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
|||||
.........
박쥐에 대한 인상은 사람들에게 좋지 않게 남아 있습니다. 사람에게 특별히 해를 끼치는 것도 아닐텐데 왜 박쥐는 징그럽고 간사한 이미지로 남아 있는 것일까요?
‘쥐’가 가지는 부정적인 이미지에다, 새도 아니고 동물도 아닌 애매함, 밤에 날아다니는 야행성이 음흉한 이미지로 굳어져 박쥐를 좋지 않은 쪽으로 보게 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박쥐를 직접 보지 못한 사람들이 많고, 보았다해도 환한 대낮에 고무공처럼 잔뜩 웅크리고 있는 모습을 본 경우가 많을 터이니 이래저래 박쥐는 자신의 본래 모습과는 다르게 오해를 받고 있는 셈입니다. 날짐승과 집짐승이 싸움을 할 때 양쪽으로 유리한 편을 골라 오가다가 나중에는 어느 편에도 속하지 못했다는 이솝의 이야기가 박쥐에 대해 결정적인 누명을 뒤집어 씌운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알면 사랑한다’는 믿음을 소박한 신념으로 간직한다는 동물행동학자 최재천 교수가 쓴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라는 책에서 박쥐에 대한 이야기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자연계에서 헌혈의 은혜를 베풀 줄 아는 거의 유일한 동물은 놀랍게도 흡혈박쥐라는 것입니다. ‘거의 유일한’이라는 말은 사람을 의식한 말일 터인데, 사람이 하는 헌혈이 자발성을 잃어버리는 한, 사람에게 ‘헌혈의 은혜’라는 말을 쓰는 건 부적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구상에 사는 박쥐의 대부분이 과일이나 곤충을 먹고 사는 반면, 흡혈박쥐들은 실제로 열대지방에 사는 큰 짐승의 피를 주식으로 하여 살아간다고 합니다. 「드라큘라」에 나오는 것처럼 목정맥을 뚫어 피를 마시는 것이 아니라, 잠을 자고 있는 동물의 목 부위를 발톱으로 긁어 상처를 낸 뒤 거기서 스며나오는 피를 핥아먹는다는 것입니다.
흡혈박쥐는 신진대사가 유난히 활발하여 하루 이틀 피를 마시지 못하면 기진맥진하여 죽고 맙니다. 매일 밤마다 피를 마실 수 있는 짐승을 만나기가 어려운 상당수의 흡혈박쥐들은 그냥 집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헌혈의 은혜’는 바로 그 때 이루어집니다. 피를 배불리 먹고 온 박쥐들이 배고픈 동료들에게 피를 나누어주는 것입니다.
동굴 천장에 거꾸로 매달려 서로 피를 게워내고 받아먹습니다. 대개는 자기 가족이나 친척끼리 피를 주고받지만, 늘 그런 것만은 아니어서 가까이 매달려 있는 다른 박쥐들에게도 피를 나누어 준다고 합니다. 이렇게 피를 받아먹은 박쥐는 그 고마움을 기억하고 훗날 은혜를 갚는다 하니, 박쥐를 함부로 욕할 것은 절대 아니지 싶습니다.
인간에게 부정적인 동물로 인식되는 억울한 누명을 쓴 채 동굴에서 살아가는 박쥐에게도 피를 나누는 정(情)이 있단 사실이 신기하고도 재미있게 들립니다. 여전히 박쥐에게는 미안한 이야기지만 이제 우리 인간에게는 이런 생각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박쥐도 피를 나누는데!”2005.6.11 ⓒ한희철(독일 프랑크푸르트감리교회 목사)
‘쥐’가 가지는 부정적인 이미지에다, 새도 아니고 동물도 아닌 애매함, 밤에 날아다니는 야행성이 음흉한 이미지로 굳어져 박쥐를 좋지 않은 쪽으로 보게 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박쥐를 직접 보지 못한 사람들이 많고, 보았다해도 환한 대낮에 고무공처럼 잔뜩 웅크리고 있는 모습을 본 경우가 많을 터이니 이래저래 박쥐는 자신의 본래 모습과는 다르게 오해를 받고 있는 셈입니다. 날짐승과 집짐승이 싸움을 할 때 양쪽으로 유리한 편을 골라 오가다가 나중에는 어느 편에도 속하지 못했다는 이솝의 이야기가 박쥐에 대해 결정적인 누명을 뒤집어 씌운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알면 사랑한다’는 믿음을 소박한 신념으로 간직한다는 동물행동학자 최재천 교수가 쓴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라는 책에서 박쥐에 대한 이야기를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자연계에서 헌혈의 은혜를 베풀 줄 아는 거의 유일한 동물은 놀랍게도 흡혈박쥐라는 것입니다. ‘거의 유일한’이라는 말은 사람을 의식한 말일 터인데, 사람이 하는 헌혈이 자발성을 잃어버리는 한, 사람에게 ‘헌혈의 은혜’라는 말을 쓰는 건 부적합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구상에 사는 박쥐의 대부분이 과일이나 곤충을 먹고 사는 반면, 흡혈박쥐들은 실제로 열대지방에 사는 큰 짐승의 피를 주식으로 하여 살아간다고 합니다. 「드라큘라」에 나오는 것처럼 목정맥을 뚫어 피를 마시는 것이 아니라, 잠을 자고 있는 동물의 목 부위를 발톱으로 긁어 상처를 낸 뒤 거기서 스며나오는 피를 핥아먹는다는 것입니다.
흡혈박쥐는 신진대사가 유난히 활발하여 하루 이틀 피를 마시지 못하면 기진맥진하여 죽고 맙니다. 매일 밤마다 피를 마실 수 있는 짐승을 만나기가 어려운 상당수의 흡혈박쥐들은 그냥 집으로 돌아오게 되는데, ‘헌혈의 은혜’는 바로 그 때 이루어집니다. 피를 배불리 먹고 온 박쥐들이 배고픈 동료들에게 피를 나누어주는 것입니다.
동굴 천장에 거꾸로 매달려 서로 피를 게워내고 받아먹습니다. 대개는 자기 가족이나 친척끼리 피를 주고받지만, 늘 그런 것만은 아니어서 가까이 매달려 있는 다른 박쥐들에게도 피를 나누어 준다고 합니다. 이렇게 피를 받아먹은 박쥐는 그 고마움을 기억하고 훗날 은혜를 갚는다 하니, 박쥐를 함부로 욕할 것은 절대 아니지 싶습니다.
인간에게 부정적인 동물로 인식되는 억울한 누명을 쓴 채 동굴에서 살아가는 박쥐에게도 피를 나누는 정(情)이 있단 사실이 신기하고도 재미있게 들립니다. 여전히 박쥐에게는 미안한 이야기지만 이제 우리 인간에게는 이런 생각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박쥐도 피를 나누는데!”2005.6.11 ⓒ한희철(독일 프랑크푸르트감리교회 목사)
|
|
|
|
|
개인적인 맨토들의 글을 모았습니다. 천천히 읽으면 더 좋은 글들입니다. |
|
(글의 저작권은 각 저자들에게 있습니다. 여기에 있는 글을 다른데로 옮기면 안됩니다) |
최신댓글