걸.

아빠는 젊은 시절, 세상에서 가장 바쁜 과학자였다. 늘 연구실에 꼼짝 않고 틀어박혀 있거나, 논문을 발표하고 강의를 하기 위해 전 세계를 다녀야 했다. 그래서 형과 놀아 줄 시간이 거의 없었다.

형은 늘 아빠와 놀고 싶어 했지만, 아빠는 형과 소풍 한번 제대로 간 적이 없다고 했다. 수영장에서 같이 한 번 놀아 준 것이 전부였다. 어느 날 형의 엄마가 죽자, 형은 결국 외갓집에서 살게 되었고 그 뒤로는 영영 소식을 끊고 말았다.

“아이가 금방 자란다는 걸 그때는 몰랐단다. 난 오직 나만 생각하며 살았어.”

아빠는 혼잣말처럼 중얼거리며 고개를 설레설레 흔들었다. 그런 아빠가 불쌍해서 나는 아빠를 꼭 안아 주었다. 아빠의 품은 언제나 따뜻했다.

“아저씨!”

변호사 아저씨는 언제나처럼 시간에 꼭 맞춰 도착했다.

“강우, 그동안 잘 지냈니?”

아저씨는 만날 때마다 내 머리를 마구 헝클어 놓는다. 그럴 때는 어쩐지 기분이 좋다. 아저씨는 날 진짜 아이처럼 대해 주는 것 같아서다. 하지만 이번엔 아니었다. 아저씨는 물끄러미 날 바라보더니 내 어깨를 툭툭 몇 번 두드릴 뿐이었다.

“넌 밖에서 기다려.”

형이 아저씨와 서재로 들어가며 내게 말했다.

“아니, 강우도 들어야 합니다.”

 “네?”

 “유언장에 강우 이야기도 있어서요.”

형은 한 손을 입으로 가져가더니 눈을 끔벅이며 다시 크게 한숨을 쉬었다.

붉게 물든 노을 때문에 서재는 온통 가을 느낌이 났다.

“말이 됩니까!”

형이 벌떡 일어서며 주먹으로 책상을 탕 내리쳤다.

“이 로봇에게 전 재산을 남겼다고요?”

변호사 아저씨는 한동안 말이 없다 겨우 입을 뗐다.

“정신감정까지 받고 쓰신 유언장이라 뒤집기는 힘들 겁니다.”

 “로봇에게 상속이라니, 그게 말이나 되는 소립니까?”

 “지금까지 반려동물에게 상속이 이루어진 적은 있지만, 로봇에게 상속하는 건 세계적으로 이게 아마 첫 사례일 겁니다.”

 “…….”

 “다만 로봇의 법정 관리인을 아드님으로 지정하셨기 때문에 결국 아드님께서 강우를 돌보는 조건으로 실질적인 상속자가 되시겠지만요. 저도 많이 말렸습니다만….”

어느새 밖은 깜깜해져 있었다. 형은 곧 울 것 같은 얼굴로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나도 아빠의 유언장에 대해 알게 된 건 처음이라 얼떨떨했다. 아빠가 죽으면 어떻게 될까 생각해 본 적은 있지만, 설마 형과 함께 살게 되리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다.

“정말 아버지는 끝까지 이기적인 사람이에요.”

형은 곧 울 것 같은 얼굴로 내뱉었다. 형은 끝까지 날 쳐다보지 않았다.

장례식이 끝나고 나는 형의 차를 타고 마을을 떠났다. 내가 평생을 산 곳을 떠나려니 어쩐지 기분이 이상했다. 물론 난 조금도 변하지 않았다. 지난 19년 내내 열두 살의 모습과 열두 살의 평균 지능을 유지하고 있다.

자동주행 모드로 전환한 뒤, 형은 물끄러미 창밖으로 지나치는 풍경을 보았다.

“형, 아빠 보고 싶지 않아?”

형은 대답이 없었다.

아빠가 보고 싶었다. 형에게는 세상에서 가장 미운 사람이지만 내게는 세상에서 가장 다정한 아빠니까.

어쩌면 형도 아빠가 보고 싶을지 모른다. 나는 눈으로 쏠 수 있는 작은 스크린을 형이 볼 수 있는 각도로 띄웠다. 그리고 아빠와 내가 내 키만 한 블록 쌓기를 하는 영상을 가져왔다. 그 영상에서 아빠는 훨씬 젊어 보였다.

“흑기사의 성이야, 형.”

내가 열중해서 블록을 쌓고 있는데 아빠는 내 바지춤을 잡고 번쩍 들어올렸다. 그러면서 자꾸만 키득키득 웃었다. 화면 속의 나도 발을 동동 구르며 따라 웃는다. 그걸 보는 나도 웃음이 터져 나왔다. 형은 여전히 표정 없는 얼굴로 영상을 보고 있었다.

