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
|||||
.........
특별한 것이 있는 것도 아닌데 무얼 쫓느라 그리 바쁜지, 누가 쫓아오는 것도 아닌데 무엇에 쫓기느라 정신이 없는지 분주하게 살다보면 시간에 대한 감각을 잃게 됩니다. 하루는 고사하고 달력을 넘기면서야 시간의 흐름을 짐작할 뿐 대개의 경우 무감각하게 많은 시간이 흘러가곤 합니다.
어느새 봄 시작했다 싶은데 이내 여름이 되고, 여름인가 싶게 가을이 가고, 그리고 겨울이 오면 또 한 해가 가고, 언젠가부터 세월은 아예 우리를 비껴가듯 아무런 느낌도 없이 저만의 속도로 지나가 버리곤 합니다. 잠을 자다 머리맡에 떨어진 사과에 놀라 토끼가 뛸 때 무슨 이유인지도 모르고 덩달아 뛰던 숲 속 동물들이 우리들 모습일 때가 많습니다.
어느덧 절기가 '한로'(寒露)를 지났습니다. 찬이슬 맺히는 한로에 접어들면 농부들의 손길은 분주해 집니다. 들판에 국화꽃 향기 그윽하게 퍼질 때면 기온은 하루가 다르게 떨어집니다. 그러다가 언제 서리가 느닷없이 내릴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 그 전에 빨리 추수를 끝내려는 농부의 손길은 바쁠 수밖에 없습니다. 서리가 내리도록 곡식을 거두어들이지 못하면, 곡식은 불에 덴 듯 모두가 타 죽고 말아 소용이 없어지고 맙니다.
가을 추수 때가 되면 어렵지 않게 들었던 말 중에 '미발이'와 '빈대콩'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미발이와 빈대콩이라는 말이 사전에 나와있는 말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나이가 지긋한 마을 어른들은 추수 때가 되면 미발이와 빈대콩 이야기를 흔하게 하곤 했습니다.
제가 짐작하는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빈대콩'은 이름 그대로 빈대처럼 생긴 콩을 의미할 것입니다. 깍지 속에 빈대처럼 자리잡은 납작한 콩, 익다가 만 콩이겠지요. 제대로 익어야 야무진 콩이 되는데, 익다가 만 콩은 겨우 콩의 모양을 갖춘 채 납작하게 자리를 잡고 있을 뿐입니다. 그렇다고 더 두면 더 자랄 형편도 아닙니다. 서리가 내리면 추수를 미룰 수가 없어 서둘러 모든 것을 거둬들여야 하기에 더 이상은 시간의 여유가 없습니다. 그런가 하면 '미발이'는 미발(未發)에서 온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충분히 익지 않은 곡식들을 이르는 말이겠지요.
제 짐작이 틀리지 않는 것이라면 미발이와 빈대콩은 익다가 만 곡식, 익다가 만 콩을 이르는 말일 터인데 미발이와 빈대콩은 그런 이유로 소용이 애매합니다. 버리자니 아깝고, 먹자니 먹을 수가 없어 천상 짐승의 먹이가 될 뿐입니다.
익다가 만 애매한 상태, 미발이와 빈대콩 이야기가 재미있고 편하게만 들리지 않는 것은 우리의 삶이 그러기가 얼마나 쉬울까 하는 생각 때문입니다. 나이를 먹을 만큼 먹고서도 철없이 살다가 애매한 상태로 마감하는 생이 적지 않겠다 싶기 때문입니다. '철들자 망령'이라는 속담은 그런 가능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것이겠지요.
허전하기 그지없는 삶, 미발이와 빈대콩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라면 자신의 때를 어김없이 따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하겠습니다. 2004.10.17 ⓒ한희철(독일 프랑크푸르트감리교회 목사)
어느새 봄 시작했다 싶은데 이내 여름이 되고, 여름인가 싶게 가을이 가고, 그리고 겨울이 오면 또 한 해가 가고, 언젠가부터 세월은 아예 우리를 비껴가듯 아무런 느낌도 없이 저만의 속도로 지나가 버리곤 합니다. 잠을 자다 머리맡에 떨어진 사과에 놀라 토끼가 뛸 때 무슨 이유인지도 모르고 덩달아 뛰던 숲 속 동물들이 우리들 모습일 때가 많습니다.
어느덧 절기가 '한로'(寒露)를 지났습니다. 찬이슬 맺히는 한로에 접어들면 농부들의 손길은 분주해 집니다. 들판에 국화꽃 향기 그윽하게 퍼질 때면 기온은 하루가 다르게 떨어집니다. 그러다가 언제 서리가 느닷없이 내릴지는 아무도 모르는 일, 그 전에 빨리 추수를 끝내려는 농부의 손길은 바쁠 수밖에 없습니다. 서리가 내리도록 곡식을 거두어들이지 못하면, 곡식은 불에 덴 듯 모두가 타 죽고 말아 소용이 없어지고 맙니다.
가을 추수 때가 되면 어렵지 않게 들었던 말 중에 '미발이'와 '빈대콩'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미발이와 빈대콩이라는 말이 사전에 나와있는 말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나이가 지긋한 마을 어른들은 추수 때가 되면 미발이와 빈대콩 이야기를 흔하게 하곤 했습니다.
제가 짐작하는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빈대콩'은 이름 그대로 빈대처럼 생긴 콩을 의미할 것입니다. 깍지 속에 빈대처럼 자리잡은 납작한 콩, 익다가 만 콩이겠지요. 제대로 익어야 야무진 콩이 되는데, 익다가 만 콩은 겨우 콩의 모양을 갖춘 채 납작하게 자리를 잡고 있을 뿐입니다. 그렇다고 더 두면 더 자랄 형편도 아닙니다. 서리가 내리면 추수를 미룰 수가 없어 서둘러 모든 것을 거둬들여야 하기에 더 이상은 시간의 여유가 없습니다. 그런가 하면 '미발이'는 미발(未發)에서 온 말이 아닐까 싶습니다. 충분히 익지 않은 곡식들을 이르는 말이겠지요.
제 짐작이 틀리지 않는 것이라면 미발이와 빈대콩은 익다가 만 곡식, 익다가 만 콩을 이르는 말일 터인데 미발이와 빈대콩은 그런 이유로 소용이 애매합니다. 버리자니 아깝고, 먹자니 먹을 수가 없어 천상 짐승의 먹이가 될 뿐입니다.
익다가 만 애매한 상태, 미발이와 빈대콩 이야기가 재미있고 편하게만 들리지 않는 것은 우리의 삶이 그러기가 얼마나 쉬울까 하는 생각 때문입니다. 나이를 먹을 만큼 먹고서도 철없이 살다가 애매한 상태로 마감하는 생이 적지 않겠다 싶기 때문입니다. '철들자 망령'이라는 속담은 그런 가능성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것이겠지요.
허전하기 그지없는 삶, 미발이와 빈대콩으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서라면 자신의 때를 어김없이 따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하겠습니다. 2004.10.17 ⓒ한희철(독일 프랑크푸르트감리교회 목사)
|
|
|
|
|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
|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
최신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