그리고 계속 영상들이 나왔다. 내 기억 속에 저장된 영상들이다. 내 눈으로 촬영한 것도 있고 다른 로봇이 촬영해 준 것도 있었다.

“어, 저건 내가 아니라 형이야.”

그건 아빠와 형이 수영장에서 놀던 때를 촬영한 오래된 영상이었다.

“저건 내가 아니네.”

나는 물끄러미 그 영상을 바라보았다.

나와 꼭 닮은 아이가 아빠와 즐겁게 물놀이를 하고 있었다. 형은 다른 영상에서의 나만큼이나 행복하게, 활짝 웃고 있었다.

“저 애는 형이지만 이건 내 맨 처음 기억이기도 해. 아빠가 저 영상에 나온 형 모습 그대로 날 만들었거든, 강우 형.”

나는 형이 모를 것 같아 설명해 주었다.

영상을 보던 형의 눈에서 주르륵 눈물이 흘렀다. 쉰 살이 넘은 형은 아이처럼 끄억끄억 소리 내어 울기 시작했다.

나는 화면을 끄고 형이 우는 모습을 지켜보았다.

“아빠는 왜 날 만들었을까? 그냥 형한테 미안하다고 그러지.”

형의 울음소리는 점점 더 커져갔다.

아빠는 바보다. 가짜인 나를 만드느라 진짜인 형을 버린 셈이니까. 그래 놓고 형이 아빠를 잊는 게 싫어서 날 형에게 보내는 거다. 다정한 아빠의 모습만 알고 있는 나를.

나는 꼭 쥐고 있던 주먹을 풀고, 가만히 손을 내밀어 형의 눈물을 닦아 주었다. 비록 난 운 적이 없지만 내가 울면 아빠는 분명 그렇게 했을 거다. 아빠와 함께한 19년 동안 내 행동은 아빠의 행동을 닮도록 프로그래밍 되어 있으므로, 그건 로봇의 일이기도 했다. 인간에겐 늘 위로가 필요하니까.

따뜻한 형의 눈물이 내 손을 적셨다. 


<당선소감>아빠가 사준 첫 동화책 기억 새록새록

 

어린 시절은 지루했다. 그때 이야기는 비(非)일상으로 가는 문을 열어 주는 마법 통로였다.

아빠가 코트 자락에 겨울 냄새를 잔뜩 묻히고 들어와 내밀던 동화책 한 권. 내 첫 책이었다. 겨우 글을 떼기 시작할 무렵 난 그 책을 보고 쓰다듬고 냄새를 맡으며 집착했다. 얼마나 설레고 행복했는지. 그 기억을 떠올리면 어느 정도 욕심을 비울 수 있었다. 그때의 내가 읽을 이야기라면 허투루 쓰지 말자고 다짐하게 된다.

나 혼자 잘나서 상을 받게 되었다고 말하고 싶지만, 떠오르는 얼굴이 많은 걸 보니 아닌 게 분명하다. 묵묵히 지켜보는 것이 가장 어려운 일이기에 늘 부모님께 감사하다. 김기정 정해왕 선생님, 함께 배운 글벗들과 ‘어수선’이 있어서 넘어져도 다시 일어설 수 있었다. 당선 소식에 내 일처럼 기뻐해 준 ‘어린이와 문학’ 편집부 식구들, 얼마나 든든한지 모른다. 일일이 언급하지 못해도 늘 응원해 준 친구들에게 고맙다.

김경연 황선미 심사위원께도 감사하다. 늘 책으로 뵈었던 두 분이라 이름만으로도 설렌다. 많은 분들이 내 글을 읽을 생각을 하면 두려움이 앞선다. 그분들께도 내게도 부끄럽지 않은 글을 끝까지 쓰고 싶다.


◎ 약력

▶ 1975년 부산 출생

▶ 일본 가고시마대 생물생산과학 박사


<심사평>슬프지만 독자 감성 흔드는 매력

 

다섯 편이 집중적으로 논의됐다. ‘딱 하나의 소원’은 엄마의 욕심을 위해 모험에 나서는 주인공을 통해 우리 사회의 이면을 그리려는 의도가 보였다. 그러나 상황이 억지스럽고 결말도 갑작스러운 데다 ‘엄마’로 설정된 폭력적 상황이 이런 결말로 해결된다고 보기 어려웠다. ‘내 영혼은 내 거’는 일그러진 가정에서의 아이의 결핍이 도둑질로 채워지는 설정이 그럴듯했지만 문장이 미숙하고 이야기가 단순했다. ‘할머니와 나’는 개성이 느껴지는 화법이 남달랐다. ‘토리와 무시무시한 늑대 이야기’는 해외 민담을 차용해 서사에 활용한 유머가 신선하고 주제의식도 분명하다. 당선 기회를 놓쳤더라도 굴하지 말고 작품을 계속 쓰기를 바란다.

‘아빠의 유언장’에는 최근 응모작에서 자주 보이는 로봇이 등장하는데 소재로는 새로울 게 없고, 사람에게 복종하고 굴욕에 반응하지 않는 설정은 구시대적이다. 그러나 전체를 조형하는 감각이 믿음직스럽고, 슬픈 내용임에도 감정을 낭비하지 않고 독자의 감성을 건드리는 역량이 보여 이견 없이 당선작으로 결정했다.

심사 : 김경연·황선미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528 신춘문예 [2017한국일보] 가정방문 - 최수연 최수연 2019-01-29 578
1527 신춘문예 [2017강원일보] 멍도둑 - 하지연 하지연 2019-01-28 411
1526 신춘문예 [2017경상일보] 라오스의 달콤한 눈 - 이서림 이서림 2019-01-26 400
1525 신춘문예 [2017전북일보] 할머니의 라디오 사연 -최고나 최고나 2019-01-22 531
1524 신춘문예 [2017국제신문] 우렁이 아줌마 -김정애 김정애 2019-01-04 391
1523 신춘문예 [2017동양일보] 머리 보자기 - 윤태원 윤태원 2019-01-03 461
1522 신춘문예 [2016충청일보] 견우와 직녀 - 유하문 유하문 2019-01-02 428
1521 신춘문예 [2016문화일보] 다정이 - 배인주 배인주 2018-12-19 453
1520 신춘문예 [2016대전일보] 퍼즐 맞추기 -서혜영 서혜영 2018-12-17 421
1519 신춘문예 [2016서울신문] 잠자는 도시의 아빠 - 홍유진 홍유진 2018-12-16 434
1518 신춘문예 [2016경남신문] 우산 마중 -김유진 김유진 2018-12-13 171
1517 신춘문예 [2016광주일보] 오렌지 주스를 따르는 방법 -황성진 황성진 2018-12-11 161
1516 신춘문예 [2016강원일보] 도깨비놀이터 -양국일 양국일 2018-12-10 73
1515 신춘문예 [2016전북일보] 아기들쥐와 허수아비 -이명준 이명준 2018-12-09 140
1514 신춘문예 [2016조선일보] 하늘에 있는 아빠에게 - 김보경 김보경 2018-12-05 127
» 신춘문예 [2016동아일보] 아빠의 유언장 - 성현정 성현정 2018-12-04 160
1512 신춘문예 [2016매일신문] 노파콘 -유영선 유영선 2018-12-03 62
1511 신춘문예 [2016무등일보] 구리구리, 똥개구리 -양정숙 양정숙 2018-12-01 196
1510 신춘문예 [2016국제신문] 굿샷! 쭈글이 -도희주 도희주 2018-11-29 135
1509 신춘문예 [2016경상일보] 빨강이의 외출 -정영숙 정영숙 2018-11-28 112
1508 신춘문예 [2016한국일보] 401호 욕할매 -심진규 심진규 2018-11-26 174
1507 신춘문예 [2016부산일보] 웃는 분식점 -김우종 김우종 2018-11-24 69
1506 신춘문예 [2016동양일보] 꼬마 눈사람과 앨빈 -이복순 이복순 2018-11-20 111
1505 신춘문예 [2015서울신문] 공룡아빠 - 정주영 정주영 2018-11-19 61
1504 신춘문예 [2015조선일보] 유리 상자 - 오미순 오미순 2018-11-17 143
1503 신춘문예 [2015 전북일보] 엄마의 빨간 구두 - 최빛나 최빛나 2018-11-12 169
1502 신춘문예 [2015 동양일보] 르네의 편지 - 이상윤 이상윤 2018-11-10 76
1501 신춘문예 [2015무등일보] 긴긴 몸 모자란 몸 - 채수연 채수연 2018-11-07 32
1500 신춘문예 [2015국제신문] 날꿈이의 꿈날개 -김주현 file 김주현 2018-11-06 31
1499 신춘문예 [2015광주일보] 둘기의 가출 -김경락 김경락 2018-11-05 70
1498 신춘문예 [2015경상일보] 여우가 시집가는 날 - 권은정 file 권은정 2018-11-01 270
1497 신춘문예 [2015부산일보] 마음약국 프로젝트 -김점선 file 김점선 2018-10-30 137
1496 신춘문예 [2015문화일보] 오인용 식탁과 마지막 비밀 레시피 - 김아정 file 김아정 2018-10-28 106
1495 신춘문예 [2015매일신문] 달려라 엄마 -이미경 file 이미경 2018-10-26 114
1494 신춘문예 [2015한국일보] 물좀 줘-박상기 file 박상기 2018-10-25 45
    본 홈페이지는 조건없이 주고가신 예수님 처럼, 조건없이 퍼가기, 인용, 링크 모두 허용합니다.(단, 이단단체나, 상업적, 불법이용은 엄금)
    *운영자: 최용우 (010-7162-3514) * 9191az@hanmail.net * 30083 세종특별시 금남면 용포쑥티2길 5-7 (용포리 53-3)
XE